오늘말. 다음

2020.10.25 10:20:39

[ 배달겨레소리 글쓴이 숲노래 ]

 

'내일'을 가리키는 우리말이란? 그리고 '갑(甲)'이란?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다음

 

제가 하는 일이 말꽃쓰기(사전집필)이다 보니, 저한테 여러모로 낱말을 묻는 분이 많습니다. 꽤 자주 물어보시는 낱말이 ‘내일’입니다. “‘내일’이 한자말이잖아요. ‘하제’라는 옛말이 있다고 하는데, 또다른 우리말은 없을까요?” 하고 물으셔요. 흐름으로 본다면 ‘그제·어제·오늘·하제·모레’입니다. 이 다섯 가지 가운데 ‘하제’만큼은 어쩐 일인지 죽은말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 본다면 ‘그제·어제·오늘·모레’ 네 마디는 숱한 고빗사위와 너울이 갈마들었어도 씩씩하게 살아남은 낱말인 셈입니다. 먼저 ‘하제’를 혀에 얹으면 좋고, 다음으로는 ‘이튿날’이나 ‘다음날(담날)·뒷날’이라 할 만하고, 뜻이나 자리에 따라 ‘나중·모레·새날·앞날·곧’을 두루 쓸 만하지요. 요즈막에 ‘갑질·갑을’이란 말씨가 꽤 불거져서 번지는데, 오랜 말씨로는 ‘웃질·막질’이고, ‘ㄱㄴ’이나 ‘가나’로 나타내면 돼요. 외마디 ‘갑(甲)’만 쓰는 자리라면 ‘꼭두·으뜸’이나 ‘높다·세다·힘있다’쯤으로 풀면 될 테고요. 우리가 살아갈 다음길을, 앞길을, 새길을 가만히 헤아린다면, 옛말을 살리기도 하면서 새말을 지을 수 있습니다.

 

하제·그다음·그담·나중·다음·담·다음날·이튿날·뒤·뒷날·모레·앞·새날·아침·앞길·앞삶·앞날·앞으로·머잖아·곧·이제 ← 내일
ㄱ·가·꼭두·꽃등맨앞·앞·앞자리·앞머리·으뜸·우두머리·위·웃·높다·첫째·첫머리·처음·첫길·세다·드세다·힘세다·기운세다·힘있다·기운있다 ← 갑(甲)

숲노래 글쓴이 hbooklove@naver.com
Copyright @배달겨레소리 Corp. All rights reserved.

경북 상주시 화북면 입석5길 189-8 등록번호: 경북, 아00595 | 펴낸날 : 2020.6.8 | 펴낸이 : 최석진 | 엮는이 : 박연옥 | 전화번호 : 010-3174-9820 Copyright @배달겨레소리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