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락가락 국어사전 12 낱말이 어울리도록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낱말이 어울리도록 매만지기
[오락가락 국어사전 12] ‘특이·독특·특별’은 ‘다르다’


  낱말마다 어떻게 다른가를 살피지 못할 적에는 뜻풀이가 겹치거나 뒤죽박죽이 됩니다. 쉽게 쓰면 될 말을 젖혀 놓고서 자꾸 한자말로 덧씌우려 할 적에는 엉키거나 엉터리가 되곤 합니다. 낱말이 어울리는 결을 살필 수 있어야 하고, 어떻게 아 다르고 어 다른가를 헤아릴 줄 알아야 합니다. 엉성하게 매만지면 낱말책이 낱말책답지 않습니다. 슬기롭게 꾸밀 노릇이요, 말결을 제대로 이끌 일이지 싶습니다.


치장(治粧) : 잘 매만져 곱게 꾸밈
꾸미다 : 1. 모양이 나게 매만져 차리거나 손질하다
매만지다 : 1. 잘 가다듬어 손질하다 2. 부드럽게 어루만지다


  ‘치장’은 ‘매만져’ ‘꾸밈’을 가리킨다고 하지만, ‘매만지다·꾸미다’를 나란히 적는 풀이말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더구나 낱말책은 ‘꾸미다’를 “매만져 차리거나 손질하다”로 풀이하고, ‘매만지다’를 ‘잘 가다듬어 손질하다’로 풀이하니, 영 뒤죽박죽인 겹말·돌림풀이입니다. ‘치장’은 “→ 매만지다. 꾸미다”로 다룬 뒤, ‘꾸미다·매만지다’ 뜻풀이를 바로잡아야겠습니다.


육신(肉身) : 1. = 육체(肉體)
육체(肉體) : 구체적인 물체로서 사람의 몸 ≒ 육(肉)·육신(肉身)
육(肉) : 1. 짐승의 살. ‘고기’, ‘살코기’로 순화 2. = 육체(肉體)
몸 : 1.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을 이루는 전체. 또는 그것의 활동 기능이나 상태


  낱말책에 ‘육신·육체·육’ 같은 한자말이 있으나 ‘몸’이나 ‘살’로 고쳐쓸 노릇이지 싶습니다. “→ 몸. 몸뚱이. 살. 살덩이”로 다루면 됩니다.


어울리다 : 4. 여럿이 서로 잘 조화되어 자연스럽게 보이다
조화되다(調和-) : 서로 잘 어울리다


  ‘어울리다’는 “잘 조화되다”로 풀이하고, ‘조화되다’는 “잘 어울리다”로 풀이하는 낱말책입니다. 무척 뜬금없습니다. ‘어울리다’ 말뜻은 “여럿이 서로 짝을 잘 짓거나, 마음·흐르밍 하나처럼 보이다”로 고치고, ‘조화되다·조화롭다·조화’는 모두 “→ 어울리다”로 다룰 노릇입니다.


미리 : 어떤 일이 생기기 전에. 또는 어떤 일을 하기에 앞서
선점(先占) : 1. 남보다 앞서서 차지함 2. [법률] = 선점 취득
앞서다 : 1. 앞에 서다 2. 동작 따위가 먼저 이루어지다
먼저 : [어찌씨]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앞서서


  ‘미리’라는 낱말을 제대로 살필 줄 안다면 ‘선점’ 같은 한자말은 “미리 차지”로 고쳐쓸 만합니다. 때로는 “먼저 차지”로 고쳐쓸 수 있어요. 그런데 낱말책을 살피면 ‘미리’는 ‘앞서’로, ‘앞서다’는 ‘먼저’로, 또 ‘먼저’는 ‘앞서서’로 풀이하면서 엉킵니다. 쉬운 말부터 제대로 가누어야지 싶습니다.


실천(實踐) : 1. 생각한 바를 실제로 행함
행하다(行-) : 어떤 일을 실제로 해 나가다
실제로(實際-) :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현실적(現實的) : 1. 현재 실제로 존재하거나 실현될 수 있는. 또는 그런 것 2. 실제로 얻을 수 있는 이익 따위를 우선시하는. 또는 그런 태도


  한자말 ‘실천’은 “실제로 행함”을 뜻한다는데, ‘행하다’는 “실제로 해 나가다”를 뜻한다니 어리둥절합니다. ‘실제로’는 ‘현실적으로’로 풀이하면서 ‘현실적’은 ‘실제로’ 있거나 이루는 것이라고 풀이하니 더 어리둥절해요. 곰곰이 따지면 ‘실천(실천하다)·행하다’는 “→ 하다. 몸소 하다”로 다루어야지 싶습니다. ‘실제로’는 “→ 참으로. 참말로”로 다루어야지 싶어요. ‘현실적’은 “→ 참으로. 그대로. 삶으로. 돈으로”쯤으로 다룰 만합니다.


한정(限定) : 1. 수량이나 범위 따위를 제한하여 정함 2. [논리] 어떤 개념이나 범위를 명확히 하거나 범위를 확실히 함
제한하다(制限-) :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그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다 ≒ 한제하다
한도(限度) : 일정한 정도. 또는 한정된 정도


  한자말 ‘한정’은 ‘제한하여’ 정하는 일이라는데, ‘제한하다’는 바로 ‘한정하는’ 일이라지요. 한자말을 쓰더라도 뜻풀이를 올바로 붙여서 쓸 노릇입니다. “한정 상품” 같은 대목은 “몇 없는 상품”일 테고, “한정 인원”은 “몇 사람까지”일 테지요. ‘한정되다·한정하다’는 ‘뿐이다’나 ‘만이다’로 손보면 어울리니, 이러한 결을 낱말책에 담을 노릇이고, ‘제한하다’는 ‘막다’나 ‘끊다’ 같은 낱말로 손볼 수 있다는 결을 낱말책에 담으면 좋겠습니다.


분량(分量) : 수효, 무게 따위의 많고 적음이나 부피의 크고 작은 정도
부피 : 1. 넓이와 높이를 가진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 ≒ 체적 2. [수학] 입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 입방적·체적
체적(體積) : 1. = 부피 2. [수학] = 부피. ‘부피’로 순화


  ‘분량’은 “→ 부피”로 다룰 노릇입니다. ‘부피’를 풀이하며 덧붙인 ‘체적’도 “→ 부피”로 다루면 됩니다.


특이하다(特異-) : 1. 보통 것이나 보통 상태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다르다. ‘훨씬 다르다’로 순화 2. 보통보다 훨씬 뛰어나다. ‘독특하다’로 순화
다르다 : 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진 데가 있다
독특하다(獨特-) : 1. 특별하게 다르다 2. 다른 것과 견줄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
특별하다(特別-) : 보통과 구별되게 다르다 ≒ 타별하다
뛰어나다 : 남보다 월등히 훌륭하거나 앞서 있다


  한자말 ‘특이하다’는 “두드러지게 다르다”를 뜻한다지만, ‘다르다’라는 낱말이 “두드러진 데가 있다”를 뜻하니, 뜻풀이가 서로 엉성하게 겹칩니다. 다른 한자말 ‘독특하다·특별하다’도 이와 매한가지입니다. ‘특이·독특·특별’은 모두 “→ 다르다”라고만 다룰 노릇입니다. 참말로 ‘다른’ 뜻이 없는 한자말입니다.


의상(衣裳) : 1. 겉에 입는 옷 2. 배우나 무용하는 사람들이 연기할 때 입는 옷 3. 여자들이 입는 겉옷. 저고리와 치마를 이른다
옷 : 몸을 싸서 가리거나 보호하기 위하여 피륙 따위로 만들어 입는 물건 ≒ 의복(衣服)·의전(衣纏)


  ‘옷’이라는 낱말을 놓고 ‘의상·의복·의전’ 같은 한자말로 덧씌워야 할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모두 “→ 옷”으로만 다루면 됩니다. 이러면서 ‘옷’ 풀이를 새로 가다듬고, 쓰임새를 넓혀 주어야지 싶습니다.


리더십(leadership) : 무리를 다스리거나 이끌어 가는 지도자로서의 능력. ‘지도력’으로 순화
지도력(指導力) : 어떤 목적이나 방향으로 남을 가르쳐 이끌 수 있는 능력
이끌다 : 1. 목적하는 곳으로 바로 가도록 같이 가면서 따라오게 하다 ≒ 끌다 2. = 끌다 3. 사람, 단체, 사물, 현상 따위를 인도하여 어떤 방향으로 나가게 하다


  영어 ‘리더십’이 낱말책에 나오는데 ‘지도력’으로 고쳐쓰라 하면서 ‘이끌어’ 가는 힘이라고 풀이해요. ‘지도력’도 ‘이끄는’ 힘이지요. 그러니까 ‘리더십·지도력’은 모두 “→ 이끌다. 이끎힘”처럼 다룰 만합니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