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말 좀 생각합시다 7 빵 만들기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숲노래 말빛
말 좀 생각합시다 7 빵 만들기

 

  밥은 ‘짓’습니다. 또는 밥은 ‘합’니다. 그래서 ‘밥짓기·밥하기’ 같은 말을 씁니다. 밥은 ‘만들’지 않습니다. 옷이나 집도 ‘짓는다’고 합니다. 옷이나 집은 ‘만들’지 않아요. 그런데 요즈음 “주먹밥을 만든다”라든지 “짜장면을 만든다”라든지 “쌀로 만드는 음식”이라든지 “맛있는 밥을 만들자” 같은 말씨가 엉뚱하게 자꾸 퍼집니다.

 

  주먹밥을 할 적에는 “주먹밥을 뭉친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이미 지은 밥을 뭉쳐서 주먹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짜장국수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짜장국수는 ‘볶는다’나 ‘끓인다’고 말합니다. 또는 “짜장국수를 한다”고 합니다. “쌀로 하는 밥”이나 “쌀로 짓는 밥”이라 해야 올바르고, “맛있는 밥을 하자”나 “맛있는 밥을 짓자”라 해야 알맞아요.

 

  하늬녘(서양)에서는 예부터 ‘빵’을 먹습니다. 한겨레는 빵을 먹은 지 얼마 안 됩니다. 빵을 놓고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빵은 밥과 달리 짓거나 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빵은 으레 “빵 만들기”나 “빵 만드는 법”처럼 말하기 일쑤입니다. 그러면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빵을 만들 수 있을까요?

 

  누가 돌이나 나무나 시멘트나 쇠붙이 따위로 뚝딱뚝딱 ‘만든다’면 “빵 모습인 살림(조각 작품)을 만든다”고 할 만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입에 넣어 먹을 빵이라면, “빵을 굽다(빵굽기)”처럼 말해야지요. 빵은 굽지요. 만들지 않고 ‘굽다’라는 낱말로 나타내야지요. 과자도 빵처럼 ‘굽는다’고 해야 맞습니다. 만듦터(공장)에서 틀로 척척 찍는다면 이때에는 ‘만들다’를 쓸 테지만, 사람이 손으로 빚어서 먹는 빵을 가리킬 적에는 아무 낱말이나 쓰지 않아요. 반죽을 주물러서 예쁘장한 모습이 되도록 한다면 ‘빚다(빵·과자를 빚다)’라는 낱말을 써 볼 만합니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