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물날 이레말 - 한자말 6 기질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물날 이레말 6

 알량한 말 바로잡기

 기질 氣質

 

 낙천적인 기질 → 밝은 마음씨

 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작가 → 멋스러이 타고난 글님

 이 신문은 보수적 기질이 강하다 → 이 새뜸은 무척 낡았다

 반항아적인 기질이 나타난다 → 대드는 마음보가 나타난다

 직업에서부터 장이의 기질이 있었다 → 일부터 장이답다 / 일부터 장이 같다

 

  ‘기질(氣質)’은 “1. 기력과 체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기성(氣性) 2. 정주학파(程朱學派)의 학설에서 본연의 성(性)에 대하여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 3. [심리]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나 특정한 유형의 정서적 반응을 보여 주는 개인의 성격적 소질”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마음·마음씨·마음결’이나 ‘결·숨결·숨빛·느낌’이나 ‘넋·빛·빛살’로 손질합니다. ‘몸·몸빛’이나 ‘끓다·흐르다·-답다·-스럽다·같은·그렇다’이나 ‘힘·기운’으로 손질해도 돼요.

 

 

기질(奇疾) : 원인 모를 이상한 병

기질(基質) : 1. [생물] 결합 조직의 세포가 분비한 기본 물질 2. [생물] 곰팡이류나 지의류가 붙어 자라는 부착물 3. [생물]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속에 있는 액상의 물질 4. [화학] 효소와 작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예를 들면, 녹말은 그 효소인 아밀라아제의 기질이다 ≒ 효소기질

기질(器質) : 기량과 타고난 성질

 

 

인간의 기질은 제각기 달라서 다른 작품들을 각각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 사람은 저마다 달라서 다른 글을 저마다 즐겁게 고를 수 있다

→ 누구나 마음이 달라서 다른 글을 스스로 알맞게 누릴 수 있다

→ 누구나 다른 마음결이니 저마다 좋아하는 글을 읽을 수 있다

《예술과 인간가치》(멜빈 레이더·버트람 제섭/김광명 옮김, 이론과실천, 1987) 121쪽

 

우리 집안의 유전적인 기질일지는 몰라도, 우리만 유별나게 그런 것은 아니다

→ 우리 집안에 예부터 내려왔는지 몰라도, 우리만 남달리 그렇지는 않다

→ 우리 집안이 타고났는지 몰라도, 우리만 더 그렇지는 않다

→ 우리 집안 버릇인지는 몰라도, 우리만 남다르지 않다

→ 우리 집안이 물려받았는지 몰라도, 우리만 튀지 않는다

→ 우리 집안은 으레 그러한지 몰라도, 우리만 두드러지지 않는다

《나의 산에서》(진 C.조지/김원구 옮김, 비룡소, 1995) 14쪽

 

훈계에는 아이의 기질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것이 늘 뒤따라야 한다

→ 가르치려면 아이를 늘 사랑하고 헤아려야 한다

→ 아이를 늘 사랑하고 살피면서 가르쳐야 한다

《아이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전의우 옮김, 양철북, 2007) 60쪽

 

적극적이며 지도력 있는 역할과 기질이 요구되었습니다

→ 힘껏 앞장서야 합니다

→ 먼저 나서야 합니다

→ 스스로 이끌어야 합니다

《어린이 양성 평등 이야기》(권인숙, 청년사, 2008) 48쪽

 

그의 개인적 기질이나 정치적 성향 때문이 아니라

→ 그이 마음씨나 삶길 때문이 아니라

→ 그이 마음결나 삶결 때문이 아니라

《한국 교회의 일곱 가지 죄악》(김선주, 삼인, 2009) 225쪽

 

기질은 격하고 거칠어

→ 달아오르고 거칠어

→ 끓어오르고 거칠어

→ 발칵대고 거칠어

《하루카의 도자기 2》(플라이 디스크 글·니시자키 타이세이 그림/윤지은 옮김, 대원씨아이, 2012) 76쪽

 

별난 기질을 가지고 계셨던 아버지의 배려로 어렸을 적부터 그림 그리는 법을 잔뜩 배웠다

→ 마음씨가 남달랐던 아버지가 헤아려서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기를 잔뜩 배웠다

→ 여러모로 남다른 아버지가 마음을 써서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기를 잔뜩 배웠다

《아르테 1》(오쿠보 케이/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6) 63쪽

 

각 동물의 섬세한 특징이나 특이한 개성, 기질 등을 정확히 파악한다

→ 짐승마다 다 다른 결을 낱낱이 본다

→ 짐승마다 어떻게 다른가 하나하나 본다

→ 짐승마다 다른 마음이며 숨빛을 살핀다

《소의 비밀스러운 삶》(로저먼드 영, 홍한별 옮김, 양철북, 2018) 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