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9
가정식백반
‘가정식 백반’이라는 우리말은 없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이런 알쏭달쏭한 말이 널리 쓰입니다. 게다가 이 말이 아주 알맞거나 좋은 말이라고 여기는 사람이 부쩍 늘어납니다. 먼저 ‘가정식’이라는 말은 낱말책에 없는데, ‘가정(家庭) + 식(式)’이기 때문이고, 중국 한자말 짜임새입니다. ‘백반(白飯)’은 “흰밥”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옛날에 한겨레는 ‘흰밥’을 먹는 일이 드물었다고 합니다. 흰밥은 임금집(궁중)이나 가멸집(부잣집)에서 먹었고, 손수 흙을 가꾸어 나락을 일구던 시골사람은 ‘누런밥(현미)’을 먹었다고 합니다.
가만히 보면, 시골사람은 쌀로 다른 무엇을 빚을 때가 아니면 겨를 함부로 벗기지 않습니다. 갓 거둔 햅쌀이라면 겨가 있는 채로 밥을 지을 적에 한결 맛있습니다. 떡을 찌거나 쌀을 빚을 적에는 겉꺼풀뿐 아니라 속꺼풀도 많이 벗겨서 하얗게 되어야 다루기에 수월합니다. 이와 달리 밥을 먹을 적에는 겨만 살짝 벗길 적에 훨씬 고소하면서 맛이 나을 뿐 아니라 몸에 이바지해요.
떡을 찌거나 술을 빚는 나락은 ‘흰쌀’입니다. 밥을 끓이는 나락은 ‘누런쌀’입니다. 이때에도 ‘백미(白米)’나 ‘현미(玄米)’가 아닌 ‘흰쌀’이랑 ‘누런쌀’이에요. 그런데 ‘백미·현미’라든지 ‘백반’ 같은 낱말은 조선이란 임금나라(계급사회)에서 총칼나라(일제강점기·군사독재)를 거치는 동안 글붙이(지식인)나 벼슬터(관청)에서 두루 썼어요. 그무렵에는 삶터나 벼슬판이나 배움터나 마을 모두 ‘한자말만’ 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오늘날까지 그치지 않아서 ‘밥집’이 아닌 ‘백반집’ 같은 이름으로 남고, 요즈음에는 ‘집밥’이 아닌 ‘가정식백반’이라는 이름으로까지 퍼집니다.
집에서 짓는 밥은 ‘집밥’입니다. 밖에서 사먹는 밥은 ‘바깥밥’입니다. 가게에서 지어서 파는 밥은 ‘가게밥’입니다. 시켜서 먹는 밥은, 우리가 시킬 적에 날라다 주기에 ‘나름밥’이란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더 생각해 본다면, 집에서 먹는 밥은 으레 포근하면서 우리 몸마음을 살리기 마련이니, ‘포근밥’이나 ‘살림밥’처럼 새말을 지어도 어울립니다.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가정식백반 같은 충고들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집밥 같은 도움말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포근밥 같은 살가운 말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사랑스러운 말
《생활이라는 생각》(이현승, 창비, 2015) 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