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말 좀 생각합시다 12 지나침이 없다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2

 지나침이 없다

 

  배가 고플 적에는 “배고파” 하고 말해요. 배가 안 고플 적에는 “배 안 고파” 하고 말합니다. 그런데 어느새 “배고픔이 있어”나 “배고픔이 없어”처럼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사람이 나오더니 제법 늘어납니다. 말결을 살려서 쓰지 않고 일부러 이름씨꼴로 바꾸어서 쓰는 셈입니다.


  입으로 말을 할 적에는 이름씨꼴이 잘 안 나옵니다. 입으로 말을 하지 않고 글부터 먼저 쓰고서 이 글을 읽느라 “만사에 지나침이 없도록 하자”나 “모자람이 없습니다” 같은 말씨가 퍼집니다. “모든 일을 지나치지 않게 하자”나 “모자라지 않습니다”처럼 부드럽게 쓰던 말씨를 차츰 잊습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습니다” 같은 말은 그야말로 먼저 글을 쓴 뒤에 줄줄이 읽는 말씨입니다. 아마 글을 쓸 적에는 이처럼 이름씨꼴로 맞추어야 더 힘주어 말하는 듯 여길 만하겠지요. 그런데 말에는 알맹이가 있어야 참다이 힘이 있습니다. 말꼴만 이름씨로 바꾼다고 해서 힘이 생기지 않아요. 알맹이 없이 껍데기만 만지작거리는 글씨나 말씨는 오래갈 수 없습니다. “아무리 힘주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처럼 글을 쓰고 말을 하면 돼요.


  “망설임이 없다”가 아니라 “망설이지 않다”나 “안 망설이다”입니다. “설렘이 없다”가 아니라 “설레지 않다”나 “안 설레다”입니다. 힘주어서 말하고 싶다면 ‘안’을 앞에 넣을 만합니다. 오래 쓰면서 굳은 ‘두려움·웃음’ 같은 낱말도 “두려워 않다”나 “웃지 않는다”라 해야 매끄럽습니다. ‘졸다’를 ‘졸음’으로 쓰더라도 “졸려”라 말해야 또렷하고 짧지요. 굳이 “졸음이 와”라 해야 새 말씨가 되지는 않아요. “안 기다리고 가다”나 “기다리지 않고 가다”라 하면 돼요. “기다림이 없이 가다”라 하면 어설피 영어 흉내를 낸 옮김꼴입니다.


  더 헤아리면 “지나침이 없다” 같은 말씨는 “좋다”나 “된다”처럼 조촐히 나누던 말씨에 군더더기를 잔뜩 붙인 셈입니다. “그렇게 말해도 좋다”나 “그리 말해도 된다”입니다. “그렇게 표현해도 지나침이 없다”는 아닙니다. ㅅㄴㄹ


공동체의 파괴자라고 표현해도 지나침이 없다
→ 두레를 무너뜨린다고 해도 좋다
→ 모둠살이를 허문다고 해도 된다
→ 마을을 짓밟는다고 말할 만하다
《그들이 사는 마을》(스콧 새비지 엮음/강경이 옮김, 느린걸음, 2015) 2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