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무덤에 갇힌 말을 끌어낼 때
[오락가락 국어사전 18] 아리송한 올림말·풀이말
우리 낱말책은 어느 모로 보면 무덤입니다. 말이 싱그러이 살아서 숨쉬는 너른마당이 아닌, 송장 같은 말이 가득한 무덤이에요. 우리 낱말책에 잔뜩 낀 죽음 기운을 걷어내야지 싶습니다. 아리송한 올림말을 치우고, 야릇한 풀이말은 정갈히 가다듬어야겠습니다.
태연자약(泰然自若) : 마음에 어떠한 충동을 받아도 움직임이 없이 천연스러움 ≒안연자약
천연스럽다(天然-) : = 천연덕스럽다
천연덕스럽다(天然-) : 1. 생긴 그대로 조금도 거짓이나 꾸밈이 없고 자연스러운 느낌이 있다 2. 시치미를 뚝 떼어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체하는 태도가 있다
자연스럽다(自然-) : 1. 억지로 꾸미지 않아 어색함이 없다 2. 무리가 없고 당연하다 3. 힘들이거나 애쓰지 않고 저절로 되다
꾸밈없다 : 가식이 없이 참되고 순수하다
‘태연자약’은 ‘천연스럽다’를 거쳐 ‘천연덕스럽다·자연스럽다’로 나아갑니다. 그런데 두 한자말은 돌림풀이가 되면서 ‘꾸밈없다’로 이어가요. ‘꾸밈없다’ 뜻풀이를 “꾸미지 않아 참되고 맑다”쯤으로 손질하고서 ‘태연자약·천연스럽다·천연덕스럽다’를 “→ 꾸밈없다”로 다룰 만합니다. ‘자연스럽다’는 “1. → 꾸밈없다 2. → 마땅하다 3. → 저절로”로 다룰 수 있습니다.
천도(遷都): 도읍을 옮김 ≒ 이도(移都)
도읍(都邑) : 1. = 서울 2. 그 나라의 수도를 정함 3. 조금 작은 도회지
서울 : 1.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 경궐(京闕)·경도(京都)·경락(京洛)·경련(京輦)·경부(京府)·경사(京師)·경읍(京邑)·경조(京兆)·도부(都府)·도읍(都邑) 2. [지명] 한반도의 중심부에 있는 도시
‘도읍’을 옮긴대서 ‘천도’라 한다지만, ‘도읍 = 서울’이니, “서울을 옮김”으로 ‘천도’ 뜻풀이를 고칠 만한데, ‘천도 → 서울 옮기기’처럼 다루어도 됩니다. 그리고 ‘서울’이라는 낱말에 잔뜩 붙인 비슷한말이라는 한자말은 모두 털어내어도 됩니다.
경직(硬直) : 1. 몸 따위가 굳어서 뻣뻣하게 됨. ‘굳음’으로 순화 2. 사고방식, 태도, 분위기 따위가 부드럽지 못하여 융통성이 없고 엄격하게 됨 3. [의학] 근육이 수축하여 굳어지는 일
굳다 : 1. 무른 물질이 단단하게 되다 2. 근육이나 뼈마디가 뻣뻣하게 되다 3. 표정이나 태도 따위가 부드럽지 못하고 딱딱하여지다
뻣뻣하다 : 1. 물체가 굳고 꿋꿋하다 2. 풀기가 아주 세거나 팽팽하다 3. 태도나 성격이 아주 억세다
‘굳음’으로 고쳐쓸 ‘경직’이니 다른 뜻풀이를 더 붙이지 말고 “→ 굳다. 뻣뻣하다”로 다루면 됩니다. 그리고 ‘굳다·뻣뻣하다’가 돌림풀이로 나오니, 두 낱말을 제대로 갈라서 풀이를 다루어야겠습니다.
초근목피(草根木皮) : 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근(草根) : = 풀뿌리
목피(木皮) : = 나무껍질
풀뿌리 : 풀의 뿌리 ≒ 초근(草根)
나무껍질 : 나무의 껍질 ≒ 목피
거친밥 : x
막밥 : x
‘초근 + 목피’로 엮은 한자말은 “거친 밥”을 가리킨다지요. 그렇다면 ‘거친밥·막밥’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어 볼 만합니다. ‘초근’하고 ‘목피’는 낱말책에서 덜어도 되고요. ‘풀뿌리·나무껍질’ 뜻풀이는 “풀에 돋은 뿌리”하고 “나무에 있는 껍질”처럼 풀이말을 손질하면서 ‘-의’를 덜면 좋겠습니다.
맞춤길 : x
맞춤법(-法) : [언어] 1. 어떤 문자로써 한 언어를 표기하는 규칙. 또는 단어별로 굳어진 표기 관습 ≒ 정서법·정자법·철자법 2. = 한글 맞춤법
정서법(正書法) : [언어] = 맞춤법
정자법(正字法) : [언어] = 맞춤법
철자법(綴字法) : [언어] = 맞춤법
‘맞춤법’ 한 마디이면 넉넉합니다. ‘정서법·정자법·철자법’은 모두 낱말책에서 털어도 됩니다. 비슷한말로도 붙일 까닭이 없어요. 알맞고 쉽게 잘 지은 낱말이 있으면, 낡거나 딱딱한 말은 털어낼 수 있도록 낱말책을 추슬러야겠습니다. 또는 ‘맞춤길’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글을 맞추는 길이니, 이제는 한결 쉽고 부드럽게 ‘맞춤길’ 같은 말씨를 쓰면 좋습니다.
괴상망측(怪常罔測) : 말할 수 없이 괴이하고 이상하다
괴이하다(怪異-) : = 이상야릇하다
이상하다(異常-) : 1. 정상적인 상태와 다르다 2. 지금까지의 경험이나 지식과는 달리 별나거나 색다르다 3. 의심스럽거나 알 수 없는 데가 있다
망측하다(罔測-) : 정상적인 상태에서 어그러져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렵다
이상야릇하다(異常-) : 정상적이지 않고 별나며 괴상하다 ≒ 괴괴하다·괴이하다·괴하다·궤괴하다·면요하다
괴상하다(怪常-) : 보통과 달리 괴이하고 이상하다
야릇하다 : 무엇이라 표현할 수 없이 묘하고 이상하다
‘괴상망측’ 같은 한자말을 살피면 ‘괴이·이상·괴상·망측’을 거쳐 ‘야릇하다’로 오지만, ‘야릇하다’도 ‘이상하다’로 풀이하고, ‘이상야릇하다’ 같은 말까지 씁니다. 매우 어지럽습니다. ‘야릇하다’를 알맞게 쓰도록 이끌면 되고, ‘아리송하다·알쏭하다’를 쓰도록 이끌 수 있습니다.
교언영색(巧言令色) :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아첨하다(阿諂-) :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다 ≒ 미열하다·미첨하다·아미하다·아유하다·아종하다·첨유하다·첨하다
알랑거리다 :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환심을 사려고 다랍게 자꾸 아첨을 떨다 ≒ 알랑대다
알랑방귀 : 교묘한 말과 그럴듯한 행동으로 남의 비위를 맞추는 짓을 속되게 이르는 말
‘알랑거리다’가 있고, ‘알랑방귀’도 있어요. 이 낱말을 헤아릴 수 있다면 ‘교언영색’은 “→ 알랑말. 알랑거리다. 알랑방귀”로 다룰 만합니다. ‘아첨하다’는 “→ 알랑거리다”로 다루면 되어요. ‘아첨’에 붙은 갖은 비슷한말은 모두 털어낼 노릇입니다.
야근(夜勤) : 퇴근 시간이 지나 밤늦게까지 하는 근무. ‘밤일’로 순화
밤일 : 1. 밤에 하는 일 ≒ 야간작업·야공(夜工)·야업(夜業) 2. ‘성교(性交)’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밤샘 : 잠을 자지 않고 밤을 보냄 ≒ 철소·철야·철효·통소
밤샘일 : x
‘밤일’로 고쳐쓸 ‘야근’이라면 고쳐쓸 노릇이면서 뜻풀이도 지울 노릇입니다. 그런데 ‘밤일’을 살피니 ‘야간작업·야공·야업’ 같은 비슷한말을 붙이네요. 이런 한자말은 모두 낱말책에서 털어낼 노릇입니다. ‘밤샘’에 붙은 ‘철소·철야·철효·통소’도 모두 털어낼 수 있습니다. ‘밤일·밤샘’을 알맞게 쓰도록 이끌면서 ‘밤샘일’도 새롭게 쓰도록 이끌 수 있습니다.
무덤 :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 구묘(丘墓)·구분·구총(丘塚)·만년유택·묘지(墓地)·분묘(墳墓)·분영(墳塋)·유택(幽宅)·총묘(塚墓)
뫼 : 사람의 무덤 ≒ 묘(墓)·탑파(塔婆)
묘(墓) : = 뫼
묘지(墓地) : 1. = 무덤 2. 무덤이 있는 땅. 또는 무덤을 만들기 위해 국가의 허가를 받은 구역 ≒ 총지(塚地)
‘무덤’하고 ‘뫼’라는 낱말이 있으니 ‘묘·묘지’는 “→뫼. 무덤”으로 다루면 됩니다. 그런데 ‘구묘·구분·구총·만년유택·분묘·분영·유택·총묘’에다가 ‘탑파’까지 갖가지 비슷한 한자말을 잔뜩 실었군요. 이런 한자말을 굳이 써야 할까요? 모두 털어낼 노릇이지 싶습니다.
화(火) : 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
성 : 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
노엽다(怒-) : 화가 날 만큼 분하고 섭섭하다
노하다(怒-) : ‘화내다’ 또는 ‘화나다’를 점잖게 이르는 말
‘화’를 ‘성’으로 풀이하고 ‘성’은 ‘노(노엽다)’로 풀이하는데, ‘노엽다’난 ‘화’로 돌아갑니다. ‘화·노(노엽다·노하다)’는 “→ 성. 골. 부아”로 다룰 만합니다. 이러면서 ‘성·골(골부림)·부아’를 제대로 풀이해서 결이 다른 대목을 밝혀야지 싶어요.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