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말 좀 생각합시다 18 좋은 생각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8

좋은 생각

 

  영어로는 “굿 모닝!”이라 말하며 서로 절을 합니다. 영어를 고스란히 옮겨 “좋은 아침”이라 말하는 분이 있으나 어설픕니다. 이른바 옮김말씨(번역어투)예요. 아침을 맞이할 적에 우리말씨로 제대로 한다면 “아침입니다!”나 “아침이야!”예요. “아침입니다. 반갑습니다!”나 “아침이야. 반가워!”처럼 ‘반갑다’를 덧붙일 수 있어요. 우리말씨로는 따로 아침 낮 밤을 가리지 않으니 “반가워!”나 “반갑습니다!”라고만 해도 어울려요.

 

  옮김말씨인 “좋은 생각”이 있어요. 책이름으로도 있지요. “참 ‘좋은 생각’이야.”처럼 쓰기도 해요.

 

  이때에 고개를 갸우뚱해 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예부터 “‘생각’ 참 ‘좋네’.”나 “참 잘 ‘생각’했어.’”라 했습니다.

 

  ‘좋은’을 앞에 못 넣지는 않습니다. “‘좋은’ 생각”을 아예 안 쓸 까닭도 없습니다. 다만 ‘좋은’을 지나치게 아무 곳에나 쓰는 줄은 느끼고 헤아려야지 싶습니다. 좋은자리·좋은님·좋은벗·좋은하루·좋은날·좋은그림·좋은말·좋은책처럼 ‘좋은-’을 살려서 재미나거나 새롭게 쓸 만합니다. 여러모로 말길을 새로 열되, 이 터전에 알맞으면서 부드러이 흐르는 말결을 돌아보기를 바라요.

 

  영어라면 아침(모닝)이 뒤요, 좋은(굿)이 앞일 텐데, 우리말씨로는 “아침이 좋습니다”나 “아침이 좋아”예요. “낮이 좋습니다”나 “낮이 좋아”이지요. “이 책 읽으니 좋더라.”나 “네 생각이 좋더라”가 우리말씨예요.

 

  곰곰이 생각해 봐요. 아침·책·해·사람을 놓고 다 다르게 바라보고 다 다르게 받아들입니다. 누구는 좋다고 여겨도 누구는 나쁘다고 여겨요. 누가 좋거나 나쁘다다고 여기더라도 바탕이며 빛은 그대로 흐릅니다. 느낌(감정)을 나타내는 말씨인 ‘좋다·나쁘다’이기에 우리말씨로는 섣불리 앞에 안 쓰는 셈입니다. 느낌은 사람마다 다를 뿐이되, 느낄 무엇(아침·책·해·사람)은 오롯한 숨빛이기에, ‘ㄴ’을 가려서 “(나는) 아침이 좋다(고 느낀다)”처럼 들려주는 우리말씨입니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