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물날 이레말 - 한자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12
대중 大衆
대중을 위한 문화 시설 → 널리 누리는 살림
대중 앞에 서다 → 사람들 앞에 서다
대중을 모아 놓고 연설하다 → 모두 모아 놓고 얘기하다
‘대중(大衆)’은 “1. 수많은 사람의 무리 2. [사회 일반] 대량 생산·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 엘리트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수동적·감정적·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 3. [불교] 많이 모인 승려. 또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가볍다·손쉽다·수월하다·쉽다’나 ‘고루·고루고루·고루두루·골고루·두루·두루두루’나 ‘곳곳·여기저기·여러모로·이곳저곳·이래저래·이쪽저쪽’으로 손질합니다. ‘귀·눈·눈귀·눈길’이나 ‘꽃·물결·수수하다·투박하다·여느·시골꽃·이웃’이나 ‘너르다·널리·누구나·누구든지·누구라도·우리’로 손질할 만하고, ‘다·다들·모두·뭇사람·사람·사람들·여러 사람’이나 ‘들꽃·들님·들사람·들꽃사람·풀사람·풀님·풀꽃’으로 손질하면 돼요. ‘떡먹듯·밥먹듯·많다·벌떼·셀 길 없다·수북하다·숱하다’나 ‘자주·집집·흔하다’로 손질해도 되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대중’을 둘 더 실으나 싹 털어냅니다. ㅅㄴㄹ
대중(對中) : ‘중국에 대한’의 뜻을 나타내는 말
대중(臺中) : [지명] → 타이중
정말 대중의 주목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 참말 사람들 눈길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 참말 뭇눈길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 참말 숱한 눈길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아인슈타인 삶과 우주》(월터 아이작슨/이덕환 옮김, 까치, 2007) 326쪽
오로지 대중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막는 부도덕한 조직만이 사라져 없어질 것이다
→ 사람들이 마음대로 말하고 글쓰지 못하게 막는 나쁜 무리만이 사라진다
→ 누구나 거침없이 뜻을 밝히지 못하게 막는 못된 무리만이 없어진다
→ 우리 입에 재갈을 물리는 얄궂은 무리만이 사라진다
→ 들사람 입과 귀와 눈을 막는 몹쓸 무리만이 없어진다
《국가는 폭력이다》(레프 톨스토이/조윤정 옮김, 달팽이, 2008) 77쪽
“결국 대중은 동질보다는 이질을, 균등보다는 차이를, 하이테크보다는 하이터치를 희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질문을 던졌다
→ “곧 사람들은 같거나 고르게보다는 다르게, 높은솜씨보다는 포근손길을 바라지 않을까” 하고 물었다
→ “무릇 사람들은 똑같거나 나란하기보다는 달리, 높은길보다는 포근길을 바라지 않을까” 하고 말했다
《20대, 컨셉력에 목숨 걸어라》(한기호, 다산초당, 2009) 209쪽
문제는 대중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는 표지석이 기준 없이 중구난방으로 포진해 있다는 것
→ 눈길을 거의 받지 못하는 알림돌이 아무렇게나 있어 말썽이다
→ 사람들이 거의 못 알아보는 길잡이돌이 마구 깔려 골칫감이다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이장희, 문학동네, 2013) 10쪽
수십 년에 걸쳐 대중의 사랑을 받은 만화가이니
→ 긴 해에 걸쳐 널리 사랑을 받은 만화님이니
→ 오래오래 사람들이 사랑한 만화님이니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 6》(미카미 엔 글·나카노 그림/최고은 옮김, 디앤씨미디어, 2015) 49쪽
대중과 접점을 찾고 저변도 넓히면 좋겠습니다
→ 이웃과 만날 길을 찾고 바탕도 넓히길 빕니다
→ 사람들과 널리 만나고 텃밭도 넓히길 바랍니다
《도감이라는 것》(조영권, 자연과생태, 2018) 77쪽
최근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산림욕이라고 부르는 개념이 서구에서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 요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숲씻이라고 하는 길이 하늬녘에서도 눈길을 끈다
《야생의 위로》(에마 미첼/신소희 옮김, 푸른숲, 2020) 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