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4 삶맛
지난 2004년에 〈The Taste Of Tea〉라는 영화가 나왔고, 우리말로는 “녹차의 맛”으로 옮겼습니다. 아이들을 맞이하기 앞서 만났고, 아이들을 맞이하고서 이따금 이 영화를 함께 보았어요. 줄거리를 간추리자면 딱히 없다 싶으나, 다 다른 한집안이 다 다르면서 스스로 즐겁게 삶이라는 꽃을 피우는 길을 수수하면서 새롭게 숲빛으로 나아간다고 풀어낼 만합니다. 일본사람은 말을 할 적에 ‘の’가 없으면 막힙니다. 이와 달리 우리는 ‘-의’가 없대서 말이 안 막혀요. 저는 ‘-의’ 없이 서른 해 즈음 말을 하고 글을 씁니다만, 여태 막힌 일이 아예 없습니다. 글살림이 널리 안 퍼지던 지난날, 그러니까 누구나 손수 살림을 짓고 아이를 사랑으로 돌보며 숲살림으로 보금자리를 가꾸던 무렵에도 우리말에 ‘-의’는 아예 없다고 여겨도 될 만한 말씨였어요. 영화를 우리말스럽게 옮긴다면 ‘차맛’나 ‘녹차맛’입니다. 이웃님 한 분이 뜻깊에 읽은 책에서 “삶의 맛을 알 수 있어”에 밑줄을 죽 그으면서 되새기셨다고 해서 곰곰이 생각했어요. 영어를 옮긴 이 글자락은 “삶이 어떠한가 맛볼 수 있어”나 “삶을 맛보며 알 수 있어”로 손질할 만합니다. 우리로서는 “삶의 맛”이 아닌 ‘삶맛’입니다. 삶멋·삶길·삶꿈·삶글·삶말이에요.
ㅅㄴㄹ
삶맛 (삶 + 맛) : 삶에서 누리거나 느끼거나 나누는 맛. 오늘을 살거나 하루를 살면서 새롭게 겪거나 마주하거나 배우거나 알아차리는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