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곁말 12 주제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2 주제

​​

어릴 적부터 “○○하는 주제에” 소리를 익히 들었습니다. “힘도 없는 주제에”나 “골골대는 주제에”나 “못하는 주제에”나 “말도 더듬는 주제에” 같은 소리에 으레 주눅들었어요. “넌 그냥 쭈그려서 구경이나 해” 하는 말을 들으며 스스로 참 못났구나 하고도 생각하지만, ‘난 스스로 내 주제를 찾겠어’ 하고 다짐했어요. 어릴 적에는 우리말 ‘주제’가 있는 줄 모르고 한자말 ‘주제(主題)’인가 하고 아리송했습니다. 나이가 들고 나서는 “돈없는 주제에”나 “안 팔리는 주제에”나 “시골 주제에” 같은 소리를 곧잘 들으며 빙그레 웃어요. “주제모르고 덤벼서 잘못했습니다” 하고 절합니다. 이러고서 “돈없고 안 팔린다지만, 늘 즐겁게 풀꽃나무하고 속삭이면서 노래(시)를 쓰니, 저는 제 노래를 부를게요.” 하고 한마디를 보태요. 나설 마음은 없습니다. 들풀처럼 들숲을 이루면 넉넉하다고 여깁니다. 손수 지으면 모든 살림이 아름답듯, 언제나 끝없이 새롭게 샘솟는 손빛으로 신나게 글꽃을 지어서 그대한테 드릴 수 있어요. 이러고서 “돈있는 주제라면 둘레에 널리 나눠 주셔요. 저는 글쓰는 주제라 글꽃을 드리지요.” 하고도 읊습니다. 왁자지껄한 소리는 때때로 바람에 흘려 하루를 잊도록 쓰다듬어 주기도 하더군요.

주제 : 볼만하거나 넉넉하거나 제대로라 하기 어려운 모습·몸·몸짓·차림새 (못나거나 모자라다고 여길 만한 그릇·살림·삶)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