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9. 힘싸움
힘은 힘으로 막힌다. 힘으로 싸우려 들어서 이기거나 꺾으면, 다른 힘이 몰려들어 눌리거나 지게 마련이다. 그러나 둘레에서는 ‘힘겨룸’에 ‘힘다툼’에 ‘힘싸움’이 판친다. 사랑이 없이 힘으로 밀어붙이려 드니 겨루거나 다투거나 싸운다. 사랑은 모두 아우르고 녹인다. ‘사랑싸움’이라 말하는 사람이 있으나, 틀린 말씨이다. ‘짝싸움·짝꿍싸움’은 있지만, 사랑은 싸움을 녹여내는 길이니 ‘사랑싸움’이란 있을 수 없다.
힘싸움 (힘 + 싸우다 + ㅁ) : 힘을 내세우거나 앞세우거나 보여주면서 싸우거나 어떤 일을 하거나 밀어붙이기. (= 힘다툼. ← 기싸움, 백병전, 실력행사, 무력행사, 파워게임, 패권 경쟁, 경쟁)
10. 퀭하다
퀴퀴할 만큼이라면 가까이하기 어렵도록 고약하게 썩어서 냄새가 난다는 뜻이다. 케케묵다(켸켸묵다)는 그야말로 오래되고 낡아서 이제는 썩어 흙으로 돌아갈 때라는 뜻이다. 흙으로 돌아가면 퀴퀴한 냄새도 케케묵은 빛도 사라지면서 까무잡잡한 숲흙으로 바뀐다. 걱정이 가득하고 잠을 못 이루면 눈밑이 시커멓게 ‘퀭한’ 눈망울이 된다. ‘퀭눈’이다.
퀭하다 : 1. 눈이 쑥 들어가서 잠을 못 이룬 듯하고 기운이 없어 보여, 둘레를 못 느끼거나 모르다. 2. 크게 놀라거나 무슨 일인지 하나도 모른다는 듯이, 넋이 빠진 모습으로 눈에 빛이 없다. (= 퀭·퀭눈. ← 다크서클, 불면, 심려, 기우杞憂, 수심愁心, 우려, 우환, 불안, 상념, 고민, 폐弊, 노파심, 염려, 괘념, 고뇌, 번뇌, 백팔번뇌, 초조, 두통, 부심腐心, 위협, 우수憂愁, 우울, 침울, 울적, 음울, 암담, 암운, 저기압, 절망, 비관, 전전긍긍)
11. 봄맞이새
그대로 눌러앉으니 ‘텃새’이고, 철마다 보금자리를 바꾸니 ‘철새’이다. 새는 늘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가꾸기에 ‘텃새·철새’는 수수하게 새를 바라보면서 아끼는 이름이다. 그런데 이 낱말을 얄궂게 빗대는 자리에 으레 쓰더라. 그러면 새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새말을 지을 수 있다. 봄철새는 ‘봄맞이새’로, 겨울철새는 ‘겨울맞이새’라 할 만하다. 봄맞이꽃처럼 이름을 붙이고 겨울눈처럼 이름을 헤아린다.
봄맞이새 (봄 + 맞이 + 새) : 봄을 맞이할 즈음이나, 봄부터 여름 사이에 찾아오는 새. 봄을 누리려고 찾아와서 여름까지 누리다가 가을 무렵 돌아가는 새. (= 봄새·봄철새. ← 춘조)
12. 내림종이
커피콩을 갈아서 물을 내리지 않는다면 ‘내림종이’도 ‘거름종이’도 쓸 일이 없고, 이런 말마저 모를 수 있다. ‘거름종이’는 진작 올림말이었으나, 요새는 “커피를 내린다”고 말하면서 ‘내림종이’란 새말이 태어났는데, 아직 낱말책에는 안 오른다. 머잖아 국립국어원도 ‘내림종이’를 나란히 올려놓겠지.
내림종이 (내리다 + ㅁ + 종이) : 물만 내려서 받도록 사이에 놓는 종이. 알갱이·조각·부스러기는 지나가지 못 하도록 가라앉히면서 물만 흐르도록 사이에 놓는 종이. 잎물·차·커피를 마실 적에 잎·알갱이·커피콩은 종이에 남아서 못 빠져나가도록 하고, 잎·알갱이·커피콩에 깃든 숨결만 물에 섞이거나 타면서 천천히 내리거나 거르는 종이. (= 거름종이. ← 여과지,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