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아스라하다
어린날은 도무지 안 떠올라서 까마득하다고 여기기도 하지만, 언제나 눈앞에서 마주하듯 떠올리는 오래빛으로 삼기도 합니다. 마음이 멀다면 감감할 테고, 마음이 흐른다면 먼모습이 아닌 오늘빛이라 할 만합니다. 누구나 오늘을 살기에 어제 하거나 겪거나 보거나 듣거나 느낀 일만 해도 아득히 여길 수 있어요. 아무래도 해묵은 자취가 많기에 달래거나 손질하고픈 옛일일 수 있지요. 낡거나 묵어 창피한 자국이라 여겨 이제는 고치려 하거나 잘라내고픈 옛길일 수 있고요. 옛모습에 갇히면 새모습을 가꾸지 못합니다. 밑자리는 든든하게 다스릴 노릇이되, 뻔한 틀을 오래오래 붙들기만 한다면 고린내에 스스로 가두고 말아요. 마음을 억누르거나 삶을 짓누르는 모든 굴레는 털기로 해요. 뼈를 깎듯 애써도 되고, 하루하루 가다듬는 매무새로 피어나도 됩니다. 지난일을 잊지는 말되 자꾸 다그치지 않도록 다듬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가는 사람입니다. 뒷길로 빠지거나 옆길로 새는 삶이 아닌, 어깨를 펴고서 하늘빛을 머금는 숨길입니다. 아스라히 피어나는 아지랑이가 구름이 되어 비를 뿌리면, 이 빗물에 온몸을 맡겨 보아요.
ㅅㄴㄹ
감감하다·까마득하다·아득하다·아스라하다·어제·예·예전·옛·옛날·옛적·옛빛·옛길·옛모습·옛일·옛자취·오래되다·오랜·오래빛·지나가다·지나다·지나오다·가다·흘러가다·지난·지난길·지난날·지난때·지난일·낡다·묵다·케케묵다·해묵다·갇히다·고리다·구리다·쿠리다·멀다·먼길·먼모습·밑길·밑자국·밑자리·뻔하다·빤하다·지키다 ← 과거, 과거지사, 과거사, 과거 행적, 과거 풍경
다스리다·다독이다·달래다·추스르다·손질하다·손보다·고치다·다듬다·가다듬다·억누르다·짓누르다·깎다·털다·자르다 ← 자기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