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루 우리말 노래 : 쪽나루 늘빛 위밑옆 바람닫이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41. 쪽나루
버스나 기차가 이따금 서되, 따로 표를 파는 사람이 없는 데가 있다. 조그마한 나루이니 ‘샛나루’나 ‘쪽나루’라 여길 만한데, 빠른버스에 빠른기차가 늘면서 쪽나루가 사라지는가 싶었으나, 요즈음에는 곳곳에 새로 생긴다. 길종이(차표·티켓)를 표파는곳이 아닌 누리집이나 손전화로 사는 길이 퍼지면서, 예전에 ‘표파는 일꾼이 있던 나루’가 ‘표파는 일꾼이 없는 나루’로 바뀐다. 큰나루라면 일꾼이 있되, 작은나루라면 일꾼이 없다. 시골나루에도 차츰 일꾼이 사라진다.


쪽나루 (쪽 + 나루) : 이따금 서기에 타고내리기는 하되, 지키는 사람을 따로 두지 않고서 작게 사이에 놓은 나루. (= 작은나루·곁나루·샛나루·사잇나루. ← 간이역簡易驛, 간이정류소, 무인역無人驛, 무인정류소)

 

 

42. 늘빛·늘사랑·늘살림
바뀔 일이 없을 뿐 아니라, 끝날 일이 없다고 여기면, 잇고 이으면서 자꾸자꾸 새롭게 피어나는 결이다. ‘사랑’은 크기도 길이도 너비도 부피도 없이 오직 ‘사랑’이다. 이 사랑을 조금 더 새롭거나 힘주어 나타내고자 ‘늘 + 사랑’처럼 쓸 수 있다. 밑뜻을 본다면, ‘사랑’이기에 늘 따뜻하고 환하며 즐겁다. ‘늘사랑’은 겹말보다는 힘줌말로 여길 만하다. 사랑이란 늘 빛나는 결이기에 ‘늘빛’으로 나타낼 만하다. ‘늘빛’도 겹말이기보다는 힘줌말이다. 사랑이나 빛이나 살림은 겉모습으로 안 가린다. 참답게 어깨동무이기에 사랑이요 빛이다. 참다이 손을 잡고 함께 걸어가기에 사랑이자 빛이니, ‘늘사랑·늘빛·늘살림’처럼 새록새록 힘줌말을 여민다.


늘빛 (늘 + 빛) (= 늘사랑·늘살림) : 1. 늘 흐르거나 퍼지거나 솟거나 피어나거나 일어나거나 있는 빛. (← 영원불멸의 사랑, 일편단심, 일부종사, 일부일처, 일부일부一夫一婦, 부부애, 금실琴瑟, 금슬, 백년해로) 2. 끊이거나 끝나는 일이 없이 흐르거나 퍼지거나 솟거나 피어나거나 일어나거나 있는 모습·일·마음·삶. (← 변함없이, 만년萬年, 수미일관, 시종始終, 시종일관, 초지일관, 영원, 영원무궁, 영원불멸, 영원불변, 영구, 영구불변, 영속, 지속, 지속가능, 동일, 일관一貫, 항상성, 만고불변, 사시청청四時靑靑, 예의例-, 일생, 일평생, 평생, 한평생, 일일이, 매번, 매사, 매양每常, 번번番番, 만사萬事, 계속, 규칙적, 연속, 연쇄, 연방連方, 연달아, 연이어, 면면綿綿) 3. 늘 모두 열거나 펴거나 나누거나 지으려는 마음·모습·몸짓·힘. (← 진심, 정성精誠, 충성심, 신심信心) 4. 어느 자리·몸·결이어도 나란하거나 고르거나 빛나면서 어울리는 길. (← 성평등, 양성평등, 여성해방, 여성운동, 페미니즘, 여남평등, 남녀평등, 성소수자, 성적소수자性的少數者, 엘지비티LGBT, 동성애)

 

 

43. 위밑옆
위하고 아래를 함께 가리킬 적에는 ‘위아래’라 한다. 위랑 밑을 나란히 나타낼 적에는 ‘위밑’이라 한다. 위에 아래에 왼에 오른을 함께 가리킨다면? ‘위아래왼오른’처럼 조금 길 수 있는데, 단출히 ‘위밑옆’이라 할 만하다. ‘위밑곁’이라 해도 어울리고, ‘위밑둘레’라 해도 또렷하다. 생각해 보면 어디나 잘 볼 수 있고, 어느 곳이든 알맞게 그릴 수 있다.


위밑옆 (위 + 밑 + 옆) : 위와 밑과 옆(왼오른)을 함께 가리키거나 묶거나 나타내는 말. (= 위밑곁·위밑둘레·위아래옆·위아래곁·위아래둘레. ← 상하좌우)

 

 

44. 바람닫이

우리 옛살림을 돌아보면 ‘집’에 ‘문(門)’이 따로 없다. 으리으리한 기와집이나 임금집도 ‘길·턱’은 있되 ‘문(門)’을 안 두었다. 여느 살림집도 ‘닫이’가 있을 뿐이다. ‘닫이’는 “닫는 것”이고, ‘여닫이·미닫이’에 ‘가로닫이·세로닫이’로 나눈다. 더 보면, 우리 오랜살림에서는 ‘문(門)’뿐 아니라 ‘창(窓)’도 따로 안 두었다. ‘닫이 = 문 + 창’인 셈이다. 오늘날 집살림에서 ‘문·창’이란 한자말을 안 쓸 까닭은 없다. 곰곰이 생각하면서 새틀을 헤아리자면 ‘바람닫이’나 ‘바람길’ 같은 낱말을 여밀 만하다.

 

바람닫이 (바람 + 닫다 + -이) : 바람이 드나들 수 있는 길이면서, 바람이 드나들지 않도록 닫는 곳. 닫을 적에는 바람은 막되 햇볕은 들어올 수 있기도 하고, 해바람비를 다 가릴 수 있기도 하다. 열 적에는 바람하고 해를 알맞게 받아들이는 노릇을 한다. (= 바람길. ← 관문關門, 대문大門, 문門, 문턱門-, 문호門戶, 창窓, 창문, 장지문障子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