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글손질
다듬읽기 9
《환상의 동네서점》
배지영
새움
2020.9.22.
《환상의 동네서점》(배지영, 새움, 2020)을 읽는 내내 왜 일본말씨·옮김말씨를 이렇게 굳이 써야 하나 아리송했습니다. 수수하고 쉽게 우리말씨로 글결을 가다듬는 길은 처음부터 생각조차 안 했을까요. 책이름으로 붙인 ‘환상·의’부터 그냥 일본말입니다. 무늬만 한글입니다. 꿈같거나 아름답거나 즐겁거나 놀랍거나 멋지다는 뜻은, ‘꿈·아름다움·즐거움·놀라움·멋’이라는 우리말로 밝혀야 나눌 수 있습니다. “꿈같은 마을책집”이요, “멋스런 마을책집”이며, “아름다운 마을책집”입니다. 마을입니다. 일본이 총칼로 이 땅을 짓뭉개며 퍼뜨린 ‘동(洞)’이 아닌 ‘마을·고을·골·실·말’이 우리말이요, 우리 삶과 꿈과 빛과 길을 밝히는 씨앗입니다. 말씨 하나가 대수롭습니다. 작은책집과 마을책집 한 곳이 골골샅샅 대수롭듯, 조그마한 책 한 자락이 우리 숨결을 살찌우면서 대수롭듯, ‘길든 대로 쓰는’ 말이 아닌, 생각을 지펴서 어린이 곁에서 노래할 적에 빛날 말씨앗입니다.
ㅅㄴㄹ
감탄사는 갈고닦는 게 좋다
→ 느낌씨는 갈고닦아야 좋다
→ 메아리는 갈고닦아야 좋다
7쪽
동네 작가의 탄생을 열렬하게 축하해 주었다
→ 마을글꾼이 났다며 뜨겁게 반겨 주었다
13쪽
늦깎이로 입대하고 복무하고 제대하고 나니까
→ 늦깎이로 싸울아비로 지내고 마치고 나니까
27쪽
월세를 내는 날
→ 달삯을 내는 날
28쪽
빛을 받는 물체만이 색깔을 가진다
→ 빛을 받아야만 빛깔이 있다
→ 빛을 받으면 빛깔이 흐른다
30쪽
서점에는 상주작가가 있고, 책을 읽고 나서는 식욕이라는 게 폭발하는 학생들이 있는 이 도시는 근사하구나
→ 책집에는 깃글내기가 있고, 책을 읽고 나서는 잔뜩 배고픈 아이들이 있는 이곳은 멋있구나
→ 책집에는 깃새지기가 있고, 책을 읽고 나서는 무척 배고픈 아이들이 있는 이 고장은 멋지구나
35쪽
엉덩이 파워를 확인한 순간, 아이들의 얼굴에서는 열기 같은 게 나왔다
→ 엉덩이힘을 느낀 때, 아이들 얼굴에서는 뜨겁게 김이 나왔다
42쪽
최저시급이 인쇄되어 있는
→ 밑겨를삯을 찍은
→ 밑나절삯을 새긴
42쪽
민정 씨 같은 사람을 떠올리며 북클럽을 만들지는 않았다
→ 민정 씨 같은 사람을 떠올리며 책모임을 열지는 않았다
60쪽
책을 읽던 테이블 위에
→ 책을 읽던 자리에
84쪽
어린이의 신체 부위에서 가장 심술궂은 곳은
→ 어린이 몸에서 가장 짓궂은 곳은
→ 어린이한테 가장 고약한 곳은
103쪽
젊은 시절, 종근 씨는 신춘문예에 글을 보내곤 했다
→ 젊은날, 종근 씨는 글잔치에 글을 보내곤 했다
→ 젊은때, 종근 씨는 봄꽃글에 글을 보내곤 했다
→ 젊은철, 종근 씨는 새봄글에 글을 보내곤 했다
141쪽
작은 도시에서 한 달 살 거라는 나윤 씨의 다짐은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을까
→ 작은고장에서 한 달 살겠다는 나윤 씨 다짐은 이어갈 수 있을까
→ 작은고장에서 한달살이를 하겠다는 나윤 씨는 단단할 수 있을까
1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