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나무날 이레말 - 영어 12 트랜스젠더 아우팅 태그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트랜스젠더transgender

트랜스젠더 : x

transgender : 성전환의, 트랜스젠더의

transsexual : 성전환자

トランスジェンダ-(trans-gender) : 1. 트랜스젠더 2. 성별의 개념을 초월한 패션.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양쪽 요소가 섞여 있음 3. 사회적인 성차(性差)를 넘음

トランスセクシャル(transsexual) : 1. 트랜스섹슈얼 2. 성(性)전환자. 성전환의 3. 성도착자

​​

몸을 바꾸는 사람이 있습니다. 겉몸을 바꾸어 몸빛을 새롭게 합니다. 이러한 길은 ‘몸바꾸기·몸바꿈’입니다. “몸을 바꾸다”라 합니다. ‘바꾼몸·바꾼몸빛’이라 하거나 ‘바꾸다’라 하면 되어요. ‘새몸·새몸빛’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

성전환자(트랜스젠더)인 하리수 씨가 여자보다 예쁜 얼굴과 몸매를 과시할 때나 언론에 부각되고

→ 바꾼몸인 하리수 씨가 가시내보다 예쁜 얼굴과 몸매를 뽐낼 때나 새뜸에 뜨고

《우리 옆의 약자》(이수현, 산지니, 2006) 118쪽

자신의 성을 반대로 인식하는 사람이 바로 트랜스젠더다

→ 제 몸을 거꾸로 여기는 사람이 바로 새몸빛이다

《내 몸안의 과학》(예병일, 효형출판, 2007) 271쪽

한국에서도 하리수의 인기로 트랜스젠더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우리나라도 하리수가 사랑받아 바꾼몸이 널리 알려졌다

→ 우리도 하리수가 이쁨받아 새몸빛이 널리 알려졌다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김윤태, 책과함께, 2007) 88쪽

트랜스젠더는 긴 손을 휘둘러 영감의 민머리를 내리쳤다

→ 바꾼몸빛은 긴 손을 휘둘러 할배 민머리를 내리쳤다

《귓속에서 운다》(이창수, 실천문학사, 2011) 101쪽

하지만 청소년 트랜스젠더를 만나는 것부터가 쉽지 않았습니다

→ 그렇지만 새몸인 푸름이를 만나기부터가 쉽지 않았습니다

→ 그러나 몸을 바꾼 푸른씨를 만나기부터가 안 쉬웠습니다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민나리·김주연·최훈진, 오월의봄, 2023) 13쪽

 

 

아우팅·아웃팅outing

​아우팅 : x

아웃팅 : x

outing : 1. (보통 단체가 당일로 하는) 여행[견학], 야유회 2. [스포츠 비격식] (스포츠 대회) 출전[출장] 3. (본인은 원하지 않는데 남이 나서서 그가) 동성애자임을 밝힘[폭로함]

アウティング(outing) : 1. 아우팅 2. 소풍. 산책. 가까운 거리의 여행

​영어 ‘outing’을 ‘아우팅·아웃팅’으로 적는다고 합니다만, 우리말 ‘꺼내다·떠벌리다·지껄이다·이르다’나 ‘드러내다·들먹이다·들추다·떠들추다’로 옮길 노릇입니다. ‘들통나다·밝혀지다·밝히다·까밝히다’나 ‘새나가다·새나다·터뜨리다’로 옮겨도 됩니다. ㅅㄴㄹ

​​

가까운 친구까지 희원 씨를 외면하고 아우팅의 주동자가 됐다

→ 가까운 이까지 희원 씨를 등지고 앞장서서 떠벌렸다

→ 동무까지 희원 씨를 등돌리고 앞에서 까밝혔다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민나리·김주연·최훈진, 오월의봄, 2023) 29쪽

 

 

태그tag

​​

태그(tag) : 1. 가격 따위를 표시한 꼬리표 2. [체육] 프로 레슬링에서, 두 선수가 번갈아 상대와 겨루는 일 3. [체육] 야구에서, 야수(野手)가 손이나 글러브로 공을 잡은 다음 몸을 누(壘)에 대는 일. 또는 공이나 글러브를 주자에게 대는 일

tag : 1. (어떤 표시를 하기 위해 붙인) 꼬리표[태그] 2. (사람·사물을 묘사하기 위해 붙인) 꼬리표 3. (짧은) 인용구, (외국어로 된) 속담 4. (사람·사물을 묘사하는) 꼬리표를 붙이다

タグ(tag) : 1. 태그 2. (제품의) 꼬리표, 가격표. 3. [컴퓨터] 데이터의 구조·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

​​

꼬리처럼 붙입니다. 그래서 ‘꼬리·꼬리말·꼬리글·꼬리쪽’입니다. 꼬리처럼 붙여서 잘 알아보도록 마련하기에 ‘꽃적이·별적이·보람’입니다. 끝에 붙인다고 여기면서 ‘끝붙임·끝보탬·끝풀이·말꼬리’라 할 만하고, 보탠다고 여겨 ‘보탬말·보탬글·붙임말·붙임글’이나 ‘붙·붙말·붙글’이라 해도 어울려요. 아래에 붙인다고 여기면 ‘아랫잡이·아랫붙이’요, 그저 더 적는다면 ‘적이·적바림이’입니다. 굳이 붙인다는 뜻으로 ‘토·토씨’이기도 한데, 때로는 ‘대다·건드리다’나 ‘겨루다·붙다·다투다’로 고쳐쓸 영어 ‘태그’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태그가 달려 있네요

→ 꼬리가 달렸네요

→ 보람이 달렸네요

《매일 휴일 1》(신조 케이고/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