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41
낱말책 : 사전이라는 책 4
나라마다 다릅니다만 으레 이렇게 말합니다. ‘300∼500 낱말만 알아도 모든 생각을 다 나타내거나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말이지요. 영어에서도, 일본말에서도, 우리말에서도 똑같습니다. 프랑스말이나 독일말이나 네덜란드말에서도 똑같지요. 더 많은 낱말을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고작 ‘300∼500 낱말’만 알더라도 모든 생각을 얼마든지 담아낼 수 있어요.
왜 그러할까요? 우리는 ‘300∼500’이라는 바탕말이 있으면 이 바탕말을 알맞게 엮거나 붙이거나 자르면서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어느 한 가지를 나타내는 아주 새로운 낱말 하나가 있어야, 어느 한 가지를 똑똑히 나타낼 수 있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얼마든지 ‘어느 한 가지를 나타낼 또 다른 말을 새롭게 엮어서 쓸’ 수 있습니다.
‘300∼500’이라는 낱말로 이리저리 엮다 보면 끝없이 새말을 지을 수 있는데, 이렇게 말짓기를 하면서 이야기를 해도 즐겁지만, ‘300∼500’ 가지 낱말로 말짓기를 펼쳐서 생각짓기를 솜씨있게 할 줄 안다면, 이다음으로는 ‘1500∼2000’ 낱말로 넘어갑니다. 한 걸음(300∼500)을 넉넉히 디뎠기에 두 걸음(1500∼2000)째로 나섭니다. 두 걸음에 이르면 한결 넉넉한 바탕말로 한결 넓게 새말을 지을 수 있으니 훨씬 촘촘하면서 자잘한 데까지 생각을 그릴 만합니다.
두 걸음을 내디뎠으면 석 걸음도 내딛을 수 있어요. 석 걸음째에는 ‘5000’ 낱말로 말짓기·생각짓기를 합니다. 석 걸음을 넘어 넉 걸음째에는 ‘20000’ 낱말로 말짓기·생각짓기를 하지요. 넉 걸음을 넘어 다섯 걸음으로 가고 싶다면, 이웃말을 익히면 됩니다. 다른 고장이나 나라에서 쓰는 말을 익히면 되지요.
여러 걸음 바탕말을 밝혔습니다만, 이는 바로 낱말책이 가는 길입니다. 여러 걸음에 맞추어 바탕말을 사람들이 즐겁고 새로우며 사랑스레 살려서 쓰도록 북돋우고 이끌 적에 낱말책입니다. 말만 그냥 담지 않습니다. 걸음자리에 맞추어 바탕말을 다르게 삼아서 슬기롭게 다루는 길을 밝히기에 낱말책입니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