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25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내일의 피로 예정되어 있 행복감 차 있었

​​

내일(來日) : 1. 오늘의 바로 다음 날 ≒ 명일 2. 다가올 앞날

피로(疲勞) : 과로로 정신이나 몸이 지쳐 힘듦

예정(豫定) : 앞으로 일어날 일이나 해야 할 일을 미리 정하거나 생각함

행복(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

-감(感) : ‘느낌’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

​이튿날 고단하거나 힘들 수 있어요. 오늘 너무 힘을 쓴 탓에 다음날은 버겁거나 고될 수 있습니다. ‘행복감’처럼 붙이는 ‘-감’은 군더더기입니다. 즐겁거나 기쁘다고 말할 적에는, 이미 어떤 ‘마음’이거나 어떻게 ‘느끼’는가를 밝히거든요. “-어 있다”는 얄궂게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ㅅㄴㄹ

​​

내일의 피로는 예정되어 있지만 마음은 행복감으로 차 있었다

→ 이튿날은 고단하겠지만 마음은 즐겁다

→ 다음날은 고될 테지만 마음은 기쁘다

《책과 우연들》(김초엽, 열림원, 2022) 9쪽

 

 

ㄴ. 대신 국민들의 영원한 謝意 선물

​대신(代身) : 1. 어떤 대상의 자리나 구실을 바꾸어서 새로 맡음 2. 앞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와 다르거나 그와 반대임을 나타내는 말

한국(韓國) : 1. [역사] ‘대한 제국’을 줄여 이르는 말 ≒ 한 2. [지명] 아시아 대륙 동쪽에 있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공화국. 아르오케이(ROK:Republic of Korea) 또는 코리아(Korea)라고도 불린다

국민(國民) : 국가를 구성하는 사람. 또는 그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

영원(永遠) : 1. 어떤 상태가 끝없이 이어짐. 또는 시간을 초월하여 변하지 아니함 2. [철학] 보편적인 진리처럼 그 의미나 타당성이 시간을 초월하는 것 3. [철학] 신(神)이나 진실성처럼 시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

사의(謝意) 1. 감사하게 여기는 뜻 2. 잘못을 비는 뜻

선물(膳物) : 남에게 어떤 물건 따위를 선사함. 또는 그 물건 ≒ 물선

​저렇게 하기보다는, 그저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언제까지나 고마워할 수 있고, 기뻐하는 마음이며 빛을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음만 받자니 빈손이라 여기는 사람도 있을 테지요. 다만, 아무리 돈이나 살림살이를 잔뜩 안기더라도, 아무런 마음이 없다면 하나도 안 빛나요. 마음이 흐르기에 빛나고, 마음이 있어서 반가우며 고맙습니다. ㅅㄴㄹ

​​

대신 한국 국민들의 영원한 사의謝意를 선물로 받으십시오

→ 그저 우리한테서 한결같이 고마워하는 마음을 받으십시오

→ 그러나 우리나라가 늘 기뻐할 테니 마음을 받으십시오

→ 다만 한겨레가 언제나 반기는 마음을 받으십시오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와 외교관 이야기》(유복렬, 눌와, 2013) 122쪽

 

 

ㄷ. 실제로 존재

​​

실제(實際) : 1. 사실의 경우나 형편 2. [불교] 허망(虛妄)을 떠난 열반의 깨달음. 또는 진여(眞如)의 이체(理體) 3.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 실제로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있는지 없는지 모를 수 있습니다. 막상 있지 않으나, 아무래도 있다고 여기곤 합니다. 곰곰이 짚고 보았으나, 정작 하나도 없는데, 자꾸 있다고 느끼기도 하고요. 알고 보면 없어요. 아직 모르니까 있는 줄 여깁니다. 말 한 마디에 어떤 마음이 흐르거나 있는지 눈여겨보기를 바라요. ㅅㄴㄹ

​​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 막상 있지는 않지만

→ 정작 없지만

→ 알고 보면 없지만

《미래 세대를 위한 인공지능 이야기》(배성호·정한결, 철수와영희, 2023) 7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