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26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큰 책임

​​

도시(都市) : 일정한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온실가스(溫室gas) : [지구] 지구 대기를 오염시켜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가스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이산화 탄소, 메탄 따위의 가스를 말한다

배출(排出) : 1. 안에서 밖으로 밀어 내보냄 2. [수의] 동물이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여 항문으로 내보내는 일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책임(責任) : 1.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 ≒ 책 2. 어떤 일에 관련되어 그 결과에 대하여 지는 의무나 부담. 또는 그 결과로 받는 제재(制裁)

​뜨겁게 나오는 김이라면 ‘더운김’으로 여길 만합니다. 우리 삶터에 먼지처럼 나오는 김이라면 ‘먼지김’이라 할 만하고요. 서울은 우리나라 큰고장 가운데 가장 매캐합니다. 사람이 가장 많이 살되, 가장 어지럽고 가장 기름이며 물이며 돈을 많이 쓰는 데가 서울입니다. 서울이야말로 먼지김을 내쁨은 값을 톡톡히 치러야 한다고 여길 만합니다. 더운김을 너무 많이 내뿜었으니 크게 잘못했다고 여길 만하지요. ‘-에 대한 -ㄴ 무엇’은 일본말씨이자 옮김말씨입니다. “배출에 대한 큰 책임이 있어요”는 “배출한 책임이 커요”로 애벌로 손질하고서, “내뿜어서 책임이 커요”로 두벌로 손질한 뒤에, “내뿜어 크게 잘못했어요”나 “내뿜은 값을 치러야 해요”로 석벌째 손질합니다. ㅅㄴㄹ

​​

도시는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큰 책임이 있어요

→ 서울은 더운김을 내뿜어 크게 잘못했어요

→ 서울은 먼지김을 내뿜은 값을 치러야 해요

《키워드 기후위기 이야기》(이상수, 철수와영희, 2023) 98쪽

 

 

ㄴ. 물론 종자 영구 보관 것 불가능

​물론(勿論) : [이름씨] 말할 것도 없음 [어찌씨] 말할 것도 없이

종자(種子) : 1. 식물에서 나온 씨 또는 씨앗 ≒ 종(種) 2. 동물의 혈통이나 품종. 또는 그로부터 번식된 새끼 3. 사람의 혈통을 낮잡아 이르는 말

영구(永久) : 어떤 상태가 시간상으로 무한히 이어짐 ≒ 영항

보관(保管) : 물건을 맡아서 간직하고 관리함

불가능(不可能) : 가능하지 않음

​토씨만 우리말인 글이 부쩍 늘었습니다. 중국을 섬기거나 일본한테 억눌린 나라가 아니어도, 우리 스스로 말빛을 못 가꾸는 셈입니다. 풀씨에 꽃씨에 나무씨뿐 아니라, 말씨에 글씨도 오래오래 아름다이 흐르도록 건사할 노릇입니다. 두고두고 살갑고 사랑스레 빛나는 말씨로 가꾸기란 힘들까요? 어렵다고 여기니 어렵고, 버겁다고 여기니 버거워요. 그런데 마음을 기울이면 고이 둘 만하고, 곱게 추스를 만하며, 고스란히 살릴 만합니다. ㅅㄴㄹ

물론 종자를 영구 보관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 다만 씨앗을 내도록 건사하기는 힘들어요

→ 그런데 씨앗을 오래 두기는 어려워요

《키워드 기후위기 이야기》(이상수, 철수와영희, 2023) 157쪽

 

 

ㄷ. 최근 수난을 당하고 있다

​​

최근(最近) : 1. 얼마 되지 않은 지나간 날부터 현재 또는 바로 직전까지의 기간 2. 거리 따위가 가장 가까움

수난(受難) : 1. 견디기 힘든 어려운 일을 당함 2. [기독교]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당한 고난

당하다(當-) : 1. 해를 입거나 놀림을 받다 2. 어떤 때나 형편에 이르거나 처하다 3. 맞서 이겨 내다 4. 어떤 사람에게 부당하거나 원하지 않는 일을 겪거나 입다 5. 좋지 않은 일 따위를 직접 겪거나 입다 6. 일이나 책임 따위를 능히 해내거나 감당하다 7. 다른 것에 해당하거나 맞먹다 8. 사리에 마땅하거나 가능하다

​요새는 나무가 다들 시달립니다. 지난날에는 모든 마을이 나무를 품었으나, 요즘은 쇳덩이(자동차)가 넘치는 바람에 나무가 밀리고 밟히고 뽑히고 잘립니다. 힘든 나무를 품거나 가꿀 수 있을까요. 괴로운 나무 못잖게 고달픈 우리말도 북돋울 수 있을까요. ㅅㄴㄹ

​​

최근 구상나무가 수난을 당하고 있어요

→ 요새 구상나무가 시달려요

→ 요즘 구상나무가 힘들어요

→ 요즘 구상나무가 괴로워요

《키워드 기후위기 이야기》(이상수, 철수와영희, 2023) 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