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짓는 글살림 31. 꽃바르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31. 꽃바르다 여러 고장에서 살아 보면서 곳곳에서 달리 쓰는 말씨를 느낍니다만, 이 가운데 매우 다른 말씨 한 가지가 있으니 ‘내려오다·올라가다’입니다. 제가 나고자란 고장은 인천입니다. 모든 사람이 이렇게 말하지는 않으나, 적잖은 분들은 인천에서 수원이나 안산으로 갈 적만 해도 ‘내려간다’고 했습니다. 충청도나 대전에 갈 적에도 ‘내려간다’고 하지요. 그렇다고 인천에서 강화나 문산이나 파주에 가기에 ‘올라간다’고 하지 않아요. 인천서 서울로 갈 적에 비로소 ‘올라간다’고 합니다. 재미나다고 해야 할는지, 부산에서 인천에 오는 분도 더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인천서 부산에 갈 적에 ‘내려간다’고 하는 분도 많고요. 인천을 떠나 충북 충주에 살 적에는 대전으로 ‘올라간다’고 하는 분을 꽤 보았습니다. 대전에서는 충청도 곳곳으로 가는 길이 ‘내려간다’가 될 테지요. 전라도에서는 어떨까요? 먼저 광주에서 이곳저곳으로 ‘내려간다’고 합니다. 다른 고을에서 광주로 ‘올라간다’고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