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 노란쪽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노란쪽 지난날에는 누구나 볏섬을 지고 쌀자루를 날랐으나, 어느 때부터인가 ‘섬·자루’ 같은 낱말이 ‘푸대·포대’나 ‘봉투’란 한자말에 밀립니다. ‘꾸러미’가 ‘세트’한테 쓰임새를 잃으며 ‘꾸리·꿰미’는 더더욱 설 자리를 잃으니, ‘천바구니’로 조금 살아난다 싶은 말씨도 ‘에코백’ 앞에서 힘을 못 쓰더군요. 우리말도 넉넉히 보따리요 넘실거리는 타래입니다. 일본 한자말에 노란쪽을 매기거나 영어에 빨간종이를 붙여야 하지 않아요. 노랑도 빨강도 검정도 풀빛도 파랑도 무지개처럼 어우러지는 빛종이로 삼아서 누리면 됩니다. 글월을 담아 글월자루에 글자루요, 실꾸리나 달걀꿰미뿐 아니라, 책바구니에 생각보따리에 이야기타래를 엮을 만합니다. 이웃나라에서 쳐들어와 우리말을 짓밟은 적이 있습니다만, 스스로 우리 살림을 사랑하지 않을 적에는 스스로 때려부수거나 짓찧는다고 느껴요. 모든 말에는 살림을 가꾸면서 사랑스레 펴는 삶이 흘러요. 고운 텃말을 살리는 길보다는 일바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