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저자의 著者 저자의 분신과 같은 책에 → 글님과 한몸 같은 책에 저자의 서명이 들어갔다 → 지은이 이름이 들어갔다 저자의 능력을 의심하지 않았다 → 붓님 솜씨를 믿었다 ‘저자(著者)’는 “글로 써서 책을 지어 낸 사람”이라고 해요. ‘저자 + 의’ 얼개라면, ‘-의’를 털면서 ‘글쓴이·글꾼·글보·글님·글바치·글지기’나 ‘지은이·지음이’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쓰는이’나 ‘글그림’이나 ‘붓잡이·붓바치·붓꾼·붓님’으로 고쳐써도 되어요. ㅅㄴㄹ 흥미로운 것은 대개의 낙서들이 ‘익명성’을 담보로 종횡무진 ‘육담’을 풀어놓고 있는 것과 달리, 이 ‘낙서-시’에는 저자의 ‘서명’이 뚜렷이 적혀 있다는 것이다 → 재미있다면 웬만한 글장난이 ‘이름을 숨기’면서 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영혼 사자의 영혼을 정화하다 → 죽은이 넋을 다독이다 할머니의 영혼을 보았다 → 할머니 넋을 보았다 ‘영혼(靈魂)’은 “1. 죽은 사람의 넋 2. 육체에 깃들어 마음의 작용을 맡고 생명을 부여한다고 여겨지는 비물질적 실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영혼’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넋·얼’이나 ‘숨·숨결’이나 ‘빛’으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그 목적은 잠시나마 사람의 영혼을 가두어 두기 위함이다 → 한동안이나마 사람들 넋을 가두어 두려는 뜻이다 → 조금이나마 사람들 숨결을 가두어 두려고 한다 《아나스타시아 5 우리는 누구?》(블라지미르 메그레/한병석 옮김, 한글샘, 2010) 10쪽 모든 사람의 영혼은 신성해서 우주의 근원과 맞닿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관심 너의 관심이 필요했어 → 네가 마음쓰기를 바랐어 / 네가 보기를 바랐어 누구의 관심도 원하지 않는다 → 누구도 보기를 바라지 않는다 아버지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서 → 아버지 눈길을 한몸에 받고서 ‘관심(關心)’은 “어떤 것에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임. 또는 그런 마음이나 주의 ≒ 관념(關念)”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관심’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눈·눈귀·귀·손길’이나 ‘눈결·눈꽃·눈귀·눈길·눈망울’로 고쳐씁니다. “눈길을 모으다·눈길을 받다·눈길을 끌다·눈길이 쏠리다”나 “눈길이 가다·눈이 가다·눈을 반짝이다·눈이 번쩍하다”로 고쳐써도 됩니다. ‘눈담다·눈여겨보다·눈돌리다’나 ‘듣다·귀담아듣다·귀여겨듣다·귀를 기울이다’나 ‘보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생명 하나의 생명을 보호한다 → 한 목숨을 돌본다 바다의 생명을 보존하도록 → 바다숨결을 지키도록 책의 생명을 오래 유지한다 → 책빛을 오래 잇는다 ‘생명(生命)’은 “1. 사람이 살아서 숨 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 2. 여자의 자궁 속에 자리 잡아 앞으로 사람으로 태어날 존재 3. 동물과 식물의, 생물로서 살아 있게 하는 힘 4. 사물이 유지되는 일정한 기간 5. 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하지요. ‘-의 + 생명’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목숨·숨·숨결’이나 ‘삶·살림·살다·살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몸·몸뚱이’나 ‘아이·아기’나 ‘빛·넋·님’으로 손보아도 되고, ‘꽃’이나 ‘으뜸·첫째·먼저·꼭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색깔 옷의 색깔이 강렬하다 → 옷빛깔이 너울댄다 꽃의 색깔의 변화를 관찰한다 → 바뀌는 꽃빛을 지켜본다 구름의 색깔을 보고서 → 구름빛을 보고서 ‘-의 + 색깔’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빛깔·빛’으로 손질합니다. 앞말하고 붙여서 “몸의 색깔”은 ‘몸빛·몸빛깔’이라 할 만하고, “풀의 색깔”은 ‘풀빛·풀빛깔’이라 하면 됩니다. ㅅㄴㄹ 흙의 색깔이 된다는 것을 → 흙빛이 되는 줄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한승원, 문학과지성사, 1995) 29쪽 잇몸의 색깔이나 혀의 색깔이 평소보다 하얗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잇몸 빛깔이나 혀 빛깔이 여느 때보다 하얗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잇몸이나 혀가 여느 때보다 하얗게 보일 때도 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원천 사유의 원천은 숲이었다 → 생각샘은 숲이었다 / 생각은 숲에서 싹텄다 비리의 원천을 봉쇄한다 → 말썽 밑싹을 막는다 ‘원천(源泉)’은 “1.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 2. 사물의 근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원천’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샘·샘물·샘터’나 ‘물길·물줄기’나 ‘모·뿌리·싹·싹눈·싹수·느자구·움’으로 손볼 만합니다. ‘싹트다·싹나다·움트다·솟다·트다’나 ‘밑·밑동·밑거름·밑그림·밑모습’이나 ‘밑바탕·밑절미·밑짜임·밑틀·밑판’으로 손보아도 되고, ‘밑받침·밑밥·밑뿌리·밑싹·밑자락·밑줄기’나 ‘바탕·바탕길’로 손볼 수 있어요. ㅅㄴㄹ 셀마에게 경제적 안정을 가져다주었다. 과연 팔룬은 부의 원천임에 틀림없다 → 셀마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교육 오늘의 교육을 살핀다 → 배우는 오늘을 살핀다 / 오늘날 배움길을 살핀다 과거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 지난날 배움틀에서 벗어나 집안의 교육에 좌우된다 → 집안 가르침에 따른다 ‘교육(敎育)’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교육’ 얼거리는 ‘-의’를 털거나 ‘-을·-를’ 토씨를 붙이면서 ‘배우다·가르치다’나 ‘배움길·배움틀’ 같은 낱말로 손볼 만합니다. ㅅㄴㄹ 성교육이 거의 황무지에 가까운 이 나라의 교육환경에서 → 사랑을 거의 못 가르치는 이 나라 배움터에서 → 참사랑을 거의 못 다루는 이 나라 배움판에서 《아버지가 버렸다》(고도원 외, 오상사, 1983) 41쪽 자기 나라 영재들의 박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토씨 우리말 ‘골’을 보면, ‘고을’을 줄인 말이고, ‘골짜기’를 가리키고, ‘머리에 깃들어 생각을 일으키는 곳’이고, 아플 적에 ‘골골’대고, 부아가 나는 모습을 ‘골’을 부린다고 나타냅니다. 글씨는 같아도 쓰임새는 다른 ‘골’은 ‘10000’을 세는 오랜 이름이기도 합니다. 다 다른 말에는 모두 다른 삶이 흐릅니다. 하루하루 살아오며 새롭게 뜻을 보태고, 도란도란 어우러지면서 여러 이야기가 붙습니다. 문득문득 이 길을 돌아봅니다. 즐겁게 읽어 꽃적이를 해놓은 글을 되새기고, 사랑이 흘러넘치는 말마디를 곱씹습니다. 나락이 물결치던 들은 까막까치하고 참새하고 멧비둘기가 내려앉는 빈들로 바뀝니다. 한가을까지 노래를 들려주던 뭇풀벌레는 겨울을 맞이하면 모조리 흙으로 갑니다. 아침저녁으로 흐르는 바람은 숱한 숨결이 엮는 노래를 들려줍니다. 밤마다 돋는 별은 덧말도 군말도 없이 반짝이는 마음을 밝힙니다. 일마다 토를 붙이는 사람이 있지만, 아무런 토씨가 없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동안의 (낯) 동안(童顔)의 피부를 유지한다 → 앳된 살결을 건사한다 동안(童顔)의 매력을 발산하다 → 어린빛을 곱게 뿜는다 ‘동안(童顔)’은 “1. 어린아이의 얼굴 2. 나이 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어린아이 같은 얼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동안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어내고서, ‘어리다·어린빛·어린이’나 ‘앳되다·애티’나 ‘아이넋·아이빛·아이낯·아이얼굴’로 손봅니다. ‘풋내·풋풋하다·푸르다’나 ‘곱다·귀엽다’나 ‘맑다·말갛다·해맑다·깨끗하다·보얗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내가 본 얼굴은 동안의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앳된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앳되었다 → 내가 본 사람은 애티 나는 얼굴이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그녀의 그녀의 소원이었다 → 그이 꿈이었다 / 그님이 바랐다 그녀의 사생활 → 그이 하루 / 그님 삶 / 그분 나날 그녀의 이름이 궁금하다 → 그이 이름이 궁금하다 / 그대 이름이 궁금하다 일본 말씨인 줄 널리 알려진 ‘그녀(彼女)’에 ‘-의’를 붙이면 겹으로 일본 말씨입니다. 요새는 어머니나 아주머니나 아가씨뿐 아니라 딸아이나 할머니한테까지 ‘그녀’를 섣불리 쓰는 분이 늘어납니다. 여느 자리는 ‘그·그이·그님·그대·그분’으로 고쳐쓰고, 어떤 사람이나 숨결을 가리키는가를 살펴서 알맞게 가다듬습니다. 어린 가시내를 가리키는 자리라면 ‘아이·이 아이·그 아이’로 가다듬으면 됩니다. ㅅㄴㄹ 대여섯 살 된 계집아이 하나와 / 그녀의 어머니가 손잡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