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오덕 우리 말 생각(사상) 1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한실 손보아 옮김 ]

 

이 글은 이오덕님 <우리글 바로쓰기> 1,2,3 과 <우리월(문장) 쓰기>를 간추려, 빗방울(김수업)님이 하신 말씀을 한실이 배달말 아닌 말을 되도록 배달말로 바꾸어 고쳐 놓았습니다. 본디 글은 묶음표 안에 묶어 놓았어요. (이오덕님이 우리글 바로쓰기를 내놓은 지 서른 해가 되었고, 빗방울님이 이 말씀을 한 지도 열다섯 해가 지났어도 우리말을 왜 살려 써야 하고 어떻게 살려낼지를 아주 잘 간추린 말씀이어서 세 차례에 나누어 싣습니다.)

 

 

첫(제1회) 이오덕 배움(공부) 마당 : 김수업 (선생)님 알맹이 말씀(주제 발표)

때: 2006. 8. 24. 10:00-16:00

 

이오덕 우리 말 생각(사상)

-《우리글 바로쓰기》와 《우리 월(문장) 쓰기》를 다시 읽으며-

 

 

  1. 들머리에서

   보내주신 글 이름(제목)에 걸맞은 이야기를 할 만한 마련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짬(시간)이 모자란 탓도 있지만 저가 게을러서 이오덕님(선생의) 삶을 꼼꼼히 살피지 못하고 남긴 글을 두루 찾아 알뜰히 읽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훌륭한 분들이 나서서 그분(의)삶과 글을 샅샅이 살펴 ‘이오덕 우리 말 생각(사상)’을 오롯이(온전히) 밝혀주시기를 바랄 따름입니다.

저는 그저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옛말(속담)에 기대어 먼저(우선) 손쉬운 밑감(자료)만으로 보잘것없는 생각(소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손쉬운 밑감(자료)이란 이오덕님(선생)이 우리말을 두고 생각한 바를 알아듣기 쉽도록 간추려 속속들이 밝혀놓은 《우리말 바로쓰기》1(1989), 2(1991), 3(1995)과 《우리 월(문장) 쓰기》(1992)를 이르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떳떳하지 못(구차)하지만 작은 글 이름(제목)을 달아서 읽으시는 분들이 잘못알(오해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사실) 저로서는 이들 책을 다시 읽으면서 이오덕님(선생)이 우리말을 어떻게 사랑하고 걱정했는지 다시 되새겨볼 수 있어서 새삼 남모르는 기쁨을 누렸음(다는 사실)도 털어놓아야겠습니다.

그러니까 (실상) 저가 여기서 드리는 말씀은 이오덕님(선생)이 이들 책에서 낱낱이 간추려 똑똑하게 밝혀놓은 것에서 한 발짝도 더 나가지 않았습니다. 말할 것도 없이(물론) 저가 나름대로 드릴 말씀(의) 틀을 짜기는 했지만 이야기 바탕에서도 할 수 있는 데까지 그분(의) 글을 그대로 따와서 보이려고 애썼습니다. 그분(의) 목소리를 곧바로 들어보는 것이 제(저의) 말로 바꾸어 풀이하는 소리를 듣는 것보다 여러분에게 훨씬 또렷하게 다가갈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내주신 글 이름(제목)에서 ‘사상’이라는 낱말은 아무래도 살갑게 다가오지 않았습니다. 배곳 배움을(학교 공부를) 적잖이 하면서 하도 많이 들어온 말이라 알 듯은 하면서도 정작 속살을 만질 수가 없고 속내를 들여다볼 수도 없었습니다. 속살을 만지고 속내를 들여다보고 싶어서 어쩔 수 없이 일본으로 갔다가 중국으로 갔다가 마침내 그리스(서양의 희랍)까지 건너가서 실컷 헤매보기도 하겠지만 끝내(결국은) 어림짐작만 하고 돌아오는 수밖에 없게 되지 않습니까?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큰마음을 먹고 ‘사상’을 그냥 ‘생각(의) 알맹이’ 쯤으로 뒤쳐 놓고 이야기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드리는 말씀(의) 글 이름(제목)은 <이오덕 우리 말 생각(의) 알맹이> 쯤이 되는 셈입니다. 제 뒤침이 서툴러 잘못을 저질렀으면 부디 깨우쳐주시기 바랍니다.

 

  2. 생각(의) 알맹이를 담은 두 그림표

  이오덕님(선생)은 우리말을 두고 생각하신 바를 《우리글 바로쓰기》 세 책과 《우리 월(문장) 쓰기》에다 남김없이 쏟아놓았습니다. 그래서 이들 네 책 가운데 맨 나중에 펴낸 《우리글 바로쓰기》3에서는 ‘머리말’을 아예 ‘『우리글 바로쓰기』를 마무리 지으면서’라고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 같은 이름으로 내는 책은 이것으로 끝내기로 하고......” 했습니다. 해야 할 말을 남김없이 했으니 이제는 아무런 못다함(미련)이 없다면서 손을 툴툴 터는 듯한 느낌을 일으키는 말입니다.

이들 네 책을 다시 곰곰이 읽으면서 보니까 이오덕님(선생)은 ‘말과 글’을 살피며 스스로 깨달은 바를 간추려 두는 일도 잊지 않았습니다. 말할 것도 없이(물론) 먼저 나온 두 책에서는 그런 일을 하지 않았고, 나중에 나온 셋째와 넷째 책에다 간추려 그림표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1992해(년)에 펴내놓은 셋째 책 《우리 월(문장) 쓰기》에서는 아주 조촐(단순)한 그림표를 만들었습니다.

 

㉠ : ① [말] → [글]

     ② [삶] → [생각] → [말]

     ③ [말] ← [글](중국글․일본글․서양글)

     ④ [삶] ← [생각] ← [말] ← [글]

 

  이것은 겉으로 보기에 몹시 조촐(단순)하지만 이오덕님(선생)이 우리말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 알맹이를 매우 또렷하게 간추려 담고 있습니다. 화살표가 바로 나가는 ①과 ②는 마땅히 이루어져야 하는 ‘바른 흐름’을 드러내 보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지난 삶(역사)도 아니고 이제 삶(현실)도 아닙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네 지난 삶과(역사와) 이제 삶(현실)은 화살표가 거꾸로 나가는 ‘잘못된 흐름’인 ③과 ④라고 했습니다. 거꾸로 나가는 우리네 지난 삶과(역사와) 모둠살이(사회의) 흐름인 ③과 ④를 어떻게 하면 올바로 나가는 ①과 ②(의) 흐름으로 바꿀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이오덕님(선생)을 휩싸고 괴롭히는 생각(의) 모두입니다. 그리고 그런 생각을 낱낱이 밝혀서 풀어놓은 것이 다름 아닌 이들 네 책(의) 속살입니다.

그런데, 1995년에 펴내놓은 마지막 책 《우리글 바로쓰기》3 에서는 이보다 한결 겹쳐 뒤섞인(복잡한) 그림표를 만들었습니다.

 

㉡  ● 말과 글 짜임(의 관계) 그림

ㆍ 말과 글이 맞서서 어긋나고 거꾸로 흐르는 지난 삶과(역사와) 모둠살이(사회) 짜임

     ⇒ 바로 흐름       → 거꾸로 흐름

 

                                     ㉮                                                            ㉯

(제(본) 자리)                  [ 말 ]                         ⇒                            [ 글 ]          ❶

                                    |                                                             |

(잘못된 흐름)               [ 입말 ]                       ←                          [ 글말(책) ]    ❷

                                    |                                                             |

   (어른)                 [여름지기와(농사꾼과)       ←                         [책을 읽고     ❸

                            그밖에 일하면서          (배움(교육)․                  글 속에 사는

                            사는 백성들]               뱀뱀이(교양)․               이들 –알음알이꾼(지식인),

                                                             깨우침(계몽)․               글쟁이(문필가), 갈이(학자),

                                                             말꽃(문학)․                믿음꾼(종교인), 벼슬아치(관리),

                                                             재주(예술)․                  판가름아치(법관)]

                                                             갈(학문)) 

                                   |                                                               |

(갈배움(교육))           [어린이(학생)]                ←                          [갈침이(교육자(어른)]  ❹

                                                            배움책 (교과서)

                                   |                                                              |

   (뿌리)                   [ 나, 우리 ]                     ←                           [ 남의 것 -       ❺

                                                                                                     중국․일본․

                                                                                                         서양 ]

                                  |                                                               |

 (바로                     [삶]→[말]                       ⇒                              [ 글 ]            ❻

  세우기)                                           (삶을 가꾸는 글쓰기,

                                                         우리 말 살리기)

                                  |                                                                |

                             말과                                                 나와 겨레를 거스름(부정),

                           어린이와                         다른나라 우러름(외국숭배), 큰나라 섬김(사대주의),

                          겨레를 살리는                     힘과 자리 섬김(권위주의), 겨레 거스림(반민족),

                                길                                백성 임자됨 거스림(반민주), 사람 거스림(반인간),

                                                                     누리 거스림(반자연)

 

  보시다시피 세로로 ㉮와 ㉯의 두 줄로 마련했습니다. ㉮ 쪽으로는 [말], [입말], [여름지기(농사꾼), 일하면서 사는 백성들], [어린이, 배움이(학생)], [나, 우리], [삶]→[말], 이렇게 줄을 지어 있고, ㉯ 쪽으로는 [글], [글말], [책을 읽고 글 속에 사는 이들], [갈침이(교육자(어른)], [남의 것-중국․일본․서양], [글], 이렇게 줄을 지어 있습니다. 그리고 ㉮ 쪽은 “말과 어린이와 겨레를 살리는 길”이라고 맨 밑에다 밝혀놓고, ㉯ 쪽은 “나라와 겨레를 거스르고, 다른 나라 우러르고, 큰 나라 섬기고, 힘으로 다스리고, 겨레에 맞서고, 백성에 맞서고, 사람에 맞서고, 누리흐름에 맞섬(부정, 외국숭배, 사대주의, 권위주의, 반민족, 반민주, 반인간, 반자연”)이라고 또한(역시) 맨 밑에다 못을 박았습니다. 사람과 누리를(세상) 살리고 나라와 겨레를 살리려면 ㉮ 줄을 튼튼하게 가꾸어야 하고, 사람과 누리를(세상을) 죽이고 나라와 겨레를 죽이려면 ㉯ 줄을 튼튼하게 꼬아야 한다는 뜻을 환하게 밝혔습니다.

또 한편 가로로는 ❶에서 ❻까지 여섯 줄로 마련했습니다. 맨 처음과 맨 끝인 ❶과 ❻에는 바로 흐름(⇒)이라 밝혀 놓았고, 가운데 들어 있는 ❷와 ❸과 ❹와 ❺에는 거꾸로 흐름(←)이라 밝혀 놓았습니다. 앞 책(의) 그림표 ①과 ②를 여기서는 맨 처음과 맨 끝으로 갈라 ❶과 ❻이 되게 하고, 앞 책(의) 그림표 ③과 ④를 여기서는 ❷와 ❸과 ❹와 ❺로 나누어 가운데 싸잡은 셈입니다. 말하자면 본디 제자리(본 자리)로 마땅하게 바로 흐르던 ❶에서 비롯하여 잘못된 흐름으로 들어서서 거꾸로 흐른 ❷와 ❸과 ❹와 ❺를 거쳐 마침내 우리가 일으켜 세워 다시 바로 흐르게 해야 할 ❻까지를 차례로 잡아 베푼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셋째 책(의) 그림표 ㉠과 넷째 책(의) 그림표 ㉡은 서로 적잖이 다른 뜻을 담고 있는 듯도 합니다. 그러나 꼼꼼히 살펴보면 ㉠과 ㉡은 조금도 다른 뜻을 담은 것이 아닙니다. 다만 ㉠ 속에 갈무리해 두었던 생각(의) 속살들이 ㉡에 와서 훨씬 갖추어진 모습으로 드러났을 뿐입니다. ㉠이 생각(의) 바탕과 얼개였다면 ㉡은 생각이 자라서 오롯(온전)해진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만을 살피며 더듬어보아도 ㉠을 버리거나 놓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이오덕님(선생) 스스로도 ㉡이 당신(의) 생각을 간추려 드러냄에 마음에 차는(드러낸다는 사실에 만족하는) 듯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무튼 나는 우리 모둠과 지난 삶 (사회와 역사의) 모든 참 모습(실상)과 거기 얽힌 일을(문제를 )푸는 열쇠를 ‘말’에서 찾아내었다. 내 책을 읽어주는 분들도 부디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뛰어난(위대한) 우리 한아비 나라(조국의) 말, 배달말은 훌륭한(위대한) 글자 한글을 낳았고, 이 말과 글은 내게 모든 것을 환히 비춰 보여주는 햇빛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이 책 곳곳에서 조금씩 나타나 있지만, 이 머리말 다음에 그려 놓은 ‘말과 글짜임(의 관계) 그림표’에 조촐(간단)하게나마 간추려(요약해) 놓았다. 우리말을 살리는 길만이 우리가 살아날 수 있는 오직 하나뿐인(의) 길임을 이 표가 말해 줄 것이다.”

  그러니까 이들 두 그림표는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고, 둘이 아니라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에 것은 뒤에 것 속에 모두 싸잡혀 있고 거기서 오롯(온전)하게 자라나 있다고 보겠습니다. 그래서 “<이오덕 우리 말 생각(의) 알맹이>는 그림표 ㉡이다.” 이렇게 말해도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