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27] 싸리꽃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27] 싸리꽃

 

  싸리꽃이 피면 나도 모르게 왼손을 펼친다. 아픈 일이 떠오른다. 할아버지는 들일 밭일을 하지 못했다. 두 지팡이에 몸을 기댄다. 아버지가 한 해에 두 벌 싸리나무를 벤다. 가을에 잎이 떨어질 적에 싸리나무는 굵고 단단해서 마당을 쓰는 빗자루로 묶는다. 여름에 할아버지는 아버지가 베다 놓은 싸리나무로 지게에 얹었다 뺐다 하는 부채꼴 소쿠리를 엮는다. 아버지는 지게에 얹어 꼴을 담는다. 데레끼도 짠다. 데레끼는 어머니가 밭에 다닐 적에 어깨에 메고 다닌다. 데래끼는 단지처럼 둥글다. 싸리나무를 삶기도 하고 날나무를 길게 반 쪼개서 바닥을 틀 잡고 길쭉하게 엮어 크기를 어림잡고 싸리를 세우고 둥그렇게 하나하나 엮는다. 할아버지는 손마디가 뻣뻣한데도 꼼꼼하게 엮는다. 열두 살에 할아버지 곁에서 사리를 칼로 둘 쪼개 주었다. 그런데 사리가 잘 휘어져서 엉뚱하게 반 꺾어 보려다 손이 찔렸다. 여느 나무는 휘어지지 않고 똑하고 부러지지만 사리는 꺾어도 구부러진다. 그래도 꺾어 보려다가 왼쪽 손바닥을 푹 찔렸다. 싸리나무를 꺾어 보면 나무가 한 결이 아니다. 실처럼 가는 결이 뭉쳤는지 판판하게 꺾이지 않는다. 부러진 끝 여러 가닥에 찔렸다. 싸리나무가 깊숙하게 들어갔다. 손에 구멍이 안 난 일로 마음을 놓았다. 싸리나무는 어떻게 저렇게 질길까. 추운 겨울에도 부러지지 않을까. 마당을 쓸 적에는 어쩌면 저리도 빳빳할까. 마당 흙이 보드랍다. 어쩌다 회초리가 될 적에는 나무가 아주 맵다. 깨끗하게 쓸고 따끔한 무기가 되어 무얼 말해 주고 싶을까. 꽃도 보랏빛 가지도 보랏빛 싸리나무에 핀 꽃은 참 가녀리다.

 

2021.06. 07.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