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52] 글손질 넉걸음
새로 낼 책을 놓고서 이제 마지막 글손질이라고 여기고 넘겼는데, 더 손질한 글월이 왔다. 어느새 넉벌이나 손질하는 글이다. 책 하나를 내는데 이렇게 또 손질하고 더 손질하고 자꾸 손질을 해야 하나?
넉벌째 손질한 글을 쭉 살피는데, 묶음표에 붙인 뜻이 틀렸다. 어머니 시골말인 ‘짜들다’는 ‘쪼들리다’가 아닌 ‘깨지다’이다. 어릴 적에 듣고 쓰던 사투리를 글에 그냥 썼는데, 다른 고장에서는 우리 어머니 사투리를 다르게 읽을 수 있구나. 미처 몰랐다. 이다음에는 먼저 묶음표에 서울말씨를 넣어야겠다.
더 손질해서 보내온 꾸러미를 새로 읽을 적마다 덜컹거리는 대목이 눈에 띈다. 막판에 더 붙이다가는 자칫 틀린글씨를 바로잡지 못한 채 나올 수 있다고 한다. 그래도 더 손볼 데라든지, 보태야 할 곳을 차근차근 적어 놓는다. 일을 다 마치고서 출판사로 보낸다. 이다음에 다른 책을 내놓을 적에는 글을 더 살펴서, 앞뒤로 이야기가 부드럽게 이어지는지 제대로 추스르고 써야겠다. 그나저나 이 책이 곧 나오면 내 삶이 발가벗을 듯해서 이만저만 마음이 무겁지 않다. 이렇게 나를 다 드러내도 될까 콩닥이는데, 곁님이 전화를 한다.
“일요일 뭐 하노?”
“엄마 집에 가야제.”
“몇 시에 어디서 잔치를 하노?”
“식당은 말 안 했어. 집에서 아침까지 먹고 갈 듯한데.”
“그럼 난 못 가겠네. 니 혼자 가야겠네. 그런데, 덕이가 방 기한이 끝나서 전셋집 얻은 게 아니라는데, 니는 말을 그렇게 하노. 이자가 나가고 돈 덜 들어가도 되잖아.”
“내가 글을 쓰는 사람인데 거짓말을 하겠나. 내가 하지도 않은 말을 옮기나. 내한테는 그랬거든. 내가 걔한테 다시 물어보게.”
조금 뿔이 난다. 끊어버렸다. 나는 온통 책 낼 걱정인데, 딸래미 일을 들먹이며 내 마음을 엉망으로 무너트린다. 글을 쓰려고 하다가 멈춘다. 책을 펼쳐 보다가 덮는다. 마음이 뒤숭숭하고 가슴도 뛴다. 몇 사람이 마음을 다해 곧 태어날 책에 좋은 기운만 일어나길 바랐다. 이대로 있다가는 마음이 더 날 뛰겠다 싶어 집안 가득 밀린 쓰레기를 치운다.
묵은 김치통에 조금씩 남은 반찬을 버린다. 물러버린 나물을 모은다. 귤껍질하고 감껍질 사과껍질을 밥찌꺼기와 모았다. 종이와 비닐을 따로 모아 수레를 끌고 나갔다. 바퀴가 굴러가는 소리가 시끄럽다. 이 소리가 저 꼭대기로 올라가는데도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자루마다 든 쓰레기를 나누고 밥찌꺼기를 버리고 나니 한결 가볍다. 쓰레기를 모으고 버리러 가고 버리는 동안 걱정도 잊고 뾰족한 말도 잊는다.
이제 책을 펼친다. 다시 마음이 뜬다. 누리글(메일)을 뒤적이는데 그동안 안 열어 본 누리글이 거슬린다. 지우고 또 지운다. 아는 분하고 주고받은 글월을 남긴다. 책을 내느라 출판사하고 주고받은 글월도 남긴다. 나머지는 모두 지웠다. 한 시간 걸렸다. 누리글 휴지통도 싹 비웠다. 홀가분하다.
내가 오늘 무엇을 하면서 어떤 마음인지도 모르는 곁님이 일을 마치고 왔다. 아까 전화로 심술궂게 말할 때와 다르게 웃는 얼굴이다. 웃는 얼굴을 보고 잠이 들었지만 아직 뒤척인다. 아침에서야 겨우 눈을 붙였는데 아홉 시가 넘었다.
“오늘 왜 그리 늦잠 자노?” “머리가 울렁거려. 속도 울렁거려. 토할 듯해.” “병원 가 봐라.” “병주고 약 주나. 난 책 때문에 온 마음이 쓰인데, 걱정없이 나올 때까지 조용히 지내기로 해.”
날카로운 마음이 온몸으로 드러내는 나를 한두 번 본 일이 아니라, 대꾸가 없다. 미안하긴 한가. 안 좋은 소리를 잊기에는 청소가 으뜸이네. 게으름 피우듯 미뤄둔 쓰레기를 싹 치우고 나니 집안도 훤하고 그릇을 씻으니 마음이 개운하다. 지울 누리글과 남길 누리글을 마음 바짝 차리며 지우는 사이에, 내가 무엇 때문에 언짢았는지 잊는다. 훌훌 털어내려는 발버둥이다.
2022. 11. 26.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