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작은삶 87] 곁일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87] 곁일

 

모처럼 아들 목소리를 듣는다.

 

“엄마, 집이가?”

“그래. 집에 오는가?”

“아니, 어제는 바빴어. 손전화 알림도 못 봤어. 공연 했어.”

“버스킹인가 뭔가 하는, 길거리노래 했나?”

“어. 잘 쓸게. 근데 돈 더 보내줘서 많은데. 그럼 넘 쓰는 거 아니가?”

“남으면 모아두고, 모자라면 보태 써. 근데 요즘 니 얼굴 안 비데? 엄마는 니 얼굴만 떠도 좋던데. 노래 올리면 가만 보기만 할게. 거기 올려라”

“시간 빼앗겨서 잘 안 들어가”

“그래, 잘 생각했다. 반찬 좀 보낼까?”

“아니, 보내지 마라. 가까운 데에서 시킨다.”

 

열흘 앞서, 아들이 돈이 없대서 이십만 원을 보냈다. 달마다 방삯 삼 십만 원 내는 날 한 달 쓸 돈을 보낸다. 사십만 원을 보내니 머리비누 사고 얼굴에 바르는 것도 사고 반찬도 사고 배움삯 내면 모자랄 때가 많을 텐데, 돈을 더 달라는 소리는 좀처럼 하지 않았다. 곁일을 해서 쓰려 하는데 못하게 했다. 돈이 없으면 곁일을 할까 싶어 더 보냈다. 학교 다니는 동안은 스스로 갈 길을 찾는데 배워야 하는데, 곁일을 하느라 틈이 없을까 싶어서 더 보냈다.

 

우리 가게에 아들 또래쯤 되는 학생이 곁일을 한다. 주말에 이틀 하는데 한 달에 사십만 원 쯤은 번다. 오빠하고 사는데 어버이가 따로 사는 듯했다. 오빠도 한때 우리 가게에서 일하며 학교 다니다가 마쳤다. 그렇지만 아직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한 듯싶다.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엄마는 다른 고장에 살고 바빠서 둘이서 스스로 벌어서 사는 듯했다.

 

방학하면 일할 시간을 늘려서 곱으로 받아갔다. 이 학생은 아주머니들보다 일을 더 잘한다. 갑자기 그만두지 않는다. 다음 사람이 들어오기까지 맡아서 해주고, 어쩌다 다른 일꾼이 못 하는 날 맡아 달라고 하면 서슴없이 와서 해준다. 낮에는 학교나 학원에 가서 배우고 주말에는 좀 쉬기라도 해야 하는데 티 내지 않고 상냥하게 일한다.

 

우리 아들도 지난 여름방학에 어느 식당에서 일했다. 그런데 아들이 곁일을 하는 날에는 힘이 들어서 일 나가는 날에는 배우러 가지도 못하고 잠이 늘더라. 우리한테 짐을 주지 않으려는 뜻은 좋지만, 학교를 마치고서 바로 일자리를 얻어야 우리를 돕는 길이다. 쓰임이 크지 않고 돈 보내는 우리가 힘들게 번다는 줄 아니깐, 아들아이가 배울 적에 뒷바라지를 제대로 하고 싶다. 짬이 나면 어제처럼 무대에서 피아노를 치고 기타를 치면서 다른 사람을 즐겁게도 하고 벗이랑 저도 즐겁고 튼튼하게 대학을 마치기를 바란다. 나는 대학생만이 누리는 동아리를 하지 못한 스무 살을 살았지만, 마침 아들아이는 제 누나들처럼 대학생을 맞이하면서 한창 보내니, 이동안 동아리도 해보고, 하루하루 즐겁게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2023 .03. 25.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