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존중 노랗게 익은 낟알처럼 노을 일렁이는 하늘처럼 놀고 노래하는 아이처럼 높인다 서글서글 나긋나긋 말씨로 선선히 이는 갈바람으로 서둘지 않으며 서로서로 섬긴다 밭둑에 자라는 들꽃을 바다에 사는 헤엄이를 받아들이는 별빛 햇볕을 받든다 알뜰히 아름답게 아껴 둥글게 동무하며 돌봐 누가 해주지 않아 위아래없이 너나없이 나란히 ㅅㄴㄹ 낱말책은 ‘존중(尊重)’을 “높이어 귀중하게 대함”으로 풀이하는데, ‘귀중(貴重)’은 “귀하고 중요함”으로 풀이하고, ‘귀하다(貴-)’는 “1. 신분, 지위 따위가 높다 2. 존중할 만하다 3. 아주 보배롭고 소중하다”로, ‘중요(重要)’는 “귀중하고 요긴함”으로 풀이합니다. 돌림풀이인데다가 겹말풀이입니다. ‘존중·귀중·귀하다·중요’는 모두 ‘높다·높이다’를 가리키는 셈입니다. 우리는 우리말을 곱게 아끼거나 살뜰히 돌보거나 반듯하게 높일 수 있을까요? 여느 삶자리에서 수수하고 흔하게 쓰는 낱말 하나부터 참답게 가다듬으면서 높일 줄 알 적에 서로서로 높이는 따사롭고 넉넉한 마음으로 나아가리라 봅니다. 함께 노을빛으로 노래하고 노늘(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 타협 입으로 말하지 않고 손으로 글쓰지 않는 아기를 폭 안는다면 마음으로 이야기하지 이슬 먹으며 자라고 별밤 누리며 잠들고 해바람비랑 어울리는 풀꽃나무랑 마음으로 만나 맞추려 들지 마 마음으로 마주해 마땅히 여기지 마 말을 섞고 귀기울여 허울스런 허수아비도 꽃하고 먼 꼭두각시도 나를 잊다가 잃어 나몰라라 되었어 ㅅㄴㄹ 한자말 ‘타협(妥協)’은 “서로 조금씩 물러나면서 한뜻이 됨”을 가리킨다고 여길 만한데, 사람들은 낱말뜻대로 쓰기도 하지만 “곧거나 바르거나 참되게 나아갈 길을 꺾거나 물리면서, 억지스럽게 맞추어 들어가고 길미를 조금 얻느라 첫뜻이나 참뜻을 저버리거나 등지는 짓”을 가리킬 적에도 씁니다. 참을 밝히고 거짓을 치우는 길에서는 물러날 데가 없게 마련입니다. 풀죽음물을 뿌리면 풀이 죽을 뿐 아니라 풀벌레에 벌나비도 죽고 사람한테까지 나쁜데, 풀죽음물을 조금만 치겠다고 ‘타협’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타협’을 하자고 말하는 쪽은 으레 ‘잘못을 저지른 무리’이더군요. 참빛을 바라는 목소리에 밀려 몽땅 쫓겨날 듯한 얄궂은 쪽에서 ‘타협안 제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37. 흰새 오늘날 ‘해오라기’로 일컫는 새는 예전에 ‘하야로비’라 했다. 이름에 깃든 ‘해’나 ‘하야’는 ‘하얗다’를 가리킨다. 하얗게 물든 빛깔인 깃털로 날아다니는 새를 가리키는 이름인데, 막상 오늘날 우리가 가리키는 해오라기는 ‘하얀새’가 아니다. 깃털이 오롯이 하얀 빛깔인 새는 한자말로 따로 ‘백로’라 한다. 곰곰이 헤아려 볼 노릇이다. 흰빛인 새라면 ‘흰새’라 해야 어울리고 맞으리라. 한자를 써야만 새이름을 가리킬 수 있지 않다. 흰새 (희다 + ㄴ + 새) : 깃털이 흰빛인 새. 왜가리 갈래에서 ‘백로’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 하얀새 ← 백로白鷺) 38. 자맥배 물밑에서 몸을 마음껏 놀리거나 헤엄치다가 물밖으로 나오는 일을 ‘자맥질·무자맥질’이라 한다. 물밑을 마음대로 오가다가 물밖으로 나올 수 있는 배라면 ‘자맥배’라 할 만하다. ‘무자맥배’라 해도 되고, ‘자맥이·무자맥이’라 해도 어울린다. 우리말 ‘자맥질·무자맥질’을 한자말 ‘잠수(潛水)’로 가리키니, ‘자맥 + 배 = 잠수 + 함’인 얼거리하고 매한가지이다. 자맥배 (자맥 + 배) : 자맥질을 하는 배. 물밑으로 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말빛 곁말 56 볕나물 풀꽃을 찰칵찰칵 담기 좋아하는 이웃 어르신이 있습니다. 이분은 한자말을 써야 깍듯하다(예의·예절)고 여기시곤 합니다. 어느 날 함께 숲길을 걷다가 노란꽃을 만났고, 이분은 ‘양지꽃’이란 한자말이 깃든 이름을 들려줍니다. 흙살림을 짓는 다른 분은 ‘가락지나물’이란 이름을 들려주더군요. 더 알아보니 ‘쇠스랑나물’이라는 이름도 있습니다. 세 가지 이름을 나란히 놓고서 가만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쇠스랑’이나 ‘가락지’는 이 풀꽃이 사람 곁에서 어떻게 보였는가 하고 헤아리면서 붙인 이름입니다. ‘양지’라는 한자말도 매한가지인데, 참으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샛노랗게 빛나는 들나물이라는 뜻입니다. 함께 숲길을 걷다가 볕바른 곳에서 만난 노란꽃나물을 한 줄기 훑어서 혀에 얹고서 가만히 생각했어요. 볕살을 듬뿍 머금은 나물을 몸으로 받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말빛 곁말 55 종이꽃 2007년에 곁님하고 살림을 이루기 앞서까지 ‘종이접기’를 거의 안 쳐다보았습니다. 곁님은 여러 가지를 하면서 마음을 가만히 모으곤 했는데, 이 가운데 종이접기가 있어요. 이 살림길은 일본에서 ‘오리가미(おりがみ)’라는 이름으로 일구어 퍼뜨렸다더군요. 우리나라를 뺀 온누리 여러 나라에서는 일본말 ‘오리가미’를 쓰고, 우리만 ‘종이접기’란 낱말을 새롭게 지었답니다. 웬만한 데에서는 일본말을 슬그머니 척척 베껴쓰거나 훔쳐쓰거나 데려오는 우리나라인데, 뜨개를 하는 분하고 종이접기를 하는 분은 우리말을 퍽 남달리 씁니다. 첫내기한테 일본말이 낯설거나 어렵기도 하고, 뜨개는 배움턱(학교 문턱)을 딛기 어렵던 아주머니가 흔히 했으며, 종이접기는 어린이부터 누구나 하기에, 두 갈래에서만큼은 우리말을 알뜰살뜰 여민 자취라고 느낍니다. 우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4 손글씨 이불이라면 손힘으로만 빨래하기 벅차 발힘을 보태었기에 ‘발빨래’라 할 만한데, 손으로건 발로건 그저 ‘빨래’라고만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사람손이 아닌 틀(기계)을 다루면서 ‘틀빨래(기계빨래)’를 하기에 따로 ‘손빨래’란 낱말이 태어납니다. 글살림도 오래도록 손수 붓을 쥐어 적었기에 굳이 ‘손글’이라 안 하고 ‘글’이라고만 했으나, 이제는 손으로 남기는 글은 ‘손글’이요 ‘손글씨’입니다. 요사이는 종이에 이름꽃(도장)을 굳이 안 찍어도 되어요. ‘서명·사인’을 하면 된다지요. 그런데 한자말 ‘서명’하고 영어 ‘사인’은 “손으로 글씨를 써 넣으라”는 뜻입니다. 아직 국립국어원 낱말책에는 안 오르지만 ‘손글·손글씨’라는 낱말을 쓰면 어린이부터 누구나 쉽게 알아들으면서 손빛을 밝히리라 생각합니다. 손으로 쓰거든요. 손빛을 살리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책숲마실 하루 ― 인천 〈시와 예술〉 날마다 나무를 바라보노라면, 이렇게 춤을 잘 추면서 아름답구나 하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인천을 떠나던 2010년 가을에 곁님하고 “우리는 나무로 우리 집을 빙 두를 수 있고, 마당에서 노래하고 춤출 수 있는 보금자리를 누리자”고 생각했습니다. 곁님은 ‘시골 아닌 멧골’로 가기를 바랐기에, 아직 머무는 시골은 작은 보금자리요, 앞으로는 너른 보금터인 멧숲을 누리려는 꿈을 그려요. 인천에서 태어나서 자라는 동안에도, 큰아이를 2008년에 낳고서 같이 골목마실을 하는 사이에도, 큰고장이며 서울에서 자라나는 나무는 늘 ‘춤스승’이었습니다. 작은 골목집에서 지붕을 덮는 나무도, 길거리에서 매캐한 기운을 걸러내는 나무도, 바닷물결 소리를 내면서 춤추기에 누구나 숨쉴 수 있다고 느꼈어요. 칠월 한복판은 한여름이기에 한 해 가운데 햇볕을 가장 신나게 듬뿍 누리는 철입니다. 둘레에서는 이맘때가 가장 덥다고 여기거나 놀이철(휴가시즌)로 치는 듯싶으나, 실컷 햇볕을 머금으면서 몸을 살찌우고, 신나게 땀을 쏟으면서 찌꺼기를 내놓는 나날로 맞아들입니다. 어제 〈시와 예술〉을 들렀으나 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책숲마실 이제는 ― 고흥 〈더바구니〉 드디어 모든 시끌짓(선거유세차량)이 끝난 어느 날입니다. 곰곰이 보면 그들(정치꾼·공무원)은 늘 시끄럽습니다. ‘일하는’ 사람은 일을 자랑삼아 떠들지 않는데, 그들은 뭘 했다고 떠들고 뭘 하겠다며 떠듭니다. 굳이 잘난책(베스트셀러)을 안 읽습니다. 잘났다고 떠들썩하게 온갖 곳에 알림글로 채우는 책은 속이 비었거든요. 빈수레는 시끄럽습니다. 빈책(공허한 베스트셀러)은 자꾸자꾸 알림글을 여기저기 목돈을 띄워서 떠듭니다. 삶을 삶답게 새로 읽으려고 할 적에 비로소 책집에 깃들어 스스로 차분히 하루를 되새길 만하지 싶습니다. 쇳덩이(자동차)를 내려놓고서 마을책집으로 천천히 걸어가거나 자전거를 달리지 않는다면, 삶을 삶답게 읽을 마음이 없다는 뜻입니다. 쇳덩이를 빨리 달려 부릉부릉 끼이익 세워서 후다닥 사들이는 몸짓이라면 구태여 책을 읽을 까닭이 없어요. 빨리빨리 하고 싶으면 그냥 빨리 죽는 길이 낫습니다. 둘레(사회)에서는 ‘병·병신’을 하염없이 나쁘게 여기는 듯합니다. 그러나 낱말 ‘병·병신’은 하나도 안 나쁩니다. 이 낱말을 나쁘게 여기거나 쳐다보는 눈썰미가 ‘나쁘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읽기 40 《사과나무밭 달님》 권정생 창비 1978.12.25.첫/2006.10.2.고침2판 《사과나무밭 달님》(권정생, 창비, 1978/2006)은 이제 해묵은 이야기책 같습니다. 시골 작은집에서 살며 시골 작은이웃을 그리는 마음을 담아낸 글인데, 이 책을 읽는 어린이나 어른 가운데 오늘날 누가 시골 작은집에서 살까요? 서울에서 커다란 잿집(아파트)에 머물기에 권정생 님 글을 못 읽거나 못 헤아려야 할 까닭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생각해 보겠어요? 여름에 부채질을 하다가 나무 곁에 서서 쏴아아 하고 부는 바람으로 풀내음을 맡는 살림살이가 아니면서, 《사과나무밭 달님》에서 들려주는 어떤 바람소리를 들을 만한가요? 겨울에 손끝 발끝 꽁꽁 얼면서 아궁이에 불을 때어 밥을 지어 조그마한 칸에 둘러앉아 한끼를 나누는 살림을 구경조차 해본 적이 없는 채, 삶으로 마주하지 않고 글로만 읽는다면, 무엇을 보거나 느낄까요? 이제는 나라 어느 책숲(도서관)이든 으리으리합니다. 밤에도 불빛이 환한 책숲이며, 잿집이고, 서울이고, 배움터입니다. 한밤에 별빛을 그리면서 밤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가만히 듣는 하루가 없는 채, 그저 글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39 《나무 위의 아이들》 구드룬 파우제방 글 잉게 쉬타이네케 그림 김경연 옮김 비룡소 1999.7.20. 《나무 위의 아이들》(구드룬 파우제방·잉게 쉬타이네케/김경연 옮김, 비룡소, 1999)을 처음 읽을 무렵, 이제 이 나라에는 “나무 타는 아이들”은 감쪽같이 사라졌을 텐데 싶었습니다. 어버이 가운데 아이한테 “나무 심을 마당”을 베풀거나 물려주는 이는 찾아보기 너무 어렵습니다. 배움터 길잡이 가운데 아이들한테 배움책(교과서)이 아닌 나무를 길동무로 삼거나 배움벗으로 삼아 즐겁게 뛰놀도록 틈을 내주는 어른이 있으려나 궁금했습니다. 가만히 보면, 아이들이 타고 오를 나무를 건사하는 길잡이(교사·교감·교장)는 예전부터 아예 없거나 아주 드뭅니다. 나무타기를 하려면 가지를 함부로 치지 않을 노릇입니다. 타고 오를 나무라면 여러 나무가 자라야겠지요. 나무 곁에는 풀밭이 흐드러지면서 갖은 들꽃이 피고 질 노릇이요, 갖은 풀벌레에 개구리에 뱀에 제비에 참새에 복닥복닥 어우러질 수 있어야 합니다. 푸나무만 우거지는 숲이 아닙니다. 숱한 새가 나란히 깃들어야 숲입니다. 벌나비에 풀벌레가 마음껏 살아가는 곳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