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책숲마실 책과 글이라는 꽃 ― 청주 〈달꽃〉 청주 마을책집 〈달꽃〉은 2023년 3월 30일까지 열고서 조용히 닫았습니다. 네 해에 이르는 책살림은 접습니다. 책집이 떠난 자리에는 다른 가게가 들어설 테고, 다른 이야기가 이어가리라 봅니다. 그러나 그곳에 책집이 있던 자국은 언제까지나 흘러요. 우리말 ‘자’는 ‘길이’가 있는 ‘단단한 것’을 가리킵니다. 앞에 서거나 스스로 나서려고 하는 숨결도 ‘자’를 넣습니다. 집(ㅁ)으로 둘러싸는 받침을 넣은 ‘잠’은, 반듯하게 누워서 꿈으로 나아가는 길을 나타내고, ‘잠기다·잠그다’로 잇는데, ‘잠’이 나비한테도 사람한테도 새몸과 새빛으로 깨어나는 길을 밝히는 말밑이듯, ‘자리’는 모든 곳을 짓거나 이루는 바탕을 나타내요. ‘자위·자욱·자국’으로 뻗으면 삶결이 깨어나거나 묻어난 바탕을 나타냅니다. 책집이 있던 자리는 앞으로 잊힐 만하지만, 책집으로 만나던 자욱이며 자국은 책손 마음에 가만히 남을 테지요. 우리는 자고 깨어나는 하루를 누리면서 언제나 새롭게 달라지면서 거듭나는 마음입니다. 어제하고 오늘은 누구나 다른 숨결이자 삶입니다. ‘나’는 ‘나아가’려고 생각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29. 봉긋·바위 우리말 ‘벙어리’는 ‘벙긋벙긋’하는 모습을 고스란히 담은 이름이다. ‘벙글벙글’ 웃는 몸짓은 소리를 내지 않는다. ‘싱글벙글’도 마찬가지이다. ‘벙글·빙글·빙그레’를 깎음말(차별어)로 여기지 않는데, ‘벙어리’란 우리말만 깎음말로 여긴다. 그러면 더 생각해 본다. 차라리 새말을 여미면서 새뜻을 밝히고 새길을 알려 보자. ‘벙긋·벙글’처럼 소리를 내지 않듯 가만히 웃음짓듯 벌어지는 꽃송이를 ‘봉오리’라 하고, 봉오리는 ‘봉긋’ 솟거나 핀다고 여긴다. 이러한 뜻과 결을 담고, 뜻풀이에서도 찬찬히 밝혀 ‘봉긋님’ 같은 이름을 쓸 수 있다. ‘바위님’이라는 낱말에도 새뜻과 새결과 새숨을 담아서 함께 쓰자고 할 수 있다. 봉긋님 (봉긋 + 님) : 소리를 내지 않거나 말을 하지는 않는 사람. 피어나는 봉긋봉긋한 봉오리처럼, 고요하면서 맑게 숨빛을 품은 사람. (= 바위님. ← 청각장애인·언어장애인) 바위님 (바위 + 님) : 소리를 내지 않거나 말을 하지는 않는 사람. 커다랗고 단단하게 삶터를 버티는 바위나 멧자락처럼, 넉넉하고 푸르게 숨빛을 품은 사람. (= 봉긋님. ← 청각장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38. ‘한말’로 짓는 달콤한 노래 아이들하고 마실을 다닐 적에 아이들 스스로 종이(표)를 끊도록 합니다. 돈도 아이가 스스로 치르도록 합니다. 아이들은 처음에 꽤 쭈뼛거렸어요. 아니, 아무 말도 못하고 수줍어 하더군요. 그렇지만 한 해 두 해 흐르더니, 세 해 네 해 지나가니, 이제 파는곳(매표소) 앞에 서서 씩씩하게 “어린이표 하나 주셔요!” 하고 말합니다. 어린이는 어린이 스스로 “어린이표 주셔요” 하고 말합니다. 그런데 ‘어린이표’ 같은 이름을 쓴 지는 아직 얼마 안 되어요. 예전에는 으레 ‘소아’나 ‘유아’나 ‘아동’ 같은 한자말만 썼습니다. 어른 어린이 때로는 제가 혼자서 어린이표까지 끊어요. 이때에 흔히 “어른표 하나랑 어린이표 둘 주셔요!” 하고 말합니다. 고장마다 살짝 다르기는 해도 몇 해 앞서까지만 해도 ‘어른표’라는 말을 ‘성인표’로 바꾸어서 대꾸하는 일꾼을 제법 보았으나 요새는 파는곳에서도 ‘어린이표·어른표’라는 이름을 스스럼없이 씁니다. 우리 집 어린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3 빛줄기 처음에는 모르니 그냥 쓰지만 곰곰이 생각합니다. 낯선 말을 들을 적에는 무슨 뜻이고 어떠한 결이며 어느 곳에 쓰는가를 살펴요. 귀로 들어온 낱말을 혀에 얹고서 곰곰이 생각하노라면, 이제 이 낯선 낱말을 아이들한테 어떻게 풀어내어 들려주어야 즐거이 넉넉히 새롭게 받아들일 만한가 하고 반짝반짝 머리가 빛납니다. 한자말 ‘신경세포’는 영어 ‘뉴런’을 일본사람이 옮긴 말씨입니다. 일본사람은 한자를 이모저모 엮어서 새말을 잘 지어요. 우리는 일본 한자말을 그냥그냥 써도 나쁘지 않습니다. 영어를 이냥저냥 써도 안 나빠요. 다만, 우리한테 우리말이 있다면 우리말로 생각해 보고 싶습니다. 우리말로 새롭게 엮을 수 있을까요? 우리말로 즐겁게 풀어내어 아이들한테 물려줄 수 있나요? ‘신경세포·뉴런’이란 이름을 처음 들을 적에는 시큰둥했지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2 봉긋님 누리그물에서 《고려대한국어대사전》을 살피면, 우리말 ‘벙어리’에 “차별 또는 비하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차별표현 바로알기 캠페인)” 같은 붙임말이 있어요. 놀랐어요. 우리말이 따돌림말(차별어)이라니? 한자말 ‘청각장애인·언어장애인’은 따돌림말도 들볶음말도 돌림말도 괴롭힘말도 아니라 하는군요. 조선 무렵부터 불거진 ‘우리말을 깎아내리는 버릇’이 오늘날까지 짙게 남은 모습이로구나 싶습니다. ‘벙어리’는 따돌림말일 수 없습니다. 소리를 내지 않거나 말을 하지는 않는 사람을 가리킬 뿐인 우리말입니다. 우리말을 낮춤말로 여겨 깎아내리지 말아야 할 텐데, 아무래도 말이 태어난 밑바탕을 안 살핀 탓입니다. ‘벙어리(버워리)’는 ‘벙·버’가 뿌리이고, ‘벙긋·방긋’이며 ‘벗다’나 ‘바위·벅수’나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 곁말 51 집사람 어릴 적부터 듣기에 거북한 말이 꽤 많았어요. 우리 아버지가 손님 앞에서 “우리 집사람이 …….” 하고 말할 적마다 “아버지, 어머니는 집에만 있는 사람이 아닌걸요? 어머니가 집살림을 꾸리려고 집밖일을 얼마나 많이 하시는데요?” 하고 따지고픈 생각이 굴뚝같았습니다. 거북하거든요. 요새야 아이가 어버이한테 이렇게 따지기 쉽다지만, 지난날에는 아이가 ‘사내 어른’ 앞에서 대꾸를 하거나 먼저 말하면 호되게 얻어맞고 꾸중을 들었습니다. 한또래로 자라는 마을순이도 밖이며 골목이며 배움터에서는 신나게 재잘재잘하지만 다들 집에만 가면 벙어리로 바뀌어요. 동무네에 놀러갔다가 “야, 너 이렇게 얌전한 아이였어? 집에서 말을 한 마디도 안 하네?” 했더니 옆구리를 힘껏 찌르더군요. 우두머리가 서며 사람들을 사슬에 가둘 적에는 입을 가리고 목을 죕니다. 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꽃 말꽃삶 10 고운말 미운말 말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느냐고 묻거나 궁금한 이웃님이 많기에 으레 네 가지로 간추리곤 합니다. 좋거나 나쁘거나 곱거나 미운 말이란 없이 그저 ‘말’만 있을 뿐이며, 이 말이란 ‘마음’에 담는 ‘소리빛’이니, 그저 ‘말·마음·소리빛’만 바라보고 받아들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여쭙니다. ‘좋은말’을 쓰려고 하면 배앓이를 합니다. ‘고운말’을 쓰려고 하면 속앓이를 합니다. ‘나쁜말’을 안 쓰려고 하면 마음이 뒤틀리고, ‘미운말’을 안 쓰려고 하면 마음이 죽어버립니다. 말을 바라보는 네 가지 길을 적어 보았습니다. 이 네 가지 길을 듣고서 “그러면 어떤 말을 써야 하나요?” 하고 물을 만할 테지요. 이때에 다음처럼 들려줍니다. “오직 ‘내가 나를 사랑할 말’을 스스로 생각하고 찾아서, 노래를 부르듯이 즐겁게 쓰면 넉넉합니다.” ‘내가 나를 사랑할 말’을 얼른 찾아내려고 애쓰지는 마요. 애쓰면 애쓸수록 ‘내가 나를 사랑할 말’을 못 찾게 마련이에요. 그저 참나(참다운 나)를 고요히 바라보거나 마주하는 하루를 그리면서 느긋이 살림살이를 가꾸면 되어요. 밥을 하고, 집을 돌보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노래꽃 내가 안 쓰는 말. 남자 남자란 바보같은 놈이야 스스로 못 깨닫고 곁에서 알려주면 뒷북이지 남자란 나무로 설 수 있고 날개를 펼 수 있고 노래를 할 수 있어 남자란 날(낳을) 적에는 아직 몰라도 날(나을) 적에는 확 달라지지 너도 알 테야 나긋나긋 알려주렴 느긋느긋 속삭이렴 온 나날을 사랑으로 너나없이 우리로서 ㅅㄴㄹ ‘남자’는 ‘男子’처럼 한자를 적습니다. ‘밭(田) + 힘(力)’입니다. 우리말로는 ‘가시버시’에서 ‘버시’가 ‘남자’요, ‘버시 = 벗’이며, 시골말로는 ‘머스마(머스매)’이고, 이 오랜 우리말은 ‘머슴’하고 맞닿습니다. ‘머슴’이란, 스스로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닌, 남이 시키는 일을 맡아서 해주고는 일삯을 돈이나 밥으로 받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머슴이란 일꾼은 ‘사내(남자)’입니다. 곧, 우리말 ‘머슴’이나 한자말 ‘男子’나 “시키는 일을 고분고분 힘으로 맡는 사람”인 셈입니다. 우리말이나 한자말이 왜 이런 밑뿌리를 낱말에 담았는가 하고 돌아본다면, 참말로 사내(돌이·남자)는 처음부터 스스로 생각해 보기보다는 남(순이·여자)이 들려주는 말과 모습에 따라 달라져요. 나이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노래꽃 - 탈바꿈 풀벌레는 옛몸 내려놓고 티없이 고요한 넋으로 허물벗기를 하면서 새롭게 커 나비는 애벌레몸 재우고 해맑게 가만히 꿈꾸며 날개돋이를 하면서 가볍게 눈떠 모든 아기는 어버이한테서 사랑받으며 느긋느긋 놀고 노래하니 철들며 자라 탈을 쓰면 헌몸 그대로 껍데기를 가리지만 탈을 바꾸면 새몸 그려서 빛나는 속살 가꿔 ㅅㄴㄹ 얼굴에 씌워서 다른 모습인 듯 꾸미는 것을 ‘탈’이라고 해요. 얼굴에 씌우는 “꾸민 새모습”인 ‘탈’입니다. 겉을 씌운 몸을 모두 내려놓듯 벗고서 새몸으로 가는 일을 ‘탈바꿈’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겉으로 다른 모습인 척 꾸미는 일을 안 하고, 이 겉모습(겉몸)을 그대로 내려놓으면서 한결 튼튼하게 곱게 자라려는 길이 ‘탈바꿈’이라고 여길 만해요. 풀벌레는 탈바꿈을 하면서 날개나 다리가 새로 돋아요. 우리는 어떤 탈바꿈을 하면서 철이 들거나 ‘참다운 어른’스럽게 자랄 만할까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노래꽃 - 코앞 나무 밑에서 비를 긋는 잠자리 나비 새 곁에 동그마니 앉아서 풀잎에 맺힌 빗방울 본다 나무 곁에서 일손 쉬는 할머니 할아버지 둘레 살그머니 다가가 이마에 맺힌 땅방울 식힌다 눈앞에 있어도 멀리 떨어져도 구름을 움직여도 바람을 못 알아볼까 코앞에 있는 바람 한 줄기가 훅 머리카락 나부끼더니 춤추며 놀자고 한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