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물날 이레말 - 한자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문학 文學 문학 동인 → 글벗 사실주의 문학 → 꾸밈없는 글 문학에 대한 애착과 열정을 가지다 → 글꽃을 사랑하다 ‘문학(文學)’은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 또는 그런 작품.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따위가 있다”로 풀이를 하는데, 오래오래 흘러온 자취를 더듬는다면 ‘글’입니다. 오늘날에는 ‘글’ 한 마디로 아쉽다고 여길 만하니 따로 ‘글꽃’이라 하면 되고, ‘글맛·글멋·글빛’이나 ‘글쓰기·글짓기’라 할 자리가 있고, ‘붓멋·이야기꽃’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때로는 ‘간드러지다·곱다·달콤하다’나 ‘살갑다·멋스럽다·아름답다·예쁘다’나 ‘보기좋다·그림같다·포근하다’로 나타내지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문학’을 둘 더 싣지만 싹 털어냅니다. ㅅㄴㄹ 문학(文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18. 옮김말씨는 우리말인가? 제가 쓴 글을 받아서 싣는 곳에서 더러 글이름이나 글줄을 고칩니다. 그런데 글이름이나 글줄을 고치면서 고쳤다고 알리지 않기 일쑤입니다. 나중에 새뜸이나 책를 보면서 깜짝 놀라요. 저는 틀림없이 이렇게 안 썼으나 그곳 엮은이가 고쳤거든요.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가다듬거나 살피는 길을 걷는다는 사람으로서 엉뚱하거나 엉성한 글이 제 이름을 달고 나오면 부끄럽습니다. 비록 제가 그렇게 안 썼다고 하더라도, 새뜸이나 책을 엮는 분이 우리말을 제대로 짚지 않고서 고쳤으니 부끄럽지요. 그 엮는이는 틀림없이 다른 분 글도 엉뚱하게 고치겠지요. 이러면서 얄궂은 옮김말씨(번역체)는 끝없이 퍼질 테고요. 엮는이는 엮는이 나름대로 알맞게 고쳤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멀쩡한 글을 옮김말씨로 고친다거나, 입으로 말하듯이 썼는데 딱딱하게 고친다거나, 쉽게 쓴 글에 한자를 입힌다면 좀 따질 노릇이라고 봅니다. 쓰레기를 생각해 본 적 있나 (글쓴이) 쓰레기에 대해 생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2021.5.28. 오늘말. 알뜰살뜰 스스로 무엇을 할 적에는 ‘일’을 한다고 합니다. 남이 맡기거나 시켜서 할 적에는 ‘심부름’을 한다고 합니다. 오늘날에는 참으로 많은 분들이 일터에 다닙니다. 일터에서 저마다 맡은 자리가 있어요. 그런데 어느 일터를 보더라도 ‘스스로 찾아서 하기’가 아닌 ‘맡아서 하기’요, 이때에는 늘 심부름을 하는 셈이니 기꺼이 나서거나 신나게 애쓰거나 웃으면서 힘쓰기가 만만하지 않겠구나 싶어요. 땀값이 살림값이 되기보다는, 땀내는 만큼 돈을 받고서 물러나야 하는 자리인 터라, 든든히 오래 맡을 자리가 아닌, 한동안 머물다가 떠나는 심부름꾼 노릇이지 싶어요. 스스로 지어서 하는 일이라면 아낌없이 마음을 쏟아요. 스스로 가꾸며 하는 일이라면 알뜰살뜰 여밀 뿐 아니라, 모든 일은 놀이가 되어요. 노래하는 일이기에 참됩니다. 춤추면서 하는 일이기에 참합니다. 도란도란 이야기하면서 하는 일이기에 좋고, 늘 부지런히 일사랑으로 나아가는 살림꾼이 되겠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나무날 이레말 1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 에코페미니즘 : x ecofeminism : 에코페미니즘 (환경 운동과 여성 해방 운동의 사상을 통합한 생태 여성론) エコフェミニズム(ecofeminism) : 에코페미니즘 (환경 보전과 여성 해방을 결부시켜 논하는 사상) 숲을 사랑하는 순이가 있으면 ‘숲순이’입니다. 숲을 사랑하는 돌이가 있으면 ‘숲돌이’입니다. 숲을 돌보려는 마음으로 살림을 가꾸려는 가시내라면 ‘숲가시내’요, 숲을 보살피려는 손길로 삶을 짓는 사내라면 ‘숲사내’입니다. 조금 살을 붙여 ‘숲순이길·숲순이넋’이나 ‘숲가시내빛·숲가시내사랑’이라 해보아도 어울려요. 이처럼 말을 엮고 풀어낼 적에 온누리를 아름다이 일구고 여미는 말결이 태어나리라 생각합니다. ㅅㄴㄹ 에코페미니즘의 입장에서 → 숲과 순이를 생각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ㄱ. 무리 나누기, 즉 분봉 ‘무리 나누기’, 즉 분봉입니다 → ‘무리나누기’입니다 분봉(分蜂) : 여왕벌이 산란하여 새 여왕벌을 만들었을 때, 새 여왕벌을 일벌의 일부와 함께 딴 집이나 통으로 갈라 옮기는 것 꿀벌이 늘어나면 무리를 나눈다고 합니다. 집이나 칸을 나눈다고도 하지요. 이때에는 이렇게 하는 일 그대로 나타내면 됩니다. 구태여 ‘분봉’이라는 한자말로 나타내야 하지 않아요. ‘무리나누기·무리가르기’나 ‘집나누기·집가르기’나 ‘칸나누기·칸가르기’라 하면 겹말이 불거지지 않습니다. 이것이 꿀벌의 ‘무리 나누기’, 즉 분봉입니다 → 이는 꿀벌이 하는 ‘무리나누기’입니다 → 이는 바로 ‘꿀벌 무리나누기’입니다 《꿀벌과 시작한 열일곱》(모리야마 아미/정영희 옮김, 상추쌈, 2018) 25쪽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고니못 책숲마실 : 서울 〈호수책장〉 시골사람한테 서울마실은 가장 가깝습니다. 이 시골에서 저 시골로 오가는 길은 서울을 다녀오는 길보다 단출하며 길삯마저 적게 들어요. 곰곰이 보면 시골에서도 읍내나 면내를 잇는 길이 뻥뻥 뚫리고, 시골에서 구경터(관광지)로 삼는 곳도 길이 잘 뚫립니다만, 이 마을에서 저 마을로 가는 시골버스는 아예 없다시피 합니다. 나라가 모든 사람을 온통 서울바라기로 몰아붙인 지 꽤 깁니다. 얼추 즈믄 해가 넘을 테지요. 고구려·백제·신라·가야·부여로 알맞게 나누던 작은 울타리일 적에는 곳곳이 사이좋게 어울릴 만했다면, 한나라로 삼는다며 크게 치고받으면서 이웃을 무너뜨릴 적에는 서울 한 곳만 키우려 했어요. 굳이 한나라여야 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두멧골 서울이라는 눈으로 보면 여느 시골도 두멧골입니다. 시골이라는 눈으로 보면 마을이 없이 한참 숲을 지나 골짜기를 두루 건너야 비로소 깊은골이에요. 멧자락이 겹겹이 있으니 겹겹골일 텐데, 아직 겹겹멧골에까지 누리그물이 뻗지는 않을 테지요. 두멧골에서는 무엇이든 스스로 짓고 가꾸고 돌보면서 건사하기 마련입니다. 남이 해주는 살림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고 살피고 헤아려서 누리는 하루입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샛장수 없이 손수 장만하고 챙기고 펴자면 품이 많이 들는지 몰라요. 그렇지만 사잇장수가 가져다주는 살림을 돈을 치러서 사다 쓴다면, 이 돈을 얻기까지 품을 꽤 들여야 해요. 두메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구태여 돈을 버는 길에 품을 들이지 않고서, 살림을 가꾸며 즐기는 길에 품을 들인다고 할 만합니다. 이음일꾼이 뭘 가져다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살아가려는 보금자리에 맞추어 스스로 지으니, 다릿일꾼이 없더라도 버겁거나 어렵지 않아요. 오늘날에는 참 많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1 나의 사랑 너의 눈물 어린이가 읽는 글을 쓰는 사람은 글결을 가다듬으려고 더 마음을 기울입니다. 어른이 읽는 글을 쓰는 사람도 글결을 가다듬기는 하지만, 이보다는 글멋을 부리는 데에 더 마음을 기울입니다. 어린이가 읽는 글에 아무 낱말이나 함부로 넣는 어른이 더러 있을 테지만, 어린이가 읽는 글을 엮어서 책을 펴내는 어른이라면, 낱말 하나와 토씨 하나까지 꼼꼼히 보기 마련입니다. 어린이는 글이나 책을 읽으면서도 ‘우리말을 배우’거든요. 어른은 글이나 책을 읽으면서 무엇을 할까요? 어린이가 글이나 책으로도 말을 배우듯이, 어른도 글이나 책으로도 말을 배울까요? 아니면, 어른은 글이나 책에 깃든 줄거리만 받아들일까요? 어린이는 글 한 줄이나 책 한 자락을 놓고도 말을 깊고 넓게 배웁니다. 어른은 이녁 스스로 못 느낄 테지만 어른도 글 한 줄이나 책 한 자락을 놓고 시나브로 말을 깊고 넓게 배웁니다. 어른도 글이나 책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판가름 새벽에 뒤꼍 풀을 좀 베고서 마당에 들어서니 제비 둘이 또 처마 밑을 살핍니다. 우리 집 마당에서 빙빙 둘러보며 다시 날아가는 제비한테 “얘들아, 집을 새로 지으렴. 너희 잘 짓잖니?” 하고 속삭이면서 날렵한 꽁무니를 쳐다봅니다. 오월이 깊으니 장미나무에 꽃송이가 서른 넘게 맺습니다. 가늘구나 싶은 덩굴줄기 하나에 꽃송이가 이토록 잔뜩 맺습니다. 찔레나무를 들여다보아도 꽃송이가 흐드러집니다. 꽃내음을 맡고 잎내음을 머금으면서 생각합니다. 우리는 마음에 어떤 씨앗이며 이야기를 담을 적에 빛날까요? 멍울이란 자취는 어떻게 들추어야 할까요? 쑤셔서는 풀지 못합니다. 차근차근 앞뒤를 다독이면서 찬찬히 나아갈 앞길을 가눌 적에 풀어요. 누구를 뒤좇기보다는, 지난날을 뒤적이기보다는, 예부터 오늘에 이르는 흐름을 가름하고, 모레로 거듭날 길을 짚으면서 여기에서 할 일을 판가름할 만합니다. 돌아보기에 알아봅니다. 재지 않고 보기에 속내를 읽습니다. 어느 대목이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더 헤아리면 슬기롭습니다 [오락가락 국어사전 14] 마무리로 먹는 밥 한자말이나 영어를 쓰기에 잘못일 수 없습니다. 헤아리지 않고 말하기에 잘못이 되기 마련입니다. 찬찬히 볼 노릇이고, 한 벌 더 헤아릴 노릇입니다. 여러 판 살폈어도 실마리를 못 푼다면 자꾸자꾸 들여다보거나 오랫동안 생각해야지요. 고작 몇 벌 어림하고서 실타래를 못 풀었다고 아무 말이나 쓴다면 생각이며 삶이며 낱말책이 모두 엉망이 됩니다. 느긋하게 더 마주하면서 말결을 살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나뭇잎 : 나무의 잎 ≒ 목엽(木葉)·수엽(樹葉) 목엽(木葉) : = 나뭇잎 수엽(樹葉) : = 나뭇잎 나무가 맺는 잎은 ‘나뭇잎’입니다. 이를 ‘목엽’이나 ‘수엽’으로 적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비슷한말이라고 달아 놓을 까닭이 없이 털어내고, ‘목엽·수엽’은 낱말책에서 덜어내야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