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내 책을 내가 책숲마실 - 인천 〈집현전〉 푸른배움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기도 했고, 아이들한테 빛꽃(사진)이 왜 빛으로 꽃이 되는가를 들려주기도 하던 이상봉 님은 2011년에 《안녕, 하세요!》란 책을 선보입니다. 손수 출판사를 열어 인천에서 사진책도 제법 선보였습니다. 이제는 인천 배다리에서 헌책집 〈집현전〉을 이어받아서 천천히 손질하고는 2021년부터 열었습니다. 푸름이를 푸른빛으로 이끄는 손길하고, 헌책을 새롭게 잇는 손빛은 비슷합니다. 푸르게 물드는 손이기에 책먼지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책먼지를 털어내어 징검다리 구실을 합니다. 이미 읽힌 책을 다시 읽히고, 오래 묻힌 책을 새로 캐내며, 미처 사랑받지 못한 책이 뒤늦게라도 사랑받도록 북돋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파도 책숲마실 - 부산 〈파도책방〉 누가 ‘파도’라는 소리를 혀에 얹으면 “무슨 땅을 판다고?”라든지 “무슨 길을 파는데?” 하고 생각합니다. 땅을 파서 굴을 내고, 책이며 글을 파서 생각이 흐를 길을 냅니다. 고흥에서 살며 곧잘 자전거나 택시로 아이들이랑 바다마실을 갑니다. 그야말로 파랗게 일렁이는 물결을 호젓이 바라보다가 풍덩 뛰어들어 같이 헤엄을 치며 놀아요. 출렁이는 물결을 가르며 놀아도 즐겁고, 넘실대는 물결에 가만히 잠겨서 모랫바닥에 배를 대고서 물살이 흐르는 노랫가락을 들어도 즐겁습니다. 바닷물에 잠겨 눈을 동그랗게 뜨다 보면 눈앞을 휙휙 스치는 바다동무가 있고, 모래알은 데구르르 춤추면서 북새통입니다. 멀리서 보자면 하늘빛을 고스란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붙임띠 소리를 담아서 들려주는 살림을 놓고서, 끈끈이 같거나 척 붙이는 살림을 두고서, 똑같이 ‘테이프’란 낱말로 가리킵니다. 소리가 같으면서 다른 말은 여럿이니 그러려니 지나칠 만하지만, 영어 ‘테이프’를 ‘소리그릇·소리접시’하고 ‘끈끈이·붙임띠’처럼 새롭게 갈무리하는 우리말로 나타내려는 어른이 드물었다는 대목이 새삼스럽습니다. 눈썰미가 얕은 셈일까요. 눈가늠조차 안 하거나 눈대중마저 없은 셈일까요. 말을 짓는 잣대란 따로 없습니다. 삶을 지으면서 말을 짓기 마련입니다. 틀에 박힌 말짓기가 아닌, 날마다 새롭게 삶을 짓듯 언제나 즐겁게 말을 가르고 나누고 고르면서 이야기를 담습니다. 조각 하나에서 실마리를 얻어요. 토막 하나에서 깨달아요. 누가 도맡는 일이 아니듯, 몇몇이 도차지하는 말짓기가 아니에요. 혼자하는 살림짓기가 아니듯 홀로하는 말짓기가 아니랍니다. 몇몇 사람이 잡고서 흔들 수 없습니다. 모든 말이 비롯하는 자리란 모든 삶이 태어나는 터전이에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참되다 마음을 고르게 다스린다면 언제나 곧게 나아가는 하루입니다. 생각을 올곧게 추스른다면 늘 올바르게 짓는 살림입니다. 옳게 살펴 똑바로 나눕니다. 바르게 헤아려 반듯하게 주고받아요. 누구나 즐거울 길은 어떻게 닦을까요? 오롯이 영그는 열매는 누구랑 나누기에 즐거울까요? 참하게 살아가기에 빌리고 갚으며, 돌아보고 뉘우치며, 씻고 달랩니다. 아차 싶도록 잘못을 했다면 곧바로 털면서 허물을 벗으면 됩니다. 착한사람으로 가는 길이 참되지요. 고운사람으로 서는 길이 아름답지요. 같이 놀 동무를 부릅니다. 보금자리에는 포근하게 퍼지는 해님을 불러들입니다. 서로서로 어진 마음을 모시고, 놀지 못한 채 빠지는 아이가 없도록 치우침없이 둘러보면서 모두 데려와서 함께 놀아요. 찾는 대로 찾아옵니다. 바라는 대로 바람이 됩니다. 말하는 대로 마음이 되고 얘기하는 대로 노래가 되어요. 얄궂은 사람을 끌어내려도 나쁘지 않아요. 얄궂은 사람이기에 그이 마음에 흐르지 못하던 옹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5 SKY 대학 저는 어린배움터를 여섯 해를 다니면서 늘 놀았습니다. 다달이, 철마다, 틈틈이 치르는 물음풀이(시험)가 그치지 않았지만, 또 물음풀이을 치를 적마다 길잡이(교사)는 몽둥이를 들었지만, 언제나 신나게 뛰놀았습니다. 푸른배움터에 들어가서 새벽부터 밤까지 배움터에 붙들려야 하는 때부터 비로소 열린배움터라는 곳을 그렸습니다. 이때에 둘레에서는 ‘SKY 대학’을 으뜸으로 쳤습니다. 제가 살던 고장에 있는 열린배움터는 아주 밑바닥으로 쳤습니다. 왜 우리 고장에 있는 열린배움터를 밑바닥처럼 여겼을까요? 아무래도 서울이라는 고장이 으뜸이라고 여기기 때문일 테지요. 우리나라는 열린배움터뿐 아니라 여느 배움터에도 높낮이(등급·계급)가 알게 모르게 있어요. 어떻게든 서울로 가야 한다고 여깁니다. 이러면서 서울에서도 ‘서울대·고려대·연세대’를 세 손가락으로 꼽고, 이 세 곳을 아우르는 이름으로 ‘SKY’라는 영어를 붙입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말을 고이 돌보는 길 [오락가락 국어사전 11] ‘호소 = 하소연’이요 ‘부차적 = 곁딸린’이면 말을 돌볼 줄 안다면 생각을 돌볼 줄 압니다. 생각을 돌볼 줄 알면서 삶이랑 살림을 돌볼 줄 알아요. 거꾸로 삶이랑 살림을 돌볼 줄 알면서 생각을 돌보고 말을 돌볼 줄 알지요. 곁에 두고 고이 아끼는 마음을 바랍니다. 말을 말답게 다루면서 즐겁게 생각을 꽃피우면 좋겠어요. 부양(扶養) : 생활 능력이 없는 사람의 생활을 돌봄 돌보다 : 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다 ≒ 돌아보다 보살피다 : 1. 정성을 기울여 보호하며 돕다 2. 이리저리 보아서 살피다 3. 일 따위를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거나 맡아서 하다 돌보는 일을 가리키는 ‘부양’이라는데, ‘돌보다’나 ‘보살피다’ 같은 낱말을 쓰면 됩니다. “부양 → 돌보다. 보살피다”로 다룰 만합니다. 그런데 낱말책은 ‘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아나바다 열 살 남짓이던 1984년 무렵 ‘아나바다’를 처음 들었다고 떠올립니다. 1998년 무렵에 이 말씨가 퍼졌다고들 하지만, 저는 어릴 적에 인천에서 이런 말을 으레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뭔 소리인가 어리둥절했지만 꽤 재미나게 지은 이름이라고, ‘바자회’나 ‘자선회’ 같은 어린이가 못 알아들을 말하고 달리 참 쉽다고 여겼습니다. 말이란 우리가 살아가면서 스스로 지으면 되니까, ‘아나바다’이든 ‘나바다’이든 ‘아바다’이든 살짝 바꿔서 쓸 만합니다. ‘바다잔치’나 ‘아나마당’이라 해도 재미있어요. 새롭게 지을 살림길을 꾀합니다. 이웃하고 어깨를 겯을 나눔길을 벌입니다. 하나씩 세워요. 차근차근 마련합니다. 어렵게 여기지 말고, 가까운 자리부터 찾기로 해요. 멀리 가지 말고 곁에서 살펴요. 누구나 할 만합니다. 생각하고 헤아리는 우리 스스로 내다보면서 새틀을 짜고 즐거이 사귀면 되어요. 하루를 돌보는 손길로 자리를 엽니다. 오늘을 가꾸는 눈빛으로 밥을 짓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세몫 무엇을 맞다고 해야 할까요. 어느 길이 알맞을까요. 사람한테 걸맞다고 할 마음은 어떤 숨결일까요. 둘이 맞추려면 무엇을 바라보며 가눌 적에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울까요. 아이들이 따를 어른스러운 살림은 어떻게 가꿀까요. 제대로 살아가면서 제빛을 드러내는 말을 들려주려면 생각을 어떻게 추슬러야 할까요. 밤이 지나면 찾아오는 아침이고, 아침이 흐르니 낮을 거쳐 밤으로 나아갑니다. 마땅하게 흐르는 하루일는지 모르나, 늘 새롭게 거듭나는 길이기도 합니다. 저는 늘 “바르게 사는 사람이 바를 뿐, 이쪽에 서거나 저쪽에 선대서 바르다고는 여기지 않아요” 하고 말합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할수록 “오롯이 사랑이어야 사랑일 뿐, 사랑처럼 허울을 씌우기에 사랑이 되지 않는다”고 느껴요. 깊이 생각해 봐요. 혼자서 두 사람 몫을 해내기에 훌륭하지 않고, 석몫이나 넉몫을 해야 대단하지 않습니다. 한 사람으로서 한몫을 하기에 넉넉해요. 바쁘거나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살림이라 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13. 가위손을 쥐고 꽃길을 걷고 책을 부치려고 글월자루를 만지다 보면 풀도 쓰지만 붙임띠(테이프)를 자주 써야 합니다. 이제까지 가위 한쪽 날로 붙임띠를 끊어서 쓰다가 아무래도 번거롭구나 싶어서 읍내 글살림집(문방구)에 가서 연장을 따로 장만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글살림집 일꾼한테 “붙임띠(테이프)를 끊어 주는 연장 있잖아요.” 하고 말씀을 여쭙는데, 이 연장을 두고 어떤 이름으로 말해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글살림집 일꾼은 “아, 가위손이요.” 하고 알아들으신 뒤 내어줍니다. 넓은 붙임띠를 끼워서 척척 끊을 수 있도록 나온 연장은 살림짐을 나르는 분들이든 꾸러미를 여미어 나르는 분들이든 흔하게 써요. 제가 글살림집에서 장만한 연장에는 ‘가위손’이라는 이름이 붙는데, 이 이름 말고도 ‘커터기·카타기·컷터기’처럼 영어를 섞거나 ‘절단기’ 같은 한자말을 쓰기도 하는구나 싶습니다. 가만히 생각하면 영화 〈가위손〉에서 보기를 얻은 셈입니다. 붙임띠를 끊는 연장에 ‘가위손’이란 이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값하다 빚을 지면 갚습니다. 빚을 지나 돌려주지 못하기도 합니다. 고맙게 쓰고서 되돌려주려 했으나 살림이 팍팍한 탓에 값을 물어주지 못할 때가 있어요. 빌고서 다시 빌어야 하는 쪽도, 새로 빌려주는 쪽도 고단할 만합니다. 그렇지만 서로 동무요 이웃이라면 다독이는 손길이 되어 다시금 돈을 대고 새삼스레 기운을 냅니다. 오늘 누리는 꽃돈을 앞으로 꽃보람으로 줄 수 있기를 꾀합니다. 받은 대로 돌려준다고 하는데, 사랑을 받는다면 사랑을 돌려줄 테고, 미움을 받으면 미움을 돌려주려나요? 미움을 받지만 사랑으로 달래어 외려 꽃으로 돌려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사람값을 생각합니다. 사람은 어떻게 사람으로서 값하는가를 생각하고, 사람답게 삶을 갈무리하는 숨결을 생각합니다. 무리를 지으면 서로 챙기면서 도울는지 모르나, 떼거리가 되는 바람에 끼리끼리 어울리거나 울타리를 쌓기도 해요. 동아리인지 막짓인지 살필 노릇입니다. 누구나 섞이면서 함께할 만한지, 허울은 한동아리이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