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39] 깨꽃 장골에 사는 숙이네를 지나 등성이 따라 올라가면 감나무가 있는 깨밭이 있었다. 깨가 한창 자라 꽃을 피우고 마디마다 깨집이 열릴 적에 손가락 굵기인 푸른 깨벌레가 꼬물꼬물 참깨잎을 갉아먹었다. 열두세 살 적에 동무들과 깨밭에 모였다. 두 손 모으고 눈을 감고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기도했다. 교회에 나가니 밥을 먹을 적에도 어디에 가면 기도 먼저 하라고 배웠다. 어머니 몰래 교회를 나갔다. 어머니는 교회 다니는 사람을 예수쟁이라 부르며 싫어했다. 나는 교회에 나가고 싶은데 어머니는 말린다. 집에서는 기도하지 않고 동무하고 놀 적에만 기도했다. 밭에서 모여 기도하는데 서로 입맞춤이라도 한 듯이 “하느님 고맙습니다.” 같은 말만 했다.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기도를 마치고 갖고 온 공책을 펼쳤다. 나는 동무들 앞에서 새 공책 첫 쪽에 빽빽하게 적은 글을 읽었다. 기도할 적처럼 돌아가면서 읽었다.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었는지 모르지만 내가 쓴 글은 소설인지 모른다. 나는 다른 아이들보다 길게 썼다. 학교에서 나온 책 말고는 책 한 자락 읽지 않은 어린 날이다. 책은 우리한테 너무 멀리 있었다. 얼마나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38] 왕고들빼기 깊은 산에서 왕고들빼기를 만난다. 무릎까지 자랐다. 잎이 넓고 찢은 듯 자라서 축 늘어지고 크다. 둘레에 자라는 풀은 어린 날 우리 소가 잘 먹은 풀이고 왕고들빼기도 군데군데 자라는데 토끼가 잘 먹었다. 커다란 바위 앞이라 큰 나무가 없고 풀이 고만고만하게 자라 풀밭을 이룬다. 소먹이로 베어 오는 꼴에는 왕고들빼기가 섞였다. 나는 몇 골라내기도 하고 학교에서 돌아오자마자 논둑이나 길가에서 한 줌 뜯어 토끼를 보러갔다. 토끼는 샘터 앞집에서 키운다. 대문이 없고 오른 담벼락에 나무로 지은 이삼층 토끼집이 있었다. 풀을 넣어 주고 칸막이를 내려 잠그고 토끼가 풀을 먹는 모습을 지켜본다. 하얀 토끼 까만 토끼가 입을 오물거리며 풀을 뜯어먹는 입이 귀여웠다. 쫑긋하는 긴 귀도 깜찍하다. 가끔 문을 열고 토끼 귀를 잡아 들어 보았다. 아버지가 겨울에 잡아 온 굳은 토끼는 본 적은 있어도 살아 움직이는 토끼를 쓰다듬으면 털이 곱고 따뜻하고 말랑했다. 만지고 놀고 바라보느라 다리 아픈 줄도 모르고 서서 노느라 해 떨어지는 줄도 모른다. 집에 가면 어머니 아버지는 들일을 나가고 우리는 소꼴은커녕 앞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살리기]1-61 되숭대숭하다 여러 날 동안 오락가락하던 비가 그치고 나니 그야말로 무더위가 참맛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무더위'는 왜 '무더위'라고 할까? 물었더니 어떤 사람이 "무지 더워서 무더위라고 한다."며 마치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을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말장난 삼아 풀이를 할 수도 있겠지만 '무더위'는 '물+더위'로 여러 날 비가 이어져서 '물기를 잔뜩 머금어서 찌는 듯이 견디기 어려운 오늘 같은 더위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풀이를 해 주었답니다. 날씨가 이렇게 무더우면 서로 고운 말을 주고받을 수 없을 때가 많기 때문에 더욱 말을 삼가는 게 좋겠습니다.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되숭대숭하다'입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말을 종작없이 지껄이다.'로 풀이를 하고 있고 보기월은 없습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사람이) 말이나 행동을 버릇없이 함부로 하다.'라고 풀이를 하고 보기월로 "그 남자가 자신을 변호사라고 소개하기는 했으나 동작이나 말투가 되숭대숭해서 수상했다,"를 들어 놓았습니다. 두 가지 풀이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온 '종작'은 '대중으로 헤아려 잡은 어림(짐작)'이라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살리기]1-60 돼지떡 더위와 함께 빛무리 한아홉(코로나 19)이 누꿈해지는가 싶었는데 그런 제 생각을 비웃기라도 하듯 갑자기 걸린 사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서울은 말할 것도 없고 제가 살고 있는 고장에도 여러 사람이 걸렸다는 기별이 들리고 저희 집과 가까운 곳에서도 걸린 사람이 나왔다는 기별을 듣고 걱정이 커졌습니다. 드물게 지내기(사회적 거리 두기)도 낮아져 모이는 사람들이 좀 많아졌다 싶었는데 그와 함께 이런 일이 일어나니 더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돼지떡'입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무엇인지 모를 물건들이 이것저것 범벅이 되어 지저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무엇인지 모를 물건들이 이것저것 마구 뒤섞여 지저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를 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을 쓴 보기월은 어디에도 없어 아쉬웠습니다. 저는 이 두 가지 풀이를 더하되 물건을 가리키는 토박이말 '몬'과 '비유하다'와 비슷한 뜻을 가진 '빗대다'라는 토박이말을 넣어 다음과 같이 풀이를 해 봤습니다. 돼지떡: 무엇인지 모를 몬(물건)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찾기 놀이]1-11 지난 두날(화요일)은 고운빛꽃배곳 충무공초등학교 토박이말바라기 푸름이들이 토박이말 살리기 널알리기(캠페인)를 했습니다. 비가 오는 궂은 날이었지만 다른 아이들보다 일찍 나와 손수 마련한 알림판을 들고 있는 것을 보며 다른 분들도 참 대견하다는 생각을 했을 거라 믿습니다. 지난 삿날(수요일)은 진주교육지원청에서 도와 꾸리는 토박이말 뜸(학급)과 동아리를 맡은 갈침이(선생님)들과 함께 토박이말 갈배움 힘 기르기 모임을 했습니다. 그 자리에 오신 분들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까닭이 있긴 하지만 남들은 하지 않는 토박이말을 가지고 이런저런 새로운 수를 찾고 있는 남다른 분들이었습니다. 어제는 고운빛꽃배곳 토박이말바라기 갈침이 모임을 했습니다. 그 자리에 오신 분들도 다른 일이 바쁜 가운데 토박이말과 아랑곳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오시는 고마운 분들이지요. 사흘 동안 제가 본 아이들과 갈침이들에게 해 드린 말 가운데 하나가 바로 여러분들은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 토박이말 살리기에 있어 앞서 가는 사람들이기에 스스로 자랑스러워 하셔도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은 몰라도 제가 그것을 똑똑히 봤으니…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살리기]-7월에 알고 쓰면 좋을 토박이말 해마다 이맘때면 여러 날 동안 비가 오래도록 오는 오란비, 장마철인데 올해는 좀 늦게 왔습니다. 오란비가 비롯되면 그야말로 무더위의 참맛을 제대로 느끼게 될 것입니다. 비가 잦으면 비설거지를 할 일도 잦기 마련이지요. 옛날과 견주어 볼 때 치우고 덮을 게 많지는 않지만 말입니다. 이제 그야말로 온 누리가 더위 누리가 되는 더위달, 7월입니다. 더운 만큼 시원한 물과 바람을 절로 찾게 되는 달이기도 하지요. 이렛날이 ‘좀더위’이고, 스무 이튿날이 ‘한더위’인 것만 보아도 어떤 달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달끝에는 여름 말미를 얻어 바다로 골짜기로 시원함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로 북적일 것입니다. 집을 빌려 가는 사람도 많지만 들살이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예 한뎃잠을 자는 사람을 더러 보기도 합니다. 자주 오는 비와 함께 그리 반갑지 않은 것도 찾아오곤 하지요. 이 땅 위에 있는 모든 것을 쓸어버릴 듯이 불어서 ‘싹쓸바람’이라고도 하며 커서 ‘큰바람’, 또는 ‘한바람’이라 할 수 있는 그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요? 미리 막을 수 있으면 더 좋겠지만 오더라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25-기다림은... 여느 해보다 늦게 우리들 곁으로 온 오란비(장마)가 이름값을 제대로 하고 있는 것 같구나. 나라 곳곳에 많은 비가 내려 큰물이 지고 논밭이 물에 잠기기도 하고 메무너짐(산사태)으로 집이 묻히거나 부서진 곳도 있다고 들었는데 목숨을 잃는 사람은 없기를 우리 함께 빌자. 오늘 들려 줄 좋은 말씀은 "기다림은 더 많은 것을 견디게 하고 더 먼 것을 보게 하고 캄캄한 어둠 속에서도 빛나는 눈을 갖게 한다."야. 이 말씀은 살림갈깨침이(경제학자)이자 지음이(작가)이신 신영복 님께서 하신 말씀이라고 하는구나. 이 말씀을 얼른 겉으로만 보더라도 뭔가 기다리는 것이 있으면 좀 더 멀리 보게 되고 좀 힘들어도 더 오래 참을 수 있게 된다는 말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 싶구나. 그 기다림이라는 것이 오랫동안 바라던 것이라면 더 멀리 보고 , 더 오래 참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 더욱이 이 말씀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라는 책에 있는 말씀이라고 하니 좀 느낌이 새롭더구나. '어둠'이라는 말이 절로 떠오르는 그 안에서 밝은 '빛'을 생각하시면서 하셨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들어 나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5 처치 곤란 이러지도 못하거나 저러지도 못한다고 할 적에는 예부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 하고 수수하게 말했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처치 곤란(處置 困難)”이라는 한자말이 떠돌거나 퍼집니다. 버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건사하지도 못할 적에 이 말씨로 나타내더군요. 영어 낱말책에서 문득 ‘intractability’라는 낱말을 찾아보니 뜻풀이를 “고집스러움, 다루기 힘듦, 처치 곤란”처럼 적습니다. 영어를 이렇게 풀이했기에 “처치 곤란”이라는 말이 퍼졌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만, 영어 낱말책도 이런 말씨가 퍼지도록 한몫 거들었다고 할 만합니다. 영어 낱말책에도 나오지만, 알맞게 쓸 우리말은 “다루기 힘듦”입니다. “다루기 힘들”기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지요. “다루기 힘든” 나머지 버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건사하지도 못해요. 이리저리 헤매는 모습을 가리켜 ‘갈팡질팡’이라고 합니다. 어떤 일을 맺고 끊는 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하루’는 전남 고흥에서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책숲(도서관)을 꾸리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말꽃을 짓는 길에 곁에 두는 책숲에서 짓는 하루 이야기인 ‘책숲하루 = 도서관 일기’입니다.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7.5. 망령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한자말 ‘망령’은 ‘亡靈’하고 ‘妄靈’으로 가르는데, 둘을 한자나 한글만 보고 가름할 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으리라 봅니다. 이런 말을 쓴대서 나쁠 일은 없으나, 어느 한자로 어느 곳에 써야 알맞을까로 머리를 앓기보다는, 곧바로 누구나 알아차릴 만한 말씨를 쓸 적에 더없이 쉬우면서 부드럽고 즐거우리라 봅니다. 이를테면 ‘넋·죽은넋·허깨비·허울·그림자·찌꺼기·찌끼·찌끄러기·부스러기·티·티끌·허접하다·끔찍하다·더럽다·추레하다·지저분하다·꼴사납다·사납다·눈꼴사납다’라 하면 되고, ‘늙다·늙은이·늙네·늙다리·낡다·낡아빠지다·추레하다·벗어나다·넋나가다·넋빠지다·얼나가다·얼빠지다·바보·바보스럽다·모자라다·멍청하다·멍하다·맹하다·엉망·엉터리·어지럽다·어이없다·턱없다·터무니없다·생각없다·흐리다·흐리터분하다·흐리멍덩하다’라 하면 되어요. 이렇게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살리기]1-59 돌니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돌니'입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자갈이나 돌이 많은 길에 이빨처럼 뾰족하게 나온 돌 조각'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자갈이나 돌이 많은 길에 이가 난 것처럼 뾰족하게 나온 돌조각'이라고 풀이를 하고 "선예는 길을 걷다가 돌니에 발을 차였다."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두 가지 풀이를 견주어 보면 다른 것은 같은데 앞의 것이 '이빨처럼'이라고 했는데 뒤의 것은 '이가 난 것처럼'이라고 한 것이 다릅니다. 저는 뒤의 풀이가 더 쉽게 느껴져 좋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어릴 때 시골 길을 달리다가 돌니에 걸려 무릎과 손바닥이 까져서 많이 아팠던 일이 떠올랐습니다. 그처럼 살다 보면 돌니에 걸려서도 넘어져 무릎을 깨기도 합니다. 흔히 자주 쓰는 '돌뿌리'는 대중말(표준말)이 아니고 '돌부리'가 대중말이라는 것도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돌부리'의 '부리'는 새 따위의 주둥이를 가리키기도 하고 '어떤 몬(물건)의 뾰족한 끝'을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제 느낌에 '돌부리'보다는 '돌니'가 더 작은 것을 가리키는 말로 알맞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