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늧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말 살리기]1-41 늧 한낮에는 여름처럼 덥다 싶었는데 어제는 바람이 불어서 그런지 서늘했습니다. 일을 마치고 나올 때는 살갗에 닿는 바람에 춥다는 말이 나왔으니 말이죠. 그래도 봄은 물러가고 여름이 우리들 곁으로 바짝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늧'입니다. 이 말은 말집(사전)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은 일의 근원.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앞으로 어떻게 될 장본(張本).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라고 풀이를 해 놓았습니다. 풀이에 나온 '장본'을 찾으니 '어떤 일이 크게 벌어지게 되는 근원'이라는 뜻도 있고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이라는 뜻도 있다고 하네요. 뒤의 뜻이 '장본인'이라는 말과 이어지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 나온 '근원'은 '물줄기가 나오기 시작하는 곳'이라는 뜻도 있고 '사물이 비롯되는 근본이나 원인'이라는 뜻도 있으니 '밑바탕'이라고 해도 되지 싶습니다. 그런데 비슷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한겨레 우리말’은 우리가 늘 쓰면서 막상 제대로 헤아리지 않거나 못하는 말밑을 찬찬히 읽어내면서, 한결 즐거이 말빛을 가꾸도록 북돋우려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우리 말밑을 우리 삶터에서 찾아내어 함께 빛내려는 이야기입니다. 한겨레 우리말 ― 같이 더불어 함께, 다르면서 닮은 어느 나라나 겨레가 쓰는 말에든 비슷한말이랑 맞말이 나란히 있습니다. 저마다 다른 삶터에 맞게 다 다른 비슷한말하고 맞말이 있어요. ‘비슷한말’이랑 ‘맞말’이라 했는데요, ‘비슷한말’은 이름대로 비슷하지만 다른 낱말을 나타내고, ‘맞말’은 이름대로 맞대거나 맞서는 낱말을 나타냅니다. ‘좋다·싫다’는 맞말입니다. ‘싫다·꺼리다’는 비슷한말입니다. ‘곧·바로·이내·곧바로·막바로’는 비슷한말입니다. ‘느리다·빠르다’는 맞말이지요. 비슷하다고 말할 적에는 “안 같다(같지 않다)”는 뜻이에요. 같으면 그냥 ‘같다’고 하겠지요. 안 같은, 그러니까 비슷할 적에는 ‘닮다’라고도 합니다. 비슷하면서 다른 낱말로 ‘어슷비슷·비금비금’이 있습니다. “안 같을” 적에, 그러니까 비슷할 적에는 ‘닮는다’고도 하고 ‘-처럼’을 붙여서 나타내요. “누나처럼 한다”나 “아버지처럼 한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능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여유 [토박이말 살리기]1-40 능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능'입니다. 이 말도 거의 쓰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많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말은 말집(사전)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빠듯하지 아니하게 넉넉히 잡은 여유'라고 풀이를 하고 "능을 두어 옷을 짓다."를 보기로 들어 놓았습니다. 보기월을 보면 나날살이에서 얼마든지 쓸 수 있는 말이라는 생각이 드실 것입니다. 제가 거의 날마다 아침배움이 비롯되고 난 뒤에 오는 아이들에게 조금만 일찍 집에서 나서면 좋겠다는 말을 하는데 이 때 "조금만 능을 두고 집에서 일찍 나서면 좋겠구나."라고 말하면 되지 싶습니다. 누구와 만나기로 했을 때도 좀 능을 두고 나가서 기다리는 버릇을 들여 놓으면 참 좋을 것입니다. 이 말의 풀이에 나온 '여유'라는 말이 '물리적, 공간적, 시간적으로 넉넉하여 남음이 있는 상태'를 뜻하는데 물리적, 공간적 사이를 뜻하는 말 '틈'이 '시간적 사이'을 뜻하기도 하니 '틈' 또는 '겨를'이라는 말을 넣어서 풀이를 해도…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노래 #가시리 #에스지워너비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노래에서 길을 찾다]7-가시리 일부러 골라서 듣지는 않지만 오가다 듣는 노래 가운데 토박이말을 잘 살린 노래를 만나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습니다. 오늘 들려 드릴 노래는 '가시리'도 토박이말을 잘 살린 노래입니다. 배움책(교과서)에서 배운 고려 때 노래 '가시리'와 이름은 같지만 다른 노래랍니다. 안영민 님이 노랫말을 쓰시고 조영수 님이 가락을 붙여 에스지워너비가 2007년에 처음 부른 노래입니다. 노랫말 가운데 '기억', '매일', '세월'을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노랫말 알맹이를 톺아보면 떠나간 님을 애타게 기다리는 동안 함께했던 새마저 떠나버리는 좀 슬픈 노래지만 옛날부터 이어져 오는 우리 겨레 사람들의 사랑하는 마음이 잘 드러나는 노래라고 생각합니다. 가신 님을 아무리 불러도 메아리만 돌아오는데 마침 홀로 우는 새를 보니 그 새도 사랑했던 님을 찾아 우는구나 라고 한 것과 비가오나 눈이오나 기다리는 마음에 바람 소리가 님이 오는 소리 같다며 바람 소리를 님이 오는 소리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좋은말씀 #명언 #괴테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14- 삶은 이 두 가지 뿐이다. 오늘 들려 줄 좋은 말씀은 "삶은 이 두 가지 뿐이다. 하고 싶으나 할 수 없는 것과 할 수 있으나 하지 않는 것이다."야. 이 말씀은 앞서 알려 준 좋은 말씀과 이어지는 말인데 너희들도 잘 아는 '괴테' 님이 남기신 말이라고 해. 사람들은 흔히 하고 싶으나 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돈'을 가장 많이 떠올리지 싶어. 왜냐하면 돈이 없어서 배우고 싶어도 못 배운 사람이 많고, 어디를 가고 싶었는데 돈이 없어서 못 간 사람도 많을 테니 말이야. 할 수 있는데 하지 않은 것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 생각해 보라고 하면 '공부', '운동'과 같은 말이 떠오르지 싶은데 너희들은 어떠니? 살아가면서 하고 싶지만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데 하지 않은 것에 마음을 더 쓰는 게 좋다는 생각이 들어. 왜냐하면 먼저 살아 보신 분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은 것들은 나이를 먹은 다음 뒤늦게 뉘우치게 된다고들 하시기 때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쉬운배움책 #교과서 #과학 #옛배움책 #푸성귀 #고기 #물고기 #기름기 #흰자질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푸성귀 고기 물고기 기름기 흰자질 오늘은 4285해(1952년) 펴낸 ‘과학공부 5-2’의 43쪽부터 44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43쪽 그림 안에 ‘키’와 ‘가슴의 둘레’가 보이고 44쪽 그림 안에는 ‘몸무게’가 나옵니다. 요즘에도 많은 곳에서 ‘신장’, ‘체중’이라는 말을 쓰지만 아이들이 배우는 배움책에는 다 ‘키’, ‘몸무게’ 라는 말을 씁니다. 옛날 배움책에서는 ‘가슴의 둘레’라고 한 것을 요즘 배움책에서는 ‘가슴둘레’라고 합니다. 하지만 같은 뜻으로 쓰기도 하는 ‘흉위(胸圍)’를 쓰는 곳은 보기 어려운데 그 까닭은 여러분도 잘 아실 것입니다. 두 쪽에 있는 그림 아래에 “우리의 몸은 이렇게 자랐다.”와 “우리 몸은 참 잘 자라지!”와 같은 월은 참 반갑고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요즘에도 아이들의 키와 몸무게 따위를 잰 다음 어버이께 알려 드릴 때 ‘신체발달상황’이라는 말을 쓰는데 위와 같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32. 시골아이 “옷 산다고 하디 샀나?” “아니. 아직 안 샀어.” “꽃샘추위 지나가면 봄을 건너뛰고 바로 여름이 오지 싶다. 짧은 철이라도 옷은 제때 바꿔 입어야지.” “응 쉬는 날에 나가 볼게.” “그래라. 니 동생 집에 왔다.” “알아. 어제 말했어.” “아. 어여, 엄마가 옷값 보태 주까?” “응, 얼마나?” “돈은 없어. 10이나 20?” “돈 없음 안 줘도 돼.” “어디로 보낼까?” “농협으로. 외우는 게 이뿐이야.” “응. 그날 입고 온 겉옷이 하도 낡아서 사주는 거야! 불쌍해 보여.” “다들 왜 그러지. 난 아무렇지 않은데. 오예 받았슴다. 고맙습니당.” “옷 사면 찍어서 보내.” “네, 네, 그렇게 남기겠슴다. 그럼. 쉬십셔. 난 머리가 너무 아파서 일찍 잘랭. 요즘 한쪽 머리가 너무 아파.” “그래. 푹 자. 잘 때는 잠만 자” “잠을 깊이 못 자. 새벽에 자꾸 깨서 머리가 더 아픈 듯. 쭉 자야 하는데. 어제는 한 시간마다 깼어. 미치는 줄 알았어.” “뒷산이라도 가서 숲 보면 나은데.” “음. 내일은 시장에 나가서 돌아다녀 볼게.” “너 어릴 적에 시골에서 지내서 몸이 서울을 밀어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늘차다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달인 #능수능란하다 #숙달하다 [토박이말 살리기]1-39 늘차다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늘차다'입니다. 이 말을 두고 말집(사전)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능란하고 재빠르다'라고 풀이를 하고 '늘찬 일솜씨'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서는 ' (솜씨가) 아주 익숙하고 재빠르다'고 풀이를 해 놓고 "김 씨는 일솜씨가 늘차서 다른 사람들보다 몇 배의 일을 금세 해 버리더라고."를 보기월로 들었습니다. 저는 '능란하다'가 '익숙하고 솜씨가 있다'는 뜻이고 '익숙하다'는 것은 '일 따위가 손에 익다'는 뜻이니 '늘차다'를 '일 따위가 손에 익어서 솜씨가 있고 재빠르다'라고 풀이를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숙달된 조교'라는 말이 생각났는데 '숙달된 조교'를 '늘찬 조교' 라고 해도 되겠다 싶었습니다. . '숙달하다'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익숙하게 통달하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통달하다'는 ' 사물의 이치나 지식, 기술 따위를 훤히 알거나 아주 능란하게 하다.'라고 풀이하고 있으니 좀 더 쉽게 말하자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꼼꼼히 돌아볼 수 있다면 [오락가락 국어사전 13] 나머지가 되는 말 낱말책이 낱말책다우려면 쓸데없이 실은 낱말을 차근차근 털어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군말을 털고, 낡은 말을 털 노릇입니다. 군더더기가 너무 많다 보니 정작 낱말책을 읽으면서 말을 익히기 어려워요. 돌림풀이는 꼼꼼히 살펴서 가다듬고, 군더더기는 빈틈없이 헤아려서 도려내기를 바랍니다. 꼼꼼하다 : 빈틈이 없이 차분하고 조심스럽다 빈틈없다 : 1. 비어 있는 사이가 없다 2. 허술하거나 부족한 점이 없다 주도면밀(周到綿密) : 주의가 두루 미쳐 자세하고 빈틈이 없음 ‘꼼꼼하다’를 ‘빈틈없다’로 풀이하면 돌림풀이입니다. 뜻풀이를 가다듬어야겠습니다. 그런데 ‘주도면밀’도 ‘빈틈없다’로 풀이하는군요. ‘주도면밀’은 “→ 빈틈없다. 꼼꼼하다”로 다룰 만합니다. 몸소 : 1. 직접 제 몸으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모시다 섣불리 따르지 않습니다. 함부로 뒤따르지 않아요. 아무나 섬기지 않고, 나이가 많거나 훌륭하다는 분이라서 모셔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남을 받들거나 좇아야 하지 않아요. 마음을 바라보기로 해요. 못나거나 못생긴 우리 마음을, 아니 못나지도 잘나지도 않을 뿐더러, 못생기지도 잘생기지도 않은 수수한 우리 숨결을 마주보아요. 우리는 누구나 높거나 낮지 않아요. 물결과 같습니다. 물결이 높을까요, 낮을까요? 물결은 그저 물결이에요. 일렁일 때가 있지만 늘 고스란히 숨빛을 잇습니다. 높여야 할 나도 남도 아닙니다. 그저 사랑으로 맞이하면서 이 빛살을 함께하면 넉넉합니다. 손을 같이 잡아요. 나란히 어깨를 겯어요. 너랑 내가 더불어 누릴 웃음꽃을 피워요. 우리는 상냥하게 노래하면서 참하고 하루를 가꿉니다. 애써 따라가려 하지 않아도 됩니다. 동무로 지내면 되거든요. 나이가 많이 벌어져도 서로 벗입니다. 잔뜩 배우거나 많이 읽었어도 둘은 사이좋게 짝꿍이 될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