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글쓴이 . 그림 보리 ] ( 우리굿 : 흩어져 가는 우리말. 잠든 얼 깨워 가락나게 살아가길. 두손모아. 보리, @bori_ink) 나날 32. 대추도 붉게 익고 제 마음도 발갛게 익어 이제 시월도 끝자락에 걸터있네요. 어느덧 배달겨레소리도 첫 걷이를 합니다. 저도 우리말 ‘비롯하다’와 함께 첫 글을 싹 틔워 봅니다. ‘시작(始作)하다’는 처음‘시’와 지을‘작’을 붙인 한글한자말인데, 우리말로 하면 ‘비롯하다’ ‘싹 틔우다’, ‘움트다’가 됩니다. 싹 틔우고 움트는 말 속에 우리 겨레가 두리(자연)와 한마음으로 산 뜻이 배어 있습니다. ‘내용(內容)’이란 한자말은 우리말로 ‘알맹이’를 뜻합니다. ‘일주(一周)하다’는 ‘한바퀴돌다’라고 말합니다. 입으로 말하거나 눈으로 보아도 우리 겨레가 둥글게 살았고 돌아가는 두리의 흐름을 따라 살았음을 배웁니다. 아주 옛날, 사람들은 마음을 드러내려 그리기 비롯했고 그 그림이 굳어져 글자나 무늬가 생겨나고 가락이 만들어지고 말이 나왔습니다. 말은 눈짓, 몸짓, 마음짓에서 생겨나, 그 땅에 살던 겨레의 삶과 얼이 녹아있습니다. 홑되지만(단순하나) 뜻이 있는 것은 울림을 가집니다. 그 울림은 나를 돌아보고, 두
[ 배달겨레소리 글쓴이 숲노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바람넣다 사르랑사르랑 바람이 붑니다. 바람은 늘 다르게 소리를 냅니다. 어느 날은 산들산들 선들선들 설렁설렁 살랑살랑 하는데, 어느 날은 샤랑샤랑 사랑사랑 소리를 들려줍니다. 얼른 숲으로 와서 푸르게 노래하라고 구슬리는 듯합니다. 바람이니까 ‘바람넣는’ 노래를 들려주는구나 싶은데, 언제 어디에서나 산뜻하면서 보드라이 말을 하고 생각을 지피라고 이끌지 싶어요. 가을빛은 알록달록합니다. 가을숲을 보며 가을무지개가 떠오릅니다. 그저 노란물 하나가 아닙니다. 빨간물투성이도 아닙니다. 노라면서 바알갛고, 붉으면서 누렇습니다. 아직 푸른 기운이 남기도 하고, 짙은 흙빛이 되기도 하는 가을물이지 싶어요. 딱잘라서 무어라 나타내기 어렵지만, 한결같이 울긋불긋 출렁이는 가을물을 바라보다가 이 빛물결에 바로 뛰어들어 마음이며 몸을 새롭게 감싸 볼까 싶어요. 그러니까 가을에는 가을빛을 누리면 좋겠습니다. 가을바람을 고스란히 쐬면서, 가을볕을 제대로 쬐면서, 가을길을 걷는 가을노래로 한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