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8 푸른씨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년에 즐겨읽은 여러 가지 책을 펴낸 곳으로 ‘푸른나무’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낸 어느 책을 읽다가 ‘푸름이’란 낱말을 처음 만났어요. 깜짝 놀랐지요. ‘청소년’이란 이름이 영 거북하고 못마땅하다고 여기던 열일곱 살에 만난 ‘푸름이’는 즐겁게 품을 새말을 짚어 주는 반가운 길잡이였습니다. 그 뒤로 즐겁게 ‘푸름이’라는 낱말을 쓰는데, 적잖은 분은 제가 ‘청소년’이란 한자말을 손질해서 쓰는 줄 잘못 압니다. 요즈음도 이 낱말을 즐겨쓰지만 이따금 말끝을 바꾸어 ‘푸른씨’나 ‘푸른순이·푸른돌이’나 ‘푸른님’처럼 쓰기도 합니다. 어린이 곁에서 ‘어린씨·어린순이·어린돌이·어린님’이라고도 하고요. 꼭 한 가지 이름만 있을 까닭은 없다고 생각해요. ‘씨’는 ‘씨앗’을 줄인 낱말입니다. ‘푸른씨 = 푸른씨앗인 사람’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5 ㄱ. 꽃에 대해 새로운 인식 얻다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인식(認識) : 1.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앎 2. [심리]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로 쓴다 = 인지 3. [철학]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물에 대하여 가지는, 그것이 진(眞)이라고 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개념. 또는 그것을 얻는 과정 꽃을 보며 꽃을 압니다. 꽃을 마주하며 꽃을 배워요. 꽃을 바라보기에 꽃을 새롭게 느끼고, 꽃하고 살아가며 꽃을 새삼스레 맞아들이지요. “-에 대해 -ㄴ 인식을 얻다”는 옮김말씨에 일본말씨가 섞였어요. 범벅말입니다. ‘-에 대해’는 ‘-을·-를’로 고치고, ‘-ㄴ’은 ‘-게’로 고치며, “인식을 얻는다”는 ‘배운다·익힌다’나 ‘바라본다·본다’나 ‘안다·알아간다’로 고칩니다. ㅅㄴㄹ 눈사람과 과꽃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얻는다 → 눈사람이랑 과꽃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배달밥 우리말 ‘배달’은 한자 ‘배달(配達)’하고 다릅니다. 소리만 같대서 “배달의 민족”이라는 이름을 슬쩍 붙이는 장사꾼이 있습니다만, 나르는 일은 ‘나르다·옮기다·가져다주다·보내다’로 가리킵니다. ‘배달겨레·배달나라’라는 이름은 “밝은 땅을 이룬 겨레·나라”란 뜻입니다. ‘배달 = 박달 = 밝은 땅 = 밝은 누리·밝뉘’인 얼개예요. 곰곰이 보면 ‘-의’를 넣은 “배달의 민족”은 무늬만 한글인 일본말입니다. 우리말로 제대로 적자면 ‘씽씽겨레·달림겨레·나름겨레·드림겨레’쯤 될 만합니다. ‘보내드림’처럼 이름을 지어도 어울릴 테고요. 한자를 쓰며 중국을 섬기던 임금·벼슬꾼·글바치는 일본이 이 땅에서 물러난 뒤에 ‘한식(韓食)·한식(韓式)·한복(韓服)·한옥(韓屋)’ 같은 한자말을 자꾸 지으며 퍼뜨립니다. 우리는 ‘韓’이 아닌 그냥 ‘한’이고, 이 말씨는 ‘하나·하늘·큰·너른’을 가리켜요. 이제라도 ‘배달밥·한밥’을 찾기를 바라요. ‘살림빛·내림옷’을 찾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19 《악어소녀 수》 새런 암스 뒤세 글 앤 윌스도프 그림 김수연 옮김 주니어김영사 2004.6.2. 《악어소녀 수》(새런 암스 뒤세·앤 윌스도프/김수연 옮김, 주니어김영사, 2004)는 아이가 새롭게 스스로 살아내는 길을 슬기로우면서 상냥하게 들려줍니다. 그림을 맡은 분은 《소중한 주주브》를 선보이기도 했고, 어릴 적부터 둘레에서 마주하던 숲을 알뜰히 담아낼 뿐 아니라, ‘이 짐승은 사납거나 저 짐승은 나쁘다’고 하는 비뚤어진 생각이 없이 ‘모두 다르면서 아름다운 숨결’이라는 생각을 고이 들려줍니다. 이 《악어소녀 수》는 외톨이 아이를 사랑스레 보살피며 ‘악어순이’로뿐 아니라 ‘사람순이’인 줄 잊지 않도록 품은 ‘어미 악어’를 눈여겨보아야 합니다. 겉모습이 악어라서 믿기 어렵거나 안 믿으려 한다면, 바로 이처럼 흐린 눈망울을 씻으라는 어린이책입니다. 따지고 보면, 악어순이 이야기는 믿고 말고가 아닌,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삶이란 무엇인가를 헤아리는 길을 다룬다고 하겠어요. 아이는 어디에서나 아이입니다. 어버이는 누구한테나 어버이입니다. 여우순이나 곰순이여도, 멧돼지순이나 토씨순이여요, 아이는 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18 읽어치우지 않기 《천천히 읽기를 권함》 야마무라 오사무 송태욱 옮김 샨티 2003.11.11 《천천히 읽기를 권함》(야마무라 오사무, 송태욱 옮김, 샨티, 2003)은 ‘천천읽기’나 ‘느릿읽기’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좋은읽기·나쁜읽기’를 가리려 하지 않습니다. ‘느슨읽기·느긋읽기’나 ‘가만읽기·찬찬읽기’로 저마다 스스로 ‘삶읽기·살림읽기’를 거쳐서 ‘사랑읽기·숲읽기’로 나아가자고 속삭입니다. 바쁘고 일거리가 넘치는 오늘날 천천히 읽거나 느릿느릿 읽는다면 뒤처진다고 여길 만합니다. 느슨히 읽거나 느긋이 읽다가는 줄거리를 종잡지 못한다든지 글도 못 쓰겠거니 여길 만합니다. 그렇다면 묻고 싶습니다. 왜 빨리 가야 할까요? 왜 빨리 죽어야 할까요? 왜 빨리 먹어야 할까요? 왜 빨리 늙어야 할까요? 빨리 죽고 싶지 않다면서 정작 빨리 달리지 않나요? 빨리 늙기를 바라지 않는다면서 막상 빨리 먹어치우지 않나요? 2003년 여름이었지 싶은데 민음사에서 엮음빛으로 일하는 분이 제 단골책집으로 찾아와서 함께 책을 내면 좋겠다고 얘기한 적 있습니다. 마음속으로는 “민음사처럼 커다란 곳에서 책을 낼 생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용모단정’이란 무엇일까? [오락가락 국어사전 20] ‘망각’ 아닌 ‘잊어버리’는 말 스스로 찬찬히 쓰지 않으면 잊기 마련입니다. 살림이든 말이든 늘 즐겁게 쓰기에 알맞게 살려서 가꿉니다. 곁에 두고서 늘 새롭게 살피고 정갈히 가꾼다면 아름답게 피어나는 살림이고 말입니다. 얼굴은 얼굴대로 고이 가꿉니다. 보금자리는 보금자리대로 곱게 가꿉니다. 말은 말대로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답게 가꿉니다. 주저하다(躊躇-) : 머뭇거리며 망설이다 ≒ 자저하다·지주하다 머뭇거리다 : 말이나 행동 따위를 선뜻 결단하여 행하지 못하고 자꾸 망설이다 망설이다 : 이리저리 생각만 하고 태도를 결정하지 못하다 ‘주저하다’를 “머뭇거리며 망설이다”로 풀이하는데, ‘머뭇거리다’는 ‘망설이다’로 풀이합니다. 겹말·돌림풀이입니다. ‘주저하다’는 “→ 머뭇거리다. 망설이다”로 다룰 노릇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겹말 손질 ㄱ. 인위적이고 인공적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것들에 대한 → 꾸며냈으면 → 억지스러우면 인위적(人爲的) : 자연의 힘이 아닌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적(人工的) : 사람의 힘으로 만든 한자말 ‘인위’나 ‘인공’은 “사람이 짓거나 이루거나 만든”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두 한자말에 ‘-적’을 붙일 적이든 이 보기글에서든 ‘억지스럽’거나 ‘꾸민’ 모습을 나타냅니다. 둘을 나란히 쓰면 겹말이에요. 수수하게 ‘억지스럽다’나 ‘꾸미다·꾸며내다’로 고쳐씁니다.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것들에 대한 거부감은 배 속의 아기가 싫어하는 것이므로 대부분 피했다 → 꾸며냈으면 배 속 아기가 싫어하니 거의 멀리했다 → 억지스러우면 배 속 아기가 싫어하니 으레 떨어졌다 《시 읽는 엄마》(신현림, 놀, 2018) 1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바로쓰다 틀리게 쓰기보다는 바로쓰기가 나을는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좀 틀려도 안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넘어지거나 틀리거나 어긋나더라도, 참다운 삶이라는 길을 바라보고 이모저모 익히면서 살아갈 만해요. 이리저리 둘러맞출 까닭은 없어요. 어느 바닥에 서든지 참다운 눈길로 바라보면서 착하고 즐거우면서 아름다이 짓는 얼거리를 세우면 넉넉합니다. 서두르기보다는 추스릅니다. 짜맞추기보다는 가다듬습니다. 억지로 바꾸어야 하지 않아요. 느긋이 헤아리면서 하나씩 손봅니다. 빨리 마쳐야 좋을까요? 저는 빠르게도 느리게도 할 마음이 없어요. 제대로 하는 갈래를 살펴서 즐겁게 노래하는 쪽에 설 생각입니다. 더 나은 일자리도 더 나쁜 일감도 없습니다. 어느 일거리이든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는 곳에 따라 달라요. 뚝딱뚝딱 고쳐도 될 테고, 차근차근 깨우치면서 고요히 갈고닦아도 됩니다. 뒷사람을 끌어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참사랑이라면 굳이 이끌지 않아도 어느새 곁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가운데 ― 인천 〈문학소매점〉 일본이 총칼로 우리나라에 쳐들어와서 억누를 적에, 고장마다 ‘중구·동구·서구·남구·북구’로 가른 이름을 썼습니다. 그들이 사는 곳은 으레 ‘중구’였습니다. 그들이 차지한 나라에서 어느 고장에 밀려들어 마을을 바꾸려 하며 ‘총칼잡이를 가운데에 둔’ 셈입니다. 인천이나 부산을 가만히 보면 ‘중구가 가운데가 아니라 할’ 만합니다. 지난날에는 인천도 부산도 그리 안 넓었습니다. 조그마한 고장이 차츰 넓게 뻗자 ‘가운데 아닌 왼쪽’에 치우친 자리인데 ‘중구’요, 오른쪽 아닌 왼쪽이나 가운데에 있는데 ‘동구’란 이름입니다. ‘동서남북’도 ‘구(區)’란 이름도 걷어치울 만합니다. 일본 총칼(제국주의) 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꽃책 ― 부산 〈동주책방〉 2004년에 《곤충·책》이 나온 적 있습니다. 1647년에 태어나 1717년에 눈감은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님이 풀벌레하고 풀꽃나무를 사랑한 숨결을 물씬 느낄 만한 숲책(생태환경책)입니다. 이녁 삶자취는 그림책 《곤충화가 마리아 메리안》이 부드럽고 상냥하게 들려줍니다. 부산 망미나루 곁에 있는 〈동주책방〉 한켠에 이분 책이 있습니다. 흔한 풀꽃하고 풀벌레를 눈여겨보며 아낀 눈부신 손길이 있기에 오늘날 숱한 사람들이 풀꽃그림이며 풀벌레그림을 노래할 만하다고 느낍니다. 우람그림책 《Maria Sibylla Merian》을 보면서 이다음에 이 우람그림책을 장만하러 부산에 곧 다시 찾아가자고 생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