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9 가정식백반 ‘가정식 백반’이라는 우리말은 없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이런 알쏭달쏭한 말이 널리 쓰입니다. 게다가 이 말이 아주 알맞거나 좋은 말이라고 여기는 사람이 부쩍 늘어납니다. 먼저 ‘가정식’이라는 말은 낱말책에 없는데, ‘가정(家庭) + 식(式)’이기 때문이고, 중국 한자말 짜임새입니다. ‘백반(白飯)’은 “흰밥”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옛날에 한겨레는 ‘흰밥’을 먹는 일이 드물었다고 합니다. 흰밥은 임금집(궁중)이나 가멸집(부잣집)에서 먹었고, 손수 흙을 가꾸어 나락을 일구던 시골사람은 ‘누런밥(현미)’을 먹었다고 합니다. 가만히 보면, 시골사람은 쌀로 다른 무엇을 빚을 때가 아니면 겨를 함부로 벗기지 않습니다. 갓 거둔 햅쌀이라면 겨가 있는 채로 밥을 지을 적에 한결 맛있습니다. 떡을 찌거나 쌀을 빚을 적에는 겉꺼풀뿐 아니라 속꺼풀도 많이 벗겨서 하얗게 되어야 다루기에 수월합니다. 이와 달리 밥을 먹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마침겨룸 아이들은 배움터에 깃들기까지 겨루는 짓을 모르다가, 배움터에 깃들고 나면 너랑 나 사이에 어떤 줄이 있는가를 살피면서 끝없이 겨룹니다. 어린배움터에 앞서 어린이집부터 겨루기 일쑤요, 어른이 쥐어 준 손전화에 있는 누리놀이는 으레 겨룸판입니다. 철마다 겨루고 달마다 겨루면서 자꾸자꾸 줄세우기를 바라보고 길드는데요, 즐길거리 아닌 온갖 겨룸마당으로 어린날이며 푸른날을 보내야 한다면, 우리 아이들 앞날은 어떤 길이 될까요. 이 푸른별에서 우리나라만큼 ‘아이를 안 낳는’ 나라가 없고 ‘아이를 낳고픈 마음이 없는’ 나라도 없다지요. 시달리거나 들볶이면서 어른이 된다면 아이를 낳고플까요? 사랑이며 놀이로 자라지 못한 채 어른이란 몸을 입는다면 사랑으로 아이랑 놀면서 돌볼 수 있을까요? 어디에 눈을 두는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착하게 살림을 짓고 참다이 사랑을 속삭이는 하루를 반갑게 맞이하는 터전이어야지 싶어요. 아이들을 사잇겨룸에 마침겨룸에 모둠겨룸에 달겨룸에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모시다 섣불리 따르지 않습니다. 함부로 뒤따르지 않아요. 아무나 섬기지 않고, 나이가 많거나 훌륭하다는 분이라서 모셔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남을 받들거나 좇아야 하지 않아요. 마음을 바라보기로 해요. 못나거나 못생긴 우리 마음을, 아니 못나지도 잘나지도 않을 뿐더러, 못생기지도 잘생기지도 않은 수수한 우리 숨결을 마주보아요. 우리는 누구나 높거나 낮지 않아요. 물결과 같습니다. 물결이 높을까요, 낮을까요? 물결은 그저 물결이에요. 일렁일 때가 있지만 늘 고스란히 숨빛을 잇습니다. 높여야 할 나도 남도 아닙니다. 그저 사랑으로 맞이하면서 이 빛살을 함께하면 넉넉합니다. 손을 같이 잡아요. 나란히 어깨를 겯어요. 너랑 내가 더불어 누릴 웃음꽃을 피워요. 우리는 상냥하게 노래하면서 참하고 하루를 가꿉니다. 애써 따라가려 하지 않아도 됩니다. 동무로 지내면 되거든요. 나이가 많이 벌어져도 서로 벗입니다. 잔뜩 배우거나 많이 읽었어도 둘은 사이좋게 짝꿍이 될 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누구라도 누구라도 하면 됩니다. 누구나 할 만합니다. 하던 사람만 해야 하지 않아요. 누구든지 첫길을 열면 되어요. 하다 보면 곧잘 하기 마련입니다. 자주 하지 않으니 낯설어요. 여느 자리에서 언제나 하노라면 어느새 즐길 수 있고, 밭돌이나 밭순이가 된다든지, 뜨개질이 몸에 배거나 살림살이를 널리 누리면서 새삼스럽고도 정갈히 하루를 짓기 마련입니다. 걸핏하면 달아난다지요. 툭하면 내빼고요. 꼬박꼬박 하기보다는 노상 손을 빼다 보면 으레 멀어지고, 자꾸 멀어질수록 삶으로 젖어들지 못합니다. 언제나 첫걸음부터입니다. 빈자리를 채우려 하기보다는 맑게 마음을 틔워서 살림둥이가 되어 봐요. 억지로 물드는 길이 아닌, 기쁘게 익혀서 삶으로 녹이기로 해요. 엄마젖을 물던 아기가 수저를 쥐고서 스스로 떠먹다가, 어느덧 손수 밥살림을 챙기는 듬직한 살림을 꾸립니다. 처음에는 낯설 만하지만, 첫차림을 활짝 열면 이제부터 그냥그냥 잘하는 우리 모습을 느낄 만해요. 할 일을 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8 왜 안 만들고 짓는가 미처 살피지 못할 적에는 제때나 제자리에 제대로 쓸 낱말을 모릅니다. 서두르지 않으면서 꾸준히 살피려 할 적에는 제때나 제자리에 제대로 쓸 낱말을 알 수 있습니다. 말을 알맞게 잘 하는 사람이 있다면, 꾸준히 살피고 받아들이면서 배운다는 뜻입니다. 말을 아직 알맞게 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으면, 아직 꾸준히 살필 줄 모르거나 엉성한 매무새 그대로 살아간다는 뜻이에요. 제가 하는 일을 ‘말꽃짓기(사전집필)’라고 말합니다. 말꽃(낱말책)이라고 하는 책은 으레 ‘엮다’를 써야 어울리지만, 저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말꽃을 쓰는 길을 가기에 ‘말꽃엮기’ 아닌 ‘말꽃짓기’입니다. ‘짓다’라는 낱말은 아직 없지만, 이제 처음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일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선보인 낱말책을 살피면 ‘짓다’라는 낱말을 ‘만들다’라는 낱말로 엉뚱하게 풀이합니다. 두 낱말은 결이 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쏠쏠하다 반가운 벗은 어떤 가시밭길도 꺼리끼지 않고 찾아와서 손을 잡습니다. 서로 동무가 되니 즐거운 눈빛으로 이야기를 지펴서 좋습니다. 함께 어울리는 사이는 어떤 일이든 넉넉하게 맡으면서 무던하고도 새첩구나 싶은 마음이 됩니다. 걱정은 걱정을 낳는답니다. 어려운 일도 쉬운 일도 없으니 수북수북 쌓인 일이라고 푸념하지 말아요. 어느 일이든 할만합니다. 나쁠 일이란 없어요. 알맞게 풀고 거뜬히 해내 볼까요. 차근차근 하다 보면 쏠쏠히 피어나는 보람이 있으니, 차고 넘치도록 웃음꽃을 피워서 둘레에 나워요. 하늘을 뒤덮은 구름은 비를 뿌리기도 하지만 여름철에 그늘을 베풀기도 합니다. 마음에 가득한 근심으로 두 다리가 무겁다면, 마음에 넘실거리는 기쁨이라면 두 다리가 가벼울 테지요. 무엇을 담뿍 담을까요? 무엇을 듬뿍 펼까요? 스스로 생각하는 대로 나아가는 길이에요. 솔찮이 좋아야만 가는 길이 아닌, 멧더미 같은 수렁이 있더라도 아무렇지 않게 가는 길입니다. 겹겹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종노릇 여기에서 보면 앞인데, 저기에서 보면 뒤입니다. 빙그르르 돌아가는 결을 살피면 앞뒤나 위아래가 따로 없어요. 더 있기에 높지 않고, 덜 있기에 낮지 않아요. 손에 쥔 크기를 따져서 굴레를 씌운다든지 높낮이를 가르려 한다면 틀이 섭니다. 자리에 따라 사람을 가르다 보면 어느새 종굴레로 갇혀요. 크기에 맞춰 사람을 나누면 어느덧 종수렁에 빠집니다. 아이는 아이요 어른은 어른입니다. 어느 쪽이 높지 않아요. 어른이 아이를 낳으나, 아이가 자랐기에 어른입니다. 우리는 어떤 숨결로 피어난 사람일까요? 우리 곁에는 누가 함께 살아갈까요? 이쪽만 보지 말고 저쪽도 봐요. 한쪽만 생각하지 말고 모든 곳을 두루 보기로 해요. 한켠에 빠지기에 한통속이 되고 맙니다. 때로는 기댈 수 있고, 때때로 돌보거나 북돋운다면, 서로 듬직하면서 좋은사이가 될 테지요. 우리한테는 우리 쪽이지만, 저곳에서는 저쪽이에요. 나랑 네가 다르기에 옆사람이면서, 가까이에서 지키는 곁지기가 됩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숲노래 말빛 말 좀 생각합시다 7 빵 만들기 밥은 ‘짓’습니다. 또는 밥은 ‘합’니다. 그래서 ‘밥짓기·밥하기’ 같은 말을 씁니다. 밥은 ‘만들’지 않습니다. 옷이나 집도 ‘짓는다’고 합니다. 옷이나 집은 ‘만들’지 않아요. 그런데 요즈음 “주먹밥을 만든다”라든지 “짜장면을 만든다”라든지 “쌀로 만드는 음식”이라든지 “맛있는 밥을 만들자” 같은 말씨가 엉뚱하게 자꾸 퍼집니다. 주먹밥을 할 적에는 “주먹밥을 뭉친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이미 지은 밥을 뭉쳐서 주먹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짜장국수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짜장국수는 ‘볶는다’나 ‘끓인다’고 말합니다. 또는 “짜장국수를 한다”고 합니다. “쌀로 하는 밥”이나 “쌀로 짓는 밥”이라 해야 올바르고, “맛있는 밥을 하자”나 “맛있는 밥을 짓자”라 해야 알맞아요. 하늬녘(서양)에서는 예부터 ‘빵’을 먹습니다. 한겨레는 빵을 먹은 지 얼마 안 됩니다. 빵을 놓고는 어떻게 말해야 할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오늘은 4285해(1952년) 펴낸 ‘과학공부 5-2’의 41쪽부터 42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님 도움] 41쪽 첫째 줄부터 둘째 줄에 걸쳐 ‘더욱 더 잘 삭여서’라는 말이 나옵니다. 이는 요즘 말로 바꾸면 ‘더욱 더 잘 소화시켜’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 줄에 있는 ‘빨아들이고, 남는 것을 큰창자로 보낸다.’는 것은 요즘 배움책이라면 ‘흡수하고 남는 것을 대장으로 이동시킨다’고 했지 싶습니다. 여기 나오는 말 가운데 ‘큰창자’는 흔히 쓰는 ‘대장’을 가리키는 말이고 그 다음 줄에 있는 ‘밥통’은 ‘위’, ‘작은창자’는 ‘소장’을 가리킵니다, ‘대장’, ‘큰창자’, ‘소장’, ‘작은창자’ 짜임은 요즘 배움책에서 그렇게 쓰기 때문에 아는 사람이 많을 것이고, ‘밥통’은 ‘위’를 가리키는 말이라는 것을 앞서 알려드렸기 때문에 잘 아실 것입니다. 하지만, ‘지라’, ‘이자’는 ‘췌장’이라는 말과 견주면 많이 낯선 말일 것입니다. 그리고 말집(사전)을 찾으면 ‘이자’와 ‘췌장’은 같은 말이라고 알려주고, ‘지라’와 ‘비장’은 비슷한 말이라고 알려 주고 있지만 이것이 어떻게 다른 것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큰고을 우리는 집에서 삽니다. 우리가 사는 집 곁에 이웃이 있으면 마을을 이룹니다. 우리 집이며 이웃집이 있는 마을이 하나둘 늘면 고을이요, 이 고을이 차츰 늘어 고장이 되는데, 곳곳에 큰고을도 작은고을도 있어요. 사람으로 붐비는 길이며 자리가 있고, 사람으로 너울거리는 마당이며 판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집 한 채였다가 이내 고을이며 고장까지 이르는데, 가장 커다란 고장은 ‘서울’입니다. 이 복닥거리는 고장에는 사람으로 바다를 이뤄요. 사람이 어느새 물결이 되는 거리요 골목입니다. 사람이 많은 곳이기에 아무래도 가게나 책집이 많고, 살림을 노래하거나 글을 쓰는 일거리도 많아요. 때로는 꽃책이 태어나고, 아름책이 피어나며 온책이 있습니다. 좀 우습거나 바보스러운 책도 나오는데, 어처구니없는 책은 어떤 마음결로 엮었을까요? 엉터리라 할 책을 지은 손은 무슨 생각이었을까요? 대단하거나 빼어나야 하지 않고, 뛰어나거나 멋져야 하지 않아요. 우리는 언제나 사랑스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