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배움뮘(교육운동)이 새로 일어나야! ○ 아이들이 시골에서 자란다. ○ 마음껏 뛰어 놀며 지낸다. ○ 배달말 살이 한다. ○ 샘(어른)과 아이들이 먹고 자며 함께 산다. ○ 먹을거리를 어른과 함께 스스로 길러 먹는다. 날씨 고비 때, 아니 날씨 해까닥 때(기후위기시대)를 맞아 사람살이를 뿌리에서 다시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어요. 맨 먼저 우리 아이들이 몸 튼튼 마음 튼튼 자랄 길을 마련해야 할 텐데요. 그러려면 먼저 아이들 얼을 좀먹는 온갖 굴레, 곧 배움터(학원, 교습소), 멀봄(텔레비젼), 너멀봄(유튜브), 놀이틀(오락기, 게임기)에서 벗어나게 도와서 시골살이(농·산촌 유학)로 이끌면 어떨까요? 사람은 숲에서 태어나서 숲에서 살다, 숲으로 돌아가는 목숨이지요. 예나 이제나 사람이 사람답게 자라려면 내와 바다와 들과 메가 어우러진 시골에서 흙 밟으며 자라야 합니다. 오늘 저자거리(읍, 시, 큰 시)는 시멘트로 뒤덮여 온갖 조그만 목숨붙이는 살기 어려운 죽음그림자가 넘실대는 곳이어요. 삶이 번개힘(전기)에 기대 살게 짜여 있어, 먹고 자고, 오고 가고, 똥 눠 치우는 것까지 번개힘을 빌려야 해요. 이 번개힘을 만들려고 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호통 따진다고 되는 일이 있지만, 가만히 가기에 되는 일이 있습니다. 애써 나서야 이루는 일이 있다면, 맞붙지 않고 지켜볼 적에 시나브로 이루는 일이 있어요. 한판 다투지 않아도 되지만, 소매를 걷고 맞설 자리가 있습니다. 굳이 부딪히지 않아도 좋은데, 매듭을 지으려고 씩씩하게 나아가곤 합니다. 언제 끝내면 좋을까요? 어떻게 마무리하면 될까요? 가만히 다가가서 말을 붙입니다. 조용히 찾아가서 얘기를 합니다. 다그치지는 말아요. 으리렁대지도 말아요. 윽박을 지르면 어느 누구도 듣고 싶지 않아요. 저쪽이 잘못했구나 싶대서 호통만 한다면, 아무리 잘못한 저쪽이라 해도 버거울 뿐 아니라 골이 솔솔 피어나기 마련입니다. 몰아붙이면 오히려 사납게 나오지 않을까요? 누르려 하니 억눌리고 싶지 않은 마음입니다. 총칼로 짓누르는 이들도 나쁘지만, 무시무시한 말로 짓밟는 이들도 매한가지입니다. 걱정이나 근심은 내려놓아요. 서로 무섭게 굴지 말고 흔들지도 마요. 따사로운 해님이 온누리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네 우리는 집에서 살아갑니다. 아무리 바깥에서 오래 떠돌거나 맴돌아도 어느새 집안에 깃들어 포근히 쉽니다. 오늘은 내가 혼자 있더라도 나를 낳은 어버이가 이룬 한집안이 있고, 한지붕에 기대어 무럭무럭 자랐어요. 나를 낳은 어버이를 낳은 어버이가 있으니, 하나씩 잇고 보면 온집은 더없이 커다랗습니다. 살림을 펴는 자리는 얼핏 작아 보이나, 이 살림자락이 되기까지 숱한 사람을 거치며 여러 이웃이 있어요. 얼마나 오래 흐른 삶일까요. 다 다른 집에서 갈마든 삶틀은 얼마나 비슷하면서 다르게 사랑을 지피며 아이를 보살폈을까요. 동무네에 놀러갑니다. 벗님네에 찾아갑니다. 그저 자는 곳이 아닌 ‘짓는곳’을 생각합니다. 이럭저럭 지내는 곳이 아닌 ‘삶터’를 헤아립니다. 다 다른 곳에서 다 다른 삶을 가꾸기 마련이니, 똑같은 집이란 없습니다. 우리하고 이웃이 달라요. 우리랑 이웃이 짓는 살림길이 다르지요. 그러나 우리는 저마다 다르면서 똑같은 사랑으로 하루를 살아냅니다. 서로 마음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자랑거리 남한테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기에 자랑을 합니다. 널리 알기에 이름이 났어요. 우리는 빛나는 이름이 될 만하고, 꽃다운 이름이 될 수 있어요. 이름빛이요 이름꽃이라면 누구나 사랑할 만하지 싶어요. 우리 고을에서 자랑스레 여겨 고을빛이에요. 우리 고장에서 내세우고 싶어 고장빛입니다. 우리 마을에 온다면 만나기에 마을살림이랍니다. 다른 곳에 없으니 남다르지요. 때로는 뛰어나다 싶고, 때때로 빼어나구나 싶고, 어느 때에는 훌륭해요. 고르게 있는 사이에서 다르게 보이니 돋보입니다. 이러한 살림빛이라면 멋있겠네요. 고을마다 무엇이 자랑거리인가 살피고 싶은 나그네가 있습니다. 들풀처럼 수수하게 온고장을 누비는 들나그네가 있어요. 이 별 저 별 홀가분하게 오가는 별나그네가 있고요. 우리는 모두 다른 숨결이자 사람이니 들님이요 들꽃입니다. 갈팡질팡하는 떠돌이로 하루를 보낸 적 있나요? 아직 마음이 가볍지 못하지만 거침없이 꿈길로 달려가고 싶어요. 멋대로 하기보다는 마음껏 하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잔뜩 하나이면 작으나 떼를 지으면 큽니다. 혼자서는 여리나 무리를 이루면 셉니다. 이웃 한 사람이 거들어도 고맙고, 동무들이 찾아와 도와도 반갑습니다. 씨앗 한 톨을 심을 적에는 그저 씨앗 한 톨이 자라는 곳이요, 씨앗을 여러 톨 심으면 밭이 됩니다. 모으면서 달라져요. 더미를 이루니 새로워요. 잇달아 찾아드니 가득가득하고, 잔뜩 거두어 여러 사람하고 나눕니다. 힘들 적에는 대꾸 한 마디가 버겁지요. 지칠 적에도 맞대꾸를 못하기 마련입니다. 애써 갚으려 들면 오히려 벅차요. 찬찬히 이 길을 가면서 실마리를 풀다 보면, 어느새 즐겁게 나누는 곬을 찾아내리라 생각해요. 우리는 모두 빈손으로 태어나지만, 빈몸이기 때문에 무엇이든 새롭게 짓는구나 싶어요. 헐벗었기에 나뒹굴지 않아요. 바닥나기에 얼뜨지 않아요. 스스로 꿈을 지으려는 마음이 없기에 넋이 나가기 마련이고, 우두커니 구경만 할 테지요. 스스로 하루를 생각하는 마음이 된다면 어리벙벙한 티끌은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겨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팔매 오늘날에는 한 가지만 잘하더라도 얼마든지 돈을 벌거나 이름을 날립니다. 이런 여러 가지 가운데 공을 차거나 때리거나 넣거나 던지는 놀이가 있어요. 어른이 되어 이런 놀이를 하면 놀이가 아닌 ‘일(직업)’이라고 합니다만, 모름지기 아이들 눈에는 즐거이 어울리는 놀이예요. 어른들은 놀이를 ‘돈이나 이름을 얻는 일’로 바꾸면서 으레 한자말이나 영어 이름을 붙이는데, ‘공놀이’에 다른 이름이 붙기 앞서는 으레 누구나 ‘팔매’를 했습니다. 팔매로 날리는 돌이나 공은 동그랗게 날지 않아요. 비스듬히 날아 ‘팔매금’을 이룹니다. 겨울이란 철은 우리한테 추위를 가르칩니다. 가볍게 춥다가 포근하기도 하지만, 살을 에거나 칼 같기도 해요. 얼음추위나 얼음눈바람 같은 추위도 있어요. 맵추위에 된추위에 강추위랄까요. 갑자기 얼어붙으니 추위벼락입니다. 그러나 여름이며 가을이 끝난 자리에 겨울이 있듯, 겨울이 마지막에 이르는 곳에는 봄이 있어요. 꽁꽁추위란 고비를 넘기면 푸릇푸릇한 땅입니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왜말 일반, 일반적, 일반적으로, 전반, 전반적, 전반적으로, 만반 같은 말이 곳곳에 쓰여 우리말을 어렵게 하고 그 뜻을 제대로 모르면서 널리 써서 우리말을 어지럽힌다. 한자 般은 種과 함께 우리말 ‘가지’로 뒤친다. 가지가지, 온갖(온가지), 할 때 ‘가지’이다. 왜말로 종류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일반은 ‘한가지’인데 한가지는 또한 ‘온갖’ ‘두루 미치는’이란 뜻을 품어 곧 전반(온갖), 만반(골가지)이란 뜻도 함께 지닌다. 또 여느 사람을 일컬을 때도 일반이란 말을 쓴다. · 일반감각 → 두루 느낌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닿는 낱낱 느낌과 달리 여러 느낌문에 두루 미치는 느낌) · 일반개념 → 두루 뜻알 (사람, 꽃처럼 테두리가 넓은 뜻알) · 일반국도 → 두루나라길 (고을(도시), 갯고을(항구), 날틀곳(비행장) 따위를 이어 빠른길(고속도로)과 함께 나라줄기길(기간도로)을 이루는 길) · 일반균형 → 두루 고름 (서로 기대고 있는 갖가지 돈과 몬(팔 것)에서 이뤄지는 고름) · 일반명사 → 두루 이름씨 (여러 가지 것에 두루 미치는 보람(특성)을 나타내는 이름씨 (= 여느 이름씨(보통명사)) · 일반언어학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겹말 손질 : 신변 가까이 신변 가까이에 둘 수 있을 만큼 → 가까이에 둘 수 있을 만큼 → 곁에 둘 만큼 신변(身邊) : 몸과 몸의 주위 주위(周圍) : 1. 어떤 곳의 바깥 둘레 2.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것 3. 어떤 사람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 가까이 : 1. 한 지점에서 거리가 조금 떨어져 있는 상태로 2. 일정한 때를 기준으로 그때에 약간 못 미치는 상태로 3. 사람과 사람의 사이가 친밀한 상태로 한자말 ‘신변’을 ‘주위’란 한자말로 풀이하는데, ‘주위’는 ‘가까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신변 가까이”는 “가까이 가까이”나 “둘레 가까이”라 하는 셈이니 겹말입니다. ‘가까이’만 쓰면 되고, ‘곁’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그리하여 그것을 원할 수 있고 신변 가까이에 둘 수 있을 만큼 좋은 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말. 치레 꾸미면 보기좋을까요? 보기좋으라고 꾸밉니다만, 꾸밀 적에는 늘 꾸민 티가 납니다. 멋을 내면 어떨까요? 멋을 내면 멋낸 티가 나요. 겉을 치레할 적에는 늘 겉치레가 반지르르 흐릅니다. 겉발림으로 한 말에는 반들거리는 티가 묻어나지요. 남한테 보여주려고 하기에 속모습을 가리고 맙니다. 잘 봐요. 겉모습을 빛나게 하려고 마음을 기울이면, 속모습은 저절로 빛을 잃어요. 옷을 이쁘게 하면 할수록 마음빛은 어쩐지 시들어요. 어떤 모습을 드러내더라도 속에서 환하게 피어나는 마음결이어야지 싶습니다. 어떤 말이 겉으로 나타나더라도 속에서 맑게 샘솟는 마음씨여야지 싶어요. 살림을 하건 아이를 돌보건 글을 쓰건 매한가지예요. 우리는 으리으리하게 ‘문학·예술·문화’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삶·사랑·살림’을 하지요. 그저 글을 쓰면 돼요. 멋글이 아닌 글을 쓰면 돼요. 오직 느낌하고 마음하고 생각하고 사랑, 이 네 가지만 얹으면서 놀이하듯 글을 쓰면 넉넉합니다. 살림을 소꿉처럼 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쇠날 이레말 [삶말/사자성어] 남부여대 남부여대의 피난민 행렬은 → 이고 지며 떠나는 줄은 남부여대하고 고향을 떠나는 이가 많았었다 → 짊어지고 텃마을을 떠나는 이가 많다 점차로 남부여대(男負女戴)하고 → 차츰 바리바리 이고 남부여대(男負女戴)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문으로 엮은 ‘남부여대’는 “사내는 지고 가시내는 인다”는 뜻입니다만, 우리말로 옮기자면 “이고 지다”로 넉넉해요. ‘짊어지다’라 해도 되고, ‘바리바리·잔뜩’을 알맞게 넣어서 풀어낼 만합니다. 조국에서는 도저히 살아갈 방도가 없어 이국 땅으로 남부여대하여 줄줄이 이주한다 → 이 나라에서는 영 살아갈 길이 없이 낯선 땅으로 바리바리 줄줄이 떠난다 → 이곳에서는 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