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내 책을 내가 책숲마실 - 인천 〈집현전〉 푸른배움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기도 했고, 아이들한테 빛꽃(사진)이 왜 빛으로 꽃이 되는가를 들려주기도 하던 이상봉 님은 2011년에 《안녕, 하세요!》란 책을 선보입니다. 손수 출판사를 열어 인천에서 사진책도 제법 선보였습니다. 이제는 인천 배다리에서 헌책집 〈집현전〉을 이어받아서 천천히 손질하고는 2021년부터 열었습니다. 푸름이를 푸른빛으로 이끄는 손길하고, 헌책을 새롭게 잇는 손빛은 비슷합니다. 푸르게 물드는 손이기에 책먼지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책먼지를 털어내어 징검다리 구실을 합니다. 이미 읽힌 책을 다시 읽히고, 오래 묻힌 책을 새로 캐내며, 미처 사랑받지 못한 책이 뒤늦게라도 사랑받도록 북돋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파도 책숲마실 - 부산 〈파도책방〉 누가 ‘파도’라는 소리를 혀에 얹으면 “무슨 땅을 판다고?”라든지 “무슨 길을 파는데?” 하고 생각합니다. 땅을 파서 굴을 내고, 책이며 글을 파서 생각이 흐를 길을 냅니다. 고흥에서 살며 곧잘 자전거나 택시로 아이들이랑 바다마실을 갑니다. 그야말로 파랗게 일렁이는 물결을 호젓이 바라보다가 풍덩 뛰어들어 같이 헤엄을 치며 놀아요. 출렁이는 물결을 가르며 놀아도 즐겁고, 넘실대는 물결에 가만히 잠겨서 모랫바닥에 배를 대고서 물살이 흐르는 노랫가락을 들어도 즐겁습니다. 바닷물에 잠겨 눈을 동그랗게 뜨다 보면 눈앞을 휙휙 스치는 바다동무가 있고, 모래알은 데구르르 춤추면서 북새통입니다. 멀리서 보자면 하늘빛을 고스란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붙임띠 소리를 담아서 들려주는 살림을 놓고서, 끈끈이 같거나 척 붙이는 살림을 두고서, 똑같이 ‘테이프’란 낱말로 가리킵니다. 소리가 같으면서 다른 말은 여럿이니 그러려니 지나칠 만하지만, 영어 ‘테이프’를 ‘소리그릇·소리접시’하고 ‘끈끈이·붙임띠’처럼 새롭게 갈무리하는 우리말로 나타내려는 어른이 드물었다는 대목이 새삼스럽습니다. 눈썰미가 얕은 셈일까요. 눈가늠조차 안 하거나 눈대중마저 없은 셈일까요. 말을 짓는 잣대란 따로 없습니다. 삶을 지으면서 말을 짓기 마련입니다. 틀에 박힌 말짓기가 아닌, 날마다 새롭게 삶을 짓듯 언제나 즐겁게 말을 가르고 나누고 고르면서 이야기를 담습니다. 조각 하나에서 실마리를 얻어요. 토막 하나에서 깨달아요. 누가 도맡는 일이 아니듯, 몇몇이 도차지하는 말짓기가 아니에요. 혼자하는 살림짓기가 아니듯 홀로하는 말짓기가 아니랍니다. 몇몇 사람이 잡고서 흔들 수 없습니다. 모든 말이 비롯하는 자리란 모든 삶이 태어나는 터전이에요.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놉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말 살리기]1-32 놉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놉'입니다. 이 말은 '하루하루 품삯과 먹거리를 받고 일을 하는 품팔이 일꾼. 또는 그 일꾼을 부리는 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제가 어릴 때에 둘레 어른들께서 늘 쓰시던 말인데 요즘은 참 듣기 어려운 말이 되었습니다. '놉을 사다' 또는 '놉을 대다'라는 말을 자주 했으며 모내기나 나락을 벨 때 놉을 여럿 대서 하던 생각도 납니다. 요즘 이런 사람이 어디있나 하면서 이런 말은 쓸 일이 없는 것처럼 여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일용직'이니 '일당직'이라는 말을 쓰는데 '일용직 또는 일당직을 구한다' 고 할 때 '놉 구합니다/삽니다'처럼 쓰면 좋겠습니다. 말집(사전)에는 '날품팔이'와 비슷한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지만 '놉'에 그런 뜻을 담아서 살려 쓰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이런 말이 마뜩잖으면 '날일'이라는 말도 있고 '날일자리'와 같은 말도 얼마든지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파트 타임', '아르바이트'와 같은 말도 참 많이 쓰는데 '뜬벌이'라는 토박이말을 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26. 반듯한 이 작은딸이 거울을 보며 얼굴이 짝짝이다고 투덜거린다. 이를 드러내 앞니가 삐뚤다고 뜯어본다. 나는 아래쪽 앞니가 삐뚤삐뚤하고 나머지는 고른데, 딸은 바로잡은 앞니가 처음 자리잡았을 적하고 다르다. 작고 고르던 젖니가 빠지고 새로 올라온 이가 큼직하다. 빠진 이보다 커서 이가 밀려났는지 어금니보다 조금 작은 이가 둘이나 자리잡았다. 밥을 먹거나 하품할 적에 보면 크게 보인다. 보기에도 안 좋다며 딸이 부끄러워한다. 나도 저만 한 열두 살 적에 한 자리에 둘이 나서 하나는 이뿌리가 허옇게 드러났다. 덧니라고 뺀다. 중학교 일학년인 작은오빠 자전거 뒤에 타고 울퉁불퉁한 십 리 길을 달리고 마른강을 건너 읍내에 갔다. 오빠는 치과에 안 가고 언덕집을 찾는다. 허름한 골목으로 들어갔다 나오고 막다른 길을 기웃하다 겨우 집을 찾는다. 엄마 말로는 이를 뜨는 사람인데 알음알이로 사람들 이를 봐준다고 했다. 나는 마루에 걸터앉았다. 주사를 맞고 연장으로 이를 뽑는다. 뿌리가 깊어 빼는데 무척 힘들었다. 솜을 괴고 고인 핏물을 뱉고 삼켰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마취가 풀리면서 아팠다. 오빠 허리를 꼭…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노래 #풀잎사랑 #최성수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노래에서 길을 찾다]5-풀잎 사랑 일찍 핀 벚꽃이 갑자기 세게 부는 바람에 떨어지는 걸 보았습니다. 집 앞 모과나무에 여린풀빛 잎이 예쁘게 핀 것을 보았는데 어제부터 바람과 함께 찾아온 추위에 밤새 많이 떨었지 싶습니다. 어제 옷을 가볍게 입고 나간 사람들은 밤에 많이 추웠을 것인데 어제 추위는 꽃샘추위, 잎샘추위라 할 만합니다. 그런 어제 앞낮(오전)에 소리샘(라디오)에서 반가운 노래 '풀잎사랑'을 들었습니다. 옛날부터 알던 노래였는데 노랫말을 되새겨 보니 참 예쁜 노래더라구요. '풀잎사랑'은 1987년 최성수 님이 손수 노랫말을 써서 가락을 붙여 부른 노래라고 합니다. 노랫말을 톺아보면 '간단히'와 '변함없어요'를 빼고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풀잎, 이슬, 햇살에 서로를 빗대며 그대만을 사랑한다는 노랫말이 슬프게 느껴지는 건 저만의 느낌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노랫말이 예쁘다고 느끼는 것은 저만 느끼는 것이 아닌 것은 틀림이 없어 보입니다. 이 노래가 1987년 '제1회 한국 노랫말 대상'에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참되다 마음을 고르게 다스린다면 언제나 곧게 나아가는 하루입니다. 생각을 올곧게 추스른다면 늘 올바르게 짓는 살림입니다. 옳게 살펴 똑바로 나눕니다. 바르게 헤아려 반듯하게 주고받아요. 누구나 즐거울 길은 어떻게 닦을까요? 오롯이 영그는 열매는 누구랑 나누기에 즐거울까요? 참하게 살아가기에 빌리고 갚으며, 돌아보고 뉘우치며, 씻고 달랩니다. 아차 싶도록 잘못을 했다면 곧바로 털면서 허물을 벗으면 됩니다. 착한사람으로 가는 길이 참되지요. 고운사람으로 서는 길이 아름답지요. 같이 놀 동무를 부릅니다. 보금자리에는 포근하게 퍼지는 해님을 불러들입니다. 서로서로 어진 마음을 모시고, 놀지 못한 채 빠지는 아이가 없도록 치우침없이 둘러보면서 모두 데려와서 함께 놀아요. 찾는 대로 찾아옵니다. 바라는 대로 바람이 됩니다. 말하는 대로 마음이 되고 얘기하는 대로 노래가 되어요. 얄궂은 사람을 끌어내려도 나쁘지 않아요. 얄궂은 사람이기에 그이 마음에 흐르지 못하던 옹근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외갓집, 외할머니, 친가, 친할머니, 시가, 시어머니, 처갓집, 장인, 장모, 언제부터 이런 말이 우리말살이에 자리 잡았는지 모르겠지만, 이제 우리 삶에 맞게 바꿔 써가면 좋겠어요. 외갓집은 어미집, 또는 엄마집. 외할머니, 외할아버지는 어할머니, 어할아버지. 친가집은 아빠집, 아비집, (친)할머니, (친)할아버지는 그냥 할머니, 할아버지, 시갓집은 시집. 시어머니, 시아버지는 우리말이고, 시부모는 시어버이. 처갓집은 가시집, 각시집, 아내집, 또는 꽃집. 장인, 장모는 가시아버지, 가시어머니, 아내아버지, 아내어머니, 꽃아버지, 꽃어머니.(가시는 꽃 옛말) ‘처’가 들어간 모든 말은 아내나, 가시로 바꾸면 되겠어요. 시동생 또는 시아우, 시누이는 우리말이니 그대로 쓰면 되고요. 또 초갓집, 외갓집, 처갓집 할 때 가(家)는 집가이니, 모두 겹말이지요. 따라서 풀집, 도는 짚집, 어미집, 아내집으로 바꿔 불러야 바르겠지요.
[ 배달겨레소리 보리 글님 ] 어느덧 푸른빛 분홍빛 노란빛 발그레한 아이같은 봄이 왔습니다. 겨울 어느 날 벗은 가지가 매워 보였는데 이제는 여기저기 봉오리 맺고 꽃을 피우니 참 멋지고 아름답습니다. 나무를 보니 엄마가 주신 사랑이 생각납니다. 몸 한 켠 떼어 한 가지 돋아내고 살 하나 떼어 이파리 피웁고 피 한 방울에 봉오리 터뜨립니다. 나무는 사랑을 아낌없이 주네요. 오늘 같은 봄에는 저도 나무 곁에 기대어 사랑한다 말합니다. 두손모아.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노느매기'입니다. 이 말은 '여러 몫으로 갈라 나누는 일. 또는 그렇게 나누어진 몫'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말집(사전)에는 나날살이에서 많이 쓰시는 '분배', '배분', '할당'과 비슷한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어제 아이들과 뜸(학급) 다모임 때 구실 노느매기(역할 배분)를 했습니다. 있어야 할 또는 해야 할 일을 이야기해 모은 다음 그걸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 다시 나누는 일까지 하려고 했는데 때새가 모자라 못 했지요. 그런 일도 갈침이가 미리 굳혀 놓고 알아서 노느매기를 한 다음 그대로 하도록 시키기만 하면 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끼리 하도록 맡겨 놓으면 더디고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몸소 겪으며 배울 수 있도록 해 준다는 데 뜻이 있습니다. 다음에는 좀 더 나은 수로 좀 더 짧은 때새에 노느매기를 하게 될 거라 믿습니다. 그러면서 모두가 마음에 들도록 노느매기를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도 알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배분', '분배', '할당'이라는 말을 써야 할 일이 있을 때 '노느매기'라는 토박이말을 떠올려 써 보시기 바랍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