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존재론적 근심들 형이상학적 불안 잠시 논외 존재론적(存在論的) : [철학] 존재론에 관한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 형이상학에 관련되거나 바탕을 둔 불안(不安) : 1.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조마조마함 2. 분위기 따위가 술렁거리어 뒤숭숭함 3. 몸이 편안하지 아니함 4. 마음에 미안함 잠시(暫時) : 1. 짧은 시간 2. 짧은 시간에 ≒ 수유(須臾)·일삽시(一?時)·편시(片時) 논외(論外) : 논의의 범위 밖 있는가 없는가를 살핍니다. 마음을 헤아립니다. 왜 있는지 돌아보고, 멀거니 걱정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숨결이 있습니다. 눈으로 못 보더라도 두려웁거나 걱정하는 마음을 느낍니다. 모든 근심걱정을 살짝 놓아 봐요. 가만히 넘어갈 수 있어요. 슬며시 미룰 수 있고, 문득 따로 가를 수 있습니다. ㅅㄴㄹ 존재론적인 근심들과 형이상학적인 불안을 잠시 논외로 하자면 → 왜 있는지 근심하거나 멀거니 걱정하는 마음을 살짝 미루자면 → 근심하는 나와 두려운 마음을 살짝 넘어가자면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장 자끄 상뻬/최영선 옮김, 별천지, 1998) 49쪽 ㄴ. 가장 것 중…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하늘 아래 것 완전 것 완전(完全) :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져 모자람이나 흠이 없음 하늘이나 구름이나 나무를 놓고서 볼 적에는 “하늘 밑”이나 “구름 밑”이나 “나무 밑”이라고 가리킵니다. ‘발밑’이나 ‘눈밑’이에요. 이 보기글은 ‘것’을 잇달아 쓰는데, 둘 다 털어냅니다. ‘처음’을 힘주어 가리키고 싶다면 “아주 처음”이나 “오롯이 처음”이라 하면 되어요. ㅅㄴㄹ 하늘 아래 어떤 것도 완전 처음인 것은 없습니다 → 이 하늘에 무엇도 아주 처음은 없습니다 → 온하늘에 어느 하나도 아주 처음이 아닙니다 《여기는 규장각》(손주현, 책과함께어린이, 2023) 6쪽 ㄴ. 필수불가결 역할 단순 대상 대해서 무시 필수불가결 : x 필수(必須) : 꼭 있어야 하거나 하여야 함 불가결(不可缺) : 없어서는 아니 됨 ≒ 불가무 역할(役割) : 자기가 마땅히 하여야 할 맡은 바 직책이나 임무. ‘구실’, ‘소임’, ‘할 일’로 순화 단순하다(單純-) : 1.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다 2. 외곬으로 순진하고 어수룩하다 대상(對象) : 1. 어떤 일의 상대 또는 목표나 목적이 되는 것 대하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인간의 언어 내면의 진리 하나의 수단 인간(人間) : 1.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사람의 됨됨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언어(言語) :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내면(內面) : 1. 물건의 안쪽 = 안면 2. 밖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사람의 속마음. 사람의 정신적·심리적 측면을 이른다 진리(眞理) : 1. 참된 이치. 또는 참된 도리 2. [철학] 명제가 사실에 정확하게 들어맞음. 또는 논리의 법칙에 모순되지 아니하는 바른 판단. 형식적 의미로 사유의 법칙에 맞는다는 의미에서의 사고의 정당함을 의미한다 3. [철학]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승인할 수 있는 보편적인 법칙이나 사실 수단(手段) : 1.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 또는 그 도구 2. 일을 처리하여 나가는 솜씨와 꾀 우리가 쓰는 말은 마음을 담거나 드러낼까요? ‘말’은 ‘마음’을 담습니다. 그래서 두…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약 藥 약을 바르다 → 꽃물을 바르다 약을 조제하다 → 살림물을 짓다 밭에 약을 쳤다 → 밭에 죽임물을 쳤다 여간한 약으로는 죽지 않는다 → 웬만한 죽임물로는 죽지 않는다 사슴을 보고 약을 재어 쐈다 → 사슴을 보고 불을 재어 쐈다 약을 잔뜩 묻힌 구두 → 빛물을 잔뜩 묻힌 구두 약에 손을 대다 → 꽃물에 손을 대다 약이 다 닳다 → 밥이 다 닳다 약이 다 돼서 멈추다 → 밥이 다 돼서 멈추다 다 약이 되는 말이니 → 다 이바지하는 말이나 쓴 경험이 나중에는 약이 된다네 → 쓴맛이 나중에는 돕는다네 뼈다귀는 고면 약이 되네 → 뼈다귀는 고면 좋다네 ‘약(藥)’은 “1. 병이나 상처 따위를 고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먹거나 바르거나 주사하는 물질 ≒ 약품 2. 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생물 生物 바다의 생물 → 바다목숨 / 바다숨결 생물의 진화 → 거듭난 숨붙이 생물 간에 생존 경쟁이 격렬해져 → 서로 살아남으려 싸우며 생물들은 겨우살이 준비를 시작했다 → 뭇숨결은 겨우살이를 살폈다 생물 선생님 → 숨빛 길잡이 생물 낙지 → 산낙지 생물 갈치 → 산갈치 ‘생물(生物)’은 “1. 생명을 가지고 스스로 생활 현상을 유지하여 나가는 물체 ≒ 생물체·유생물 2. [생명]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3. ‘신선한 물건’을 나타내는 말”을 가리킨다지요. ‘살다·살아숨쉬다·삶’이나 ‘목숨·목숨붙이·산목숨·산몸’이나 ‘뭇목숨·뭇숨결·뭇넋·뭇빛’으로 손질합니다. ‘빛·빛결·빛살’이나 ‘숨·숨결·숨빛·숨꽃·숨통·숨붙이·숨소리’로 손질하고, ‘것·사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사상 思想 사상의 자유 → 생각날개 / 마음날개 봉건적 사상 → 낡은 생각 / 옛넋 우리나라 사람의 생활과 사상과 감정을 담고 있다 → 우리나라 사람 삶과 넋과 마음을 담는다 ‘사상(思想)’은 “1. 어떠한 사물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사고나 생각 2. [철학] 판단, 추리를 거쳐서 생긴 의식 내용 3. [철학] 논리적 정합성을 가진 통일된 판단 체계 4. [철학] 지역, 사회, 인생 따위에 관한 일정한 인식이나 견해”를 뜻한다지요. ‘생각·믿음·믿음길·길’이나 ‘넋·얼·뜻·마음·마음빛’으로 손봅니다. ‘살림넋·삶길·삶꽃·삶멋·삶넋·삶얼’이나 ‘앎꽃·앎빛·빛·빛결·숨·숨빛’이나 ‘외침·소리·목소리’으로 손보아도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사상’을 열아홉 가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폭력 暴力 폭력 행위 → 주먹다짐 / 들볶음 / 손찌검 / 물어뜯다 폭력을 가하다 → 때리다 / 치다 / 두들기다 / 패다 폭력을 쓰다 → 주먹을 쓰다 / 총칼을 쓰다 / 할퀴다 폭력을 휘두르다 → 주먹을 휘두르다 / 족치다 / 때리다 폭력 사태가 벌어지다 → 짓찧었다 / 짓밟았다 / 후렸다 ‘폭력(暴力)’은 “남을 거칠고 사납게 제압할 때에 쓰는, 주먹이나 발 또는 몽둥이 따위의 수단이나 힘. 넓은 뜻으로는 무기로 억누르는 힘을 이르기도 한다”를 뜻한다는군요. ‘괴롭히다·들볶다·등쌀·못살게 굴다·힘으로·힘질’이나 ‘발톱·범·뜯다·물어뜯다·쥐어뜯다·헐뜯다·볶다·송곳니·엄니’나 ‘사납다·삼하다·끔찍짓·끔찍질·몹쓸·몹쓸짓·지저분하다’로 손볼 만합니다. ‘날·날붙이·총칼·칼·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희망 希望 희망 사항 → 꿈 / 바람 / 비손 / 비나리 / 큰꿈 / 그림 희망에 부풀다 → 꿈에 부풀다 / 봄꽃에 부풀다 / 푸르게 부풀다 자식에게 희망을 걸다 → 아이에게 앞길을 걸다 희망이 있다 → 앞날이 있다 / 앞빛이 있다 / 큰뜻이 있다 / 날개가 있다 더 이상 살 희망이 남아 있지 않았다 → 더는 살 뜻이 남지 않았다 ‘희망(希望)’은 “1.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 ≒ 기망·기원·희기·희원·희행 2. 앞으로 잘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리킨다는군요. “가지고 싶다”나 ‘바라보다·바람·바라다·비나리·비손·빌다·엎드리다·품다’로 고쳐씁니다. ‘기쁘다·반갑다·즐겁다·좋다·푸르다·푸른길·풀빛길·푸른꿈·풀빛꿈’이나 ‘새롭다·새롬빛·새날·새별·새빛’이나 ‘꽃그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문장의 종류 의미 문장(文章) : 1. = 문장가 2. 한 나라의 문명을 이룬 예악(禮樂)과 제도. 또는 그것을 적어 놓은 글 3. [언어]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 문(文)·월·통사(統辭) 종류(種類) : 1. 사물의 부문을 나누는 갈래 2. 갈래의 수를 세는 단위 글은 갈래를 지을 수 있습니다. 뜻에 따라 넷으로든 다섯으로든 나눕니다. 가르니 갈래요, 나누어도 갈래예요. 어떻게 보고 나누고 가늠하느냐에 따라 글눈길을 북돋울 수 있고, 글눈빛을 살릴 만합니다. ㅅㄴㄹ 문장의 종류는 의미에 따라 다음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글갈래는 뜻에 따라 다음 넷이 있다 → 글은 뜻에 따라 넷으로 나눌 수 있다 《英語敎授法의 理論과 實踐》(김태환·김태한, 한신문화사, 1978) 95쪽 ㄴ. 존재함이란 어떤 것인가를 직접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요컨대 타인에 대한 증오 요컨대(要-) : 1. 중요한 점을 말하자면 2. 여러 말 할 것 없이 타인(他人) : 다른 사람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증오(憎惡) : 아주 사무치게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 ‘말하자면’을 외마디 한자말로 ‘요컨대’로 쓰기도 하지만, “다시 말해”나 ‘그래서·그러니까’나 ‘뭐’나 ‘따라서·모름지기·무릇’처럼 다 다른 자리에 다 다른 뜻과 넋으로 쓸 적에 어울립니다. “타인에 대한 증오로”는 옮김말씨에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말씨로는 “남을 미워하기”나 “이웃을 미워하기”입니다. ㅅㄴㄹ 요컨대 타인에 대한 증오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 이른바 남을 미워하기 때문입니다 → 이웃을 미워하는 마음으로 잇기 때문입니다 《고종석의 유럽통신》(고종석, 문학동네, 1995) 27쪽 ㄴ. 그 -의 사실 그 포개지며 그것 확산 사실(事實) :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