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풀꽃나무하고 놀던 나날 숲하루가 “풀꽃나무하고 놀던 나날”에 보고 먹고 만지며 가지고 놀던 풀꽃나무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마을 뒷산은 낮은 등성이가 갈래로 길게 이어졌어요. 골 따라 마을이 옹기종기 모여 살았지요. 그때는 몰랐지만, 돌아보니 우리가 숲을 헤쳐도 숲은 우리를 키웠어요. 나무를 잘라서 불을 때던 때는 숲이 우거지지 않았어요. 어린 우리한테는 놀이터가 되어 주었어요. 논밭 못과 숲에는 철마다 먹을거리가 나오고 모두가 놀이감이에요. 먹을거리가 하도 없어 배가 고파 먹었지만, 우리 몸에 좋다는 것만 먹은 셈이예요. 풀 한 포기가 밥이 되고 반찬이 되고 나무 한 포기가 맺은 열매를 먹고 소나무를 벗겨 먹었어요. 먹고 사는 일이 가장 큰 일이던 때라 배움도 뒷전이었어요. 남새가 우리 등록금이 되어 주고 어머니 아버지 허리를 펴 주었어요. 그때 아이들이 커서 마을을 떠나고 민둥산이던 숲이 이제야 나무가 우거져서 바람이 맑게 깃드는 마을이 되었어요. 빈집이 늘어나고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면 마을이 묻힐지도 몰라요. 이 책은 한 마을에서 살림을 해온, 골과 밭과 들과 숲 이름을 살리고, 어머니가 쓰던 구수한 말을 살리고, 풀꽃나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게 삶으로 1 엄마집에 갔다 《티베트의 지혜》 쇼걀 린포체 글 오진탁 옮김 믿음사 1999.2.1. 《티베트의 지혜》을 2010.7.11. 장만하고 이날은 ‘꿈속의 고향(드보르작)’이란 노래를 들었다. 이 책을 처음 편 날 엄마집에 갔다. 경북 의성 시골에 내도록 살아가는 우리 엄마는, 이날 비가 와서 들일을 못 가고 물리치료를 하러 병원에 갔는데, 마침 병원이 쉬는 날이라 헛걸음하고 버스삯만 날렸다고 투덜거렸다. 이날 할아버지가 마늘 묶는 곁에서 재밌게 보던 막내는, 할아버지 손놀림이 재밌다면서 굵은마늘 작은마늘을 고르면서 놀았다. 개구쟁이처럼 잘 노는 막내한테 어릴 적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막내만 하던 어린 날, 할머니 할아버지 몰래 마늘하고 얼음과자를 바꿔 먹으면서 놀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러고서 두 해 뒤인 2012년에 대구로 집을 옮겼는데, 그때 이 책 하나를 챙겼다. 어느덧 열세 해가 지나서 다시 펼친다. 삶과 죽음과 되살림(환생)을 다루는 줄거리를 돌아본다. 태어나서 터트리는 울음은 어떤 뜻일까. 그런데 어쩐지 뭔가 뒤섞인 듯한 얼거리이다. 삶이라는 너른길과는 달리, 붓다에, 달라이 라마에, 린포체에, 밀라레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104] 큰나무집 감나무집 작은딸이랑 새사람이 함께 살림을 차려 인천에서 산 뒤로, 대구에 첫나들이를 했다. 작은딸네하고 맛집에 가고 싶어 ‘큰나무집’이란 데를 가려고 한다. 그런데 차를 몰아 다 왔구나 싶은데 더 들어가라고 알린다. 담벼락 따라 모퉁이로 꺾는다. 아직 열두 시가 되려면 멀었으나 줄이 길다. 어제 미리 자리를 잡았다고 말하는데, 우리 이름은 예약에 없단다. 왜 그런가 하고 갸우뚱하다가, ‘큰나무집’이 아닌 ‘감나무집’이란 데에 자리를 잡았다고 떠오른다. 밥집 이름을 잘못 알고서 다른 곳에 자리를 잡았구나. 어떡해야 하나 헤매다가 ‘감나무집’에는 자리를 잡았으니 그리 가면 되리라 생각한다. 다시 차를 몰아 감나무집으로 간다. 감나무집도 큰나무집 못잖게 붐빈다. 그래도 용케 자리를 찾아서 앉는다. 이곳 감나무집은 골짜기 안쪽으로 한참 들어온 큰 밥집이다. 비가 많이 온 터라 물소리가 힘차다. 물소리를 들으면서 먹으면 좋을까 싶은데, 작은딸은 방으로 들어가자고 한다. 방으로 오니 바닥이 지저분하고 발바닥에 온갖 찌꺼기가 달라붙는다. 드나드는 손님이 꽤 많은데 이곳은 안 치우고 손님받이만 하나. 그렇지만 내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34 삶터 우리 삶터를 돌아보면 어수룩하거나 모자란 대목을 어렵잖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날하고 견줄 수 없이 나아지거나 발돋움한 대목도 참 쉽게 찾아볼 만해요. 어느 모로 보면 아직 아쉽지만, 어느 모로 보면 앞으로 새로운 길을 열 만하다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봅니다. 우리가 즐겁게 나아갈 길이란 언제나 기쁨으로 새로 짓는 길이라고. 우리가 아름답게 걸어갈 길이란 어깨동무하면서 함께 웃음꽃을 터뜨리는 길이라고. 저는 으레 말을 새로 짓습니다. 그러나 아예 없던 말을 감쪽같이 지어내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을 이리 엮거나 저리 맞추면서 새로 지어요. 아주 낯선 새말은 짓지 못하고, 수수하거나 쉬운 말을 새로 짓습니다. 제가 짓는 말은 제가 처음으로 짓기도 하지만, 둘레에서 예전에 일찌감치 지어서 더러 쓰기도 합니다. 그런데 저하고 이웃님하고 무엇이 다른가 하면, 저는 제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물날 이레말 - 한자말 30 전쟁 戰爭 전쟁을 도발하다 → 싸움을 들쑤시다 전쟁이 발발하다 → 싸움이 터지다 전쟁할 용의도 있다는 → 겨룰 뜻도 있다는 장기간 전쟁하고 있다 → 오래도록 싸운다 교통 전쟁 → 드글드글 / 북새판 / 불구덩 / 붐비다 / 불수레 입시 전쟁 → 배움불굿 / 배움수렁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 각다귀를 쳐낸다고 밝혔다 ‘전쟁(戰爭)’은 “1.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군려·병과·병혁·전역·전화 2. 극심한 경쟁이나 혼란 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아주 적극적인 대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풀이를 하는데, ‘싸우다·싸움판’이나 ‘겨루다·겨룸판’이나 ‘다투다·다툼판’으로 고쳐씁니다. ‘사납다·사납터·아귀다툼·물고물리다’나 ‘쏘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쇠날 이레말 - 사자성어 13 문화공간 정부에서 설치한 복합문화공간이다 → 나라에서 세운 고루누리이다 이 문화공간을 활용할 방안을 → 이 모임뜰을 살릴 길을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문화공간 → 스스로 돌보는 쉼터 문화공간 : x 문화(文化) : 1.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2. 권력이나 형벌보다는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가르쳐 인도하는 일 3. 학문을 통하여 인지(人智)가 깨어 밝게 되는 것 공간(空間) : 1. 아무것도 없는 빈 곳 2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밤놀이옷 큰고장(도시)에서 살 적에는 밤모임에 곧잘 나갔습니다. 아침·낮·저녁에는 다들 밥벌이를 하느라 바쁘니, 밤이어야 비로소 짬을 낼 수 있는 이웃이 많습니다. 시골에서 살며 밤빛모임은 아예 안 합니다. 시골사람은 별빛이 돋을 즈음 꿈나라로 가기도 하고, 저부터 보금숲에서 별바라기를 하면서 포근히 꿈누리에서 쉬려 합니다. 밤마실을 안 하니 밤마실옷이건 밤놀이옷이건 여태 입은 적도 장만한 일도 없습니다. 누가 밤빛을 누리는 별모임을 연다면 그분더러 “‘별밤옷’을 입으시겠군요.”라든지 “별마실옷’을 차리시겠어요.” 하고 말할 뿐입니다. 말을 어렵게 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스스로 아직 모르니까 빙빙 돌리거나 갖은 먹물말(학술용어)을 주워섬겨요. 환하게 안다면 환하게 알아듣도록 가장 쉬운 말씨랑 낱말을 골라서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는 글을 쓰고 말을 폅니다. 풀꽃하고 동무를 하면 풀꽃말을 쓰지요. 나무하고 이웃하면 나무말을 들려줘요. 별님하고 사귀면 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바른앉기 몸을 반듯하게 펴자고 생각하면서 움직이면, 참말로 몸은 반듯반듯 움직입니다. 반듯앉기는 반듯마음을 따라서 피어납니다. 바른앉기는 온몸을 곧게 펴면서 팔다리를 마음껏 뻗으려고 나아가는 첫길이지 싶습니다. 어릴 적에 한가위나 설이면 작은아버지가 우리 집으로 찾아옵니다. 작은아버지 세 분은 바른앉기를 못 합니다. 무릎꿇기도 못 하시더군요. 몸이 뻣뻣하니까 못 할 텐데, 어느 결로 굳어버렸다는 뜻이요, 이처럼 딱딱한 틀을 풀어내려고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지 않는 살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팔다리를 쓰고 손발을 놀리면서 흙을 만지거나 바람을 마시거나 볕을 쬐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반듯앉기가 수월합니다. 고요히 앉아서 쉬다가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겠지요. 몸놀림이란 삶놀림이요, 사랑살림이자 숲살림하고 맞닿는다고 느껴요. 스스로 건사하는 대로 흐르고, 스스로 깃드는 곳에서 자라요. 높거나 낮은 자리를 따지면 고달프게 마련이고, 들거나 있을 숨결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바늘돌 칼을 쥐고 싶다면 부엌에 설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싸움칼로 가르거나 베는 짓은 바보요, 무를 썰고 마늘를 다지고 당근을 토막내고 감자를 치는 손길은 아름답다고 봅니다. 숱한 사내들은 참 오래도록 싸움을 벌입니다. 거머쥐려고 싸우고, 빼앗으려고 싸우며, 지킨다면서 싸웁니다. 싸움칼을 쥔 하루라면 늘 싸움을 마음에 담습니다. 짬을 내어 부엌칼을 쥔다면 살림길에 마음을 기울여요. 한가위나 설에 달빛을 바라보는 분이 많은데, 달이 무엇인지 찬찬히 짚는 넋이라면, 달빛 사이로 얼핏설핏 드러나는 작은 별빛을 눈여겨보리라 생각해요. 푸른별은 해님을 비롯한 별빛이 스미는 사이에서 포근합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별빛으로 마주하기에 사랑스러워요. 흐르는 틈을 헤아리다가 바늘돌을 문득 바라보노라면 어느새 모든 소리가 한칼에 사라지면서 고요한 꿈나라로 곧장 날아가곤 합니다. 한곳에 마음을 쏟으면 소리도 모습도 불현듯 걷혀요. 자그마한 돌멩이를 손바닥에 얹어서 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9 스님 소리가 비슷하거나 같더라도 우리말은 우리말이고 한자말은 한자말이며 영어는 영어입니다. 우리말은 우리말을 바탕으로 살피고 맞추고 생각할 적에 우리말답게 풀어내면서 실마리를 찾아요. 한자말은 한자말끼리 살피고, 영어는 영어끼리 살펴야 맞습니다. 우리말 ‘스님’이나 ‘스승’을 한자 ‘승(僧)’하고 나란히 두려는 사람이 꽤 있는데, 우리말은 ‘승’이 아닌 ‘스님·스승’입니다. 우리말로 가리키는 이름인 ‘스님·스승’이 어떤 숨결이고 삶길이며 눈빛인가를 헤아리고 읽어내야 비로소 말밑을 제대로 캐내어 말살림을 가꿉니다. 우리말 ‘스님·스승’은 마땅히 ‘스’가 말밑입니다. ‘스’가 깃든 말씨를 곰곰이 짚으면서 스님이며 스승이 어떤 몸짓인가 하고 떠올리기로 해요. ‘스님·스승’은 남을 따라하거나 따라가지 않습니다. 늘 스스로 합니다. 남한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