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태산준령 일행들의 얼굴 -게 되었지만 태산준령(泰山峻嶺) : 큰 산과 험한 고개 번(番) : 1. 일의 차례를 나타내는 말 2. 일의 횟수를 세는 단위 3. 어떤 범주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차례를 나타내는 단위 일행(一行) : 1. 함께 길을 가는 사람들의 무리 2. 함께 길을 가는 사람 높다란 멧자락을 넘습니다. 함께 길을 가는 사람들은 햇볕에 그을립니다. 그을린 빛깔은 검습니다. 높은 멧길이라면 ‘높메’처럼 새말을 여밀 만하고, ‘고개·고갯길’이나 ‘재·잿길’처럼 수수하게 나타낼 수 있어요. 보기글은 “그을리고 검게 되었지만”이라 적는데, 겹말입니다. ‘-게 되다’는 옮김말씨이니 털어내고, “얼굴은 그을렸지만”으로 다듬습니다. ㅅㄴㄹ 태산준령을 그 몇 번이나 넘어오기에 일행들의 얼굴은 그을리고 검게 되었지만 → 고갯길을 몇 판이나 넘어오기에 다들 얼굴은 그을렸지만 → 높메를 숱하게 넘어오기에 모두 얼굴은 그을렸지만 《제시의 일기》(양우조·최선화, 우리나비, 2019) 78쪽 ㄴ. 그럼에도 탐조 -게 되 선사 것 자신 탐조(探鳥) : 조류(鳥類)의 생태, 서식지 따위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규칙적 규칙적 변화 → 꾸준히 바뀜 / 차근차근 바뀜 규칙적인 생활 → 가지런한 삶 / 반듯한 삶 / 바지런한 삶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 꾸준히 움직이기 규칙적인 식사 → 제때에 밥먹기 / 제때 먹기 벨 소리가 규칙적으로 울리다 → 딸랑 소리가 꾸준히 울리다 규칙적인 무늬 → 고른 무늬 / 나란한 무늬 규칙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늘 돌봐야 한다 / 날마다 살펴야 한다 ‘규칙적(規則的)’은 “일정한 질서가 있거나 규칙을 따르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 뜻처럼 “규칙을 따르는”이나 “규칙을 지키는”을 나타낼 텐데, ‘가지런·나란히·고르다’나 ‘바지런·부지런·반듯하다·번듯하다’나 ‘꾸준히·꼬박꼬박·꾸역꾸역·자꾸·밤낮’으로 손봅니다. ‘잇달다·잇다·이어가다’나 ‘줄곧·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낙천적 낙천적 생활 태도 → 밝게 사는 몸짓 / 밝은 살림새 낙천적 사고 → 환한 생각 / 즐거운 마음 낙천적 기질을 지녔다 → 해밝은 마음이다 / 맑다 / 즐겁다 세상을 낙천적으로 보다 → 온누리를 밝게 보다 인생을 낙천적으로 살다 → 느긋이 살다 / 삶을 걱정없이 누리다 밝은 미래를 읊조린 낙천적인 노래 → 밝은 앞날을 읊조린 노래 ‘낙천적(樂天的)’은 “세상과 인생을 즐겁고 좋은 것으로 여기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러한 뜻은 ‘밝은·맑은’이라고 할 만해요. 때로는 ‘환한·훤한’이나 ‘해맑은·해밝은’이라 할 만하고, ‘웃는·좋은·흐뭇한·호젓한’이나 ‘즐거운·가벼운·가뿐한·홀가분한’이나 ‘걱정없는·근심없는·느긋한·넉넉한’이라 할 수 있어요. 때로는 ‘어이없는·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ㄱ. 바깥출입 바깥출입이 줄어든 → 바깥일이 줄어든 → 바깥으로 덜 나간 출입(出入) : 1. 어느 곳을 드나듦 ≒ 나들이 2. 잠깐 다녀오려고 집 밖으로 나감 한자말 ‘출입’은 ‘바깥’으로 나가고 들어오는 일을 가리켜요. ‘바깥출입’은 겹말입니다. ‘출입’이란 한자를 덜면 됩니다. 이 글월은 “나들이가 줄어든”으로 고쳐쓸 수도 있어요. ㅅㄴㄹ 바깥출입이 줄어든 데다 → 바깥일이 줄어든 데다 → 바깥으로 덜 나간 데다 → 나들이가 줄어든 데다 《지옥에 이르지 않기 위하여》(염무웅, 창비, 2021) 23쪽 ㄴ. 저절로 우러나온다 저절로 우러나온다 → 저절로 나온다 → 우러나온다 우러나오다 : 생각, 감정, 성질 따위가 마음속에서 저절로 생겨나다 ≒ 우러나다 저절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ㄱ. 책 북 간 그림책 … 더미북 … 신간 → 그림책 … 보기책 … 새책 dummy book : x 신간(新刊) : 책을 새로 간행함. 또는 그 책 책은 그저 책입니다. 다른 말로 풀자면 ‘꾸러미·꾸리’라 할 수 있어요. 보기글은 짧은 한 줄에 ‘그림책·더미북·신간’처럼 세 가지 말을 뒤섞습니다. 책이면 그저 ‘책’이라 하면 됩니다. ‘북(book)’이나 ‘간(刊)’이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일본말 ‘신간·구간’은 걷어내고서 우리말 ‘새책·헌책’을 쓰면 돼요. 영어 ‘더미북’은 치우고서 우리말 ‘보기책·보임책’을 쓰면 됩니다. ㅅㄴㄹ 그림책을 구상하고 더미북을 만들고 신간을 내기까지 → 그림책을 생각하고 보기책을 묶고 새책을 내기까지 《나의 작은 화판》(권윤덕, 돌베개, 2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생명 하나의 생명을 보호한다 → 한 목숨을 돌본다 바다의 생명을 보존하도록 → 바다숨결을 지키도록 책의 생명을 오래 유지한다 → 책빛을 오래 잇는다 ‘생명(生命)’은 “1. 사람이 살아서 숨 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 2. 여자의 자궁 속에 자리 잡아 앞으로 사람으로 태어날 존재 3. 동물과 식물의, 생물로서 살아 있게 하는 힘 4. 사물이 유지되는 일정한 기간 5. 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하지요. ‘-의 + 생명’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목숨·숨·숨결’이나 ‘삶·살림·살다·살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몸·몸뚱이’나 ‘아이·아기’나 ‘빛·넋·님’으로 손보아도 되고, ‘꽃’이나 ‘으뜸·첫째·먼저·꼭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색깔 옷의 색깔이 강렬하다 → 옷빛깔이 너울댄다 꽃의 색깔의 변화를 관찰한다 → 바뀌는 꽃빛을 지켜본다 구름의 색깔을 보고서 → 구름빛을 보고서 ‘-의 + 색깔’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빛깔·빛’으로 손질합니다. 앞말하고 붙여서 “몸의 색깔”은 ‘몸빛·몸빛깔’이라 할 만하고, “풀의 색깔”은 ‘풀빛·풀빛깔’이라 하면 됩니다. ㅅㄴㄹ 흙의 색깔이 된다는 것을 → 흙빛이 되는 줄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한승원, 문학과지성사, 1995) 29쪽 잇몸의 색깔이나 혀의 색깔이 평소보다 하얗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잇몸 빛깔이나 혀 빛깔이 여느 때보다 하얗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잇몸이나 혀가 여느 때보다 하얗게 보일 때도 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글들 대부분 50명 정도 인원에 의해 올려진 대부분(大部分) : 1. 절반이 훨씬 넘어 전체량에 거의 가까운 정도의 수효나 분량 2. = 대개 오십(五十) : 1. 십의 다섯 배가 되는 수 2. 그 수량이 쉰임을 나타내는 말 3. 그 순서가 오십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명(名) : 사람을 세는 단위 정도(程度) : 1. 사물의 성질이나 가치를 양부(良否), 우열 따위에서 본 분량이나 수준 2. 알맞은 한도 3. 그만큼가량의 분량 인원(人員) : 단체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 또는 그 수효 의하다(依-) : 무엇에 의거하거나 기초하다. 또는 무엇으로 말미암다 종일(終日) :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동안 = 온종일 계속(繼續) : 1. 끊이지 않고 이어 나감 2. 끊어졌던 행위나 상태를 다시 이어 나감 3. 끊이지 않고 잇따라 하루 내내 이었다면, 줄곧 했다는 뜻입니다. “쉰 사람”이라고 밝히면 몇이 있는가를 이미 말했으니, “50명 정도 되는 인원”은 겹말입니다. ‘-에 의하다’나 ‘-지다’ 같은 입음꼴은 우리말씨가 아닙니다. 영어를 옮기다가 얄궂게 불거지다가 퍼진 말씨예요. 쉰 사람쯤이 하루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빠른 성장 가능 지구(地球) : [천문] 태양에서 셋째로 가까운 행성 ≒ 대괴·혼원구 성장(成長) : 1.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자라서 점점 커짐 가능(可能) :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음 우리말을 마치 영어처럼 쓰려 하니 “빠른 성장”처럼 ㄴ을 받쳐서 뒷말을 받곤 합니다. 그러나 우리말씨는 “빠르게 성장”입니다. 보기글은 ‘성장 + 가능’처럼 한자말을 곧장 이으려고 하느라 토씨를 얄궂게 붙였어요. 한자말 ‘가능’은 “할 수 있다”나 “될 수 있다”를 뜻합니다만, 이 글자락에서는 “빠르게 자랐습니다”나 “빠르게 컸습니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ㅅㄴㄹ 지구는 빠른 성장이 가능했습니다 → 푸른별은 빠르게 자랐습니다 → 푸른별은 휙휙 컸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채식과 동물권 이야기》(이유미, 철수와영희, 2023) 21쪽 ㄴ. 음식의 선택 많은 문제 음식(飮食) : 1.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물건 ≒ 식선(食膳)·찬선(饌膳) 2. = 음식물 선택(選擇) : 1. 여럿 가운데서 필요한 것을 골라 뽑음 ≒ 초택(抄擇)·취택·택취(擇取) 문제(問題) : 1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ㄱ. 속물근성 것 나의 利己 속물근성(俗物根性) : 금전이나 명예를 제일로 치고 눈앞의 이익에만 관심을 가지는 생각이나 성질 이기(利己) :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함 저 혼자 좋기를 바라기에 ‘이기·이기심·이기주의’라고도 하지만, 저 혼자만 쳐다보거나 살피기에 “저만 알다”처럼 수수하게 나타낼 만합니다. 보기글은 “나의 (利己)”를 끝에 넣지만, 이런 글짜임은 옮김말씨예요. ‘나의’를 ‘나는’으로 고쳐서 맨앞으로 돌린 다음, “나는 그들을 멋대로”나 “나는 그들을 함부로”쯤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돈만 아는 이라면 ‘돈벌레’라 일컬으면 되어요. 또는 ‘바보’나 ‘멍청이’라 하면 되어요. ㅅㄴㄹ 그들을 속물근성으로 몰아부친 것은 나의 이기(利己)이다 → 나는 그들을 멋대로 돈벌레로 몰아붙였다 → 나는 그들을 함부로 바보라고 몰아붙였다 《기형도 산문집》(기형도, 살림, 1990) 64쪽 ㄴ. 음성언어 통역 위해 수화 사용 음성언어(音聲言語) : [언어] 음성으로 나타내는 말 ≒ 구어·입말 통역(通譯) : 말이 통하지 아니하는 사람 사이에서 뜻이 통하도록 말을 옮겨 줌. 또는 그런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