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꽃 / 숲노래 말넋 말꽃삶 7 도무지 우리는 낱말책을 뒤적이면서 우리말을 얼마나 잘 살피고 즐겁게 배워서 슬기롭게 쓸 만할까요? 다음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입니다. 이 엉성한 뜻풀이를 바로잡기를 바란다고 열 해 넘게 따졌으나, (2022년에도) 도무지 바뀔 낌새가 없습니다. 이 뜻풀이는 어른이 보는 낱말책뿐 아니라 어린이가 보는 낱말책에도 고스란히 나옵니다. 휘다 : 1. 꼿꼿하던 물체가 구부러지다. 또는 그 물체를 구부리다 2. 남의 의지를 꺾어 뜻을 굽히게 하다 굽다 : 한쪽으로 휘다 우리말 ‘휘다’하고 ‘굽다’는 비슷하되 다른 낱말입니다. 둘은 같은말이 아니기에 ‘휘다 = 굽다’로 풀이하고서 ‘굽다 = 휘다’로 풀이하면 엉터리입니다. 이른바 돌림풀이(순환정의)예요. ‘밝다·환하다·맑다’ 세 낱말 뜻풀이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밝다 : 1. 밤이 지나고 환해지며 새날이 오다 2. 불빛 따위가 환하다 3. 빛깔의 느낌이 환하고 산뜻하다 4. …… 환하다 : 1. 빛이 비치어 맑고 밝다 2. 앞이 탁 트여 넓고 시원스럽다 3. 무슨 일의 조리나 속내가 또렷하다 4. 얼굴이 말쑥하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48 작은숲이 저는 ‘작은아이’로 태어났고 내내 ‘작은아이’란 이름을 들었습니다. 마흔 살이 넘어도 ‘작은아이’란 이름이니, 여든 살이나 이백 살이 넘어도 똑같이 ‘작은아이’일 테지요. ‘작다’란 이름은 때때로 놀림말로 바뀝니다. 놀림말을 듣고서 골을 내면 “거 봐. 넌 몸뿐 아니라 마음도 작으니까 골을 내지!” 해요. 놀리려는 사람은 제가 무엇을 해도 늘 놀리더군요. 스무 살을 넘어 만난 어느 동무는 ‘작은이’란 이름을 자랑처럼 씁니다. 동무는 ‘시민·서민·소시민·민중·백성’ 같은 뜻으로 ‘작은이’를 쓰더군요. 깜짝 놀랐어요. “아, 이름은 같아도 마음에 따라 다르구나!” 하고 비로소 느끼고는 ‘작은아이’로 태어난 뜻이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가만히 보면, 숲에서 숲빛을 밝히며 숲아이를 보살피거나 아끼는 숨결은 하나같이 ‘작’아요. 이른바 한자말…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47 나우누리 이제 사라진 누리그물 가운데 ‘나우누리’가 있습니다. ‘천리안’은 한자말로 지은 이름이고, ‘하이텔’은 영어로 지은 이름이라면, ‘나우누리’는 우리말로 지은 이름입니다. 세 군데 누리그물은 스스로 지은 이름대로 나아갔어요. 한자말 이름인 곳은 참말 온갖 곳에 한자말을 썼고, 영어 이름인 곳은 그야말로 온갖 곳이 영어범벅이었는데, 우리말 이름인 곳은 또이름(ID)을 한글로 쓰는 길을 처음 열 뿐 아니라, 처음 들이는 누리말(인터넷 용어)을 우리말답게 고치거나 새로짓는 눈썰미를 밝혔습니다. 어린이하고 어르신 모두한테 턱을 낮췄습니다. 다른 곳은 ‘웹마스터’란 영어 이름을 썼으나, 나우누리는 ‘나우지기’란 이름을 받아들여 ‘-지기’라는 오랜 낱말을 ‘마스터·매니저·관리자·책임자’로 풀어내는 길을 퍼뜨렸지요. 사람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가다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9] 책값 받기 옆집에 고기를 사러 갔다. 고기를 썰던 아저씨가 “서점에 가면 책 파니껴?” 하고 묻는다. 며칠 앞서 이웃 어르신이 시내 서점에 갔더니 내 책이 없더란다. 헌책을 파는 집이라 새책이 없다고 했다. 여든일곱 살 어르신이 일부러 내 책을 사려고 집에서 꽤 먼 걸음을 했다. 인터넷으로 사라는 일꾼 말을 듣고 내게 묻는다. “제가 사 드릴게요.” 했다. 2022년 12월 겨울에 낸 《풀꽃나무하고 놀던 나날》이 서점에 깔린 뒤에 처음으로 내 책을 한 권 산 일이 있다. 뜯지도 않은 책을 그대로 갖다 드렸다. 내가 사주겠다고 한 말이 있어서 그런지 책값이 얼마인지 묻지 않았다. 곁님도 들었기에 뒤늦게 책값을 받았는지 묻는다. 돈을 받기 뭣해서 그냥 두시라고 한 일이 있었다. 이 일이 꼬투리가 될 줄 몰랐다. 고기집으로 주소를 적었는데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우리 집으로 책이 왔다. 이튿날 갖고 가니 고기집에 아무도 없다. 뜨락에 올려놓고 나오는데 길에서 아저씨를 만났다. 책값을 받아 가라고 손짓을 하는데 손사래를 쳤다. 내가 뒷마당에 간 사이에 아저씨가 뒤따라 와서 나를 찾다 없어 곁님한테 책값을 맡겼다. 밖에서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8] 나도 달리고 싶다 큰애가 설 때 집에 다녀간 뒤로 조용하다. 어거지로 한바탕 부린 일이 자꾸 마음에 걸렸는데 “나 20k 뗘져.” 하고 앙증맞게 쪽글을 보내었다. “많이 뛰었네. 넘 무리하지 말어.” 하고 맞글을 보냈더니 “최장거리얌 헤헤.” 하면서 한강을 따라 뛰던 길그림을 보내 온다. 이젠 적은 나이가 아닌데, 오래 달리네. 큰딸이 달리기를 한다니깐 좋다. 서울살이를 하며 잔뜩 머리를 짜며 일에서 벗어나려고 혼자서 달리는 일이다. 큰딸은 어릴 적에는 잘 달리지 못했다. 몸이 토실해서 그런지 달리면 끝자리를 맡아 두곤 했는데 요새는 하루에 20킬로미터를 달린단다. 큰딸이 대구집에 왔을 적에 함께 달리기를 따라간 적이 있다. 나는 길동무로 따라가기만 했을 뿐 달리지 않았다. 아니 달리지 못했다. 나는 어릴 적에는 달리기를 잘했다. 이러다가 열여덟 살 무렵에 100미터 달리기를 하는데 그만 29초에 끊었다. 남들보다 9초쯤 더 걸렸다. 늦은 9초에 부끄럼이 속 깊이 일어났다. 앞을 보고 온힘으로 달려야 할 때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멈칫멈칫하면서 고약한 점수가 되었다. 한껏 달릴 수 있었는데 멈춘 셈이다. 일곱 해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77] 애꾸눈이 되었네 한티재에 가까울수록 눈이 쌓였다. 어제 비가 내렸는데 어느 골짜기에는 비가 눈으로 바뀌었다는 말을 들었다. 차가 다니는 길에는 눈이 녹고 한쪽으로 눈이 쌓였다. 차가 지나간 바퀴 자국이 오솔길 같았다. 나는 좁은 자국을 따라 비틀거리며 걸었다. 모퉁이를 꺾으니 내리막길이 나오고 길바닥이 온통 하얗다. 눈을 보니 마음이 하얗게 들뜬다. 눈을 뭉쳐서 던졌다. 어떤 눈은 그러모으려니 손이 잘 안 들어가고 또 어떤 눈은 펄펄 눈가루가 날려 안 뭉친다. 맨손에 이리저리 닿으니 뭉칠 만하다. 앞사람 등에 던져 본다. 눈뭉치가 빗나가자 앞사람이 눈을 발로 찬다. 저만치 앞서가는 사람들 뒤에 천천히 간다. 뒤에서 느긋하게 눈하고 노니 재미있다. 햇살이 드니 눈이 더 부신다. 차가 다니지 않는 길에 쌓인 눈을 먼저 간 사람이 동그랗게 만다. 나도 눈을 꼭꼭 말아서 밀었다. 가랑잎을 떼고 말고 말았다. 크게 굴린 눈은 가랑잎이랑 뒤섞였다. 머리를 얹을 적에 눈사람 눈을 삼을 것을 찾아보았다. 바닥에 올라온 나뭇가지를 당기니 살았다. 다른 가지를 또 당기니 이것도 살았다. 눈을 덮고도 살아 있는 나뭇가지를 차마 꺾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35 《행복한 왕자》 오스카 와일드 이지민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3.12.25. 《행복한 왕자》(오스카 와일드/이지민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3)를 아이들하고 읽습니다. 아이들하고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눌 만한 책은 뜻밖에 매우 적으나, 아예 없지는 않고, 또 이래저래 찾아보면 제법 있습니다. 왜 아이들하고 함께 읽으면서 생각을 지필 책이 적을까 하고 돌아보면, 아이들은 책을 안 읽어도 되고, 어른들도 굳이 책이 없어도 됩니다. 몸으로 뛰놀고, 마음으로 이야기하면 넉넉해요. 몸으로 함께 살림을 짓고, 마음으로 같이 사랑을 그리면 즐겁습니다. 굳이 글을 쓰거나 책을 엮는 까닭은 있어요. 이 아름다운 삶빛을 씨앗으로 남겨서 언제 어디에서나 되돌아보고 아로새기고 싶은 마음이 들기에 애써 글을 쓰거나 책으로 엮습니다. 오스카 와일드 님이 남긴 씨앗 가운데 돋보이는 ‘제비’하고 ‘큰사람(거인)’ 이야기가 있어요. 이녁은 ‘임금’이라는 자리가 ‘자리·이름·허울·힘’을 쳐다보려 할 적에는 고약할 뿐 아니라 스스로 좀먹어 죽음길로 가는 줄 꿰뚫어보고서 글로 남겼습니다. 이녁은 ‘아이’라는 이름이 참으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34 《산적의 딸 로냐》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일론 비클란드 그림 이진영 옮김 시공사 1999.3.20. 《산적의 딸 로냐》(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일론 비클란드/이진영 옮김, 시공사, 1999)는 1992년에 ‘일과놀이’에서 처음 우리말로 옮겼고, 1999년에 ‘시공사’에서 새로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일본에서는 그림꽃얘기(애니메이션)로 그리기도 했어요. 숲도둑 딸아이로 태어난 로냐가 아버지하고 다른 길을 가면서 아버지가 멧도둑질을 끝낼 뿐 아니라, 이웃하고 손을 잡는 새길을 내도록 이끄는 줄거리를 차근차근 들려주지요. 로냐 이야기를 읽다 보면 온누리 어느 아버지라도 곁님뿐 아니라 딸한테 이길 수 없고, 이겨서도 안 되는 줄 알 만합니다. 또한 온누리 어느 어버이라도 딸이건 아들이건 어버이로서 낳은 딸아들이 앞으로 새길을 짓도록 이바지하고 도우면서 스스로 거듭나는 하루로 나아갈 노릇인 줄 알 만해요. 어버이가 아이를 낳아 돌보는 뜻을 제대로 짚을 수 있을까요? 어버이는 아이를 사랑하려고 낳습니다. 그런데 ‘아이만 사랑’할 수 없어요. 어버이로서 아이를 사랑하려면, 어버이가 먼저 ‘어버이 스스로 사랑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제도 制度 결혼 제도 → 맺음길 민주주의 제도 → 들꽃길 / 들꽃마당 제도를 개혁하다 → 틀을 고치다 / 판을 바꾸다 ‘제도(制度)’는 “관습이나 도덕, 법률 따위의 규범이나 사회 구조의 체계 ≒ 제”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길·기둥’이나 ‘얼개·얼거리’나 ‘틀·틀거리’나 ‘짜임·짜임새·짜인결’이나 ‘뼈대·마당·판’으로 손볼 만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제도’를 열한 가지 더 싣는데, ‘제도(製圖)’는 ‘그리다·담다·밑그림·바탕그림’으로, ‘제도(諸島)’는 ‘뭇섬·여러섬·섬밭’으로 손보면 되고, 다른 한자말은 모조리 털어냅니다. ㅅㄴㄹ 제도(帝都) : 황제가 있는 나라의 서울 = 황성 제도(帝道) : 인의(仁義)로 나라를 다스리는 제왕의 정도(正道) 제도(帝圖)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17. 우쭈쭈 아기라고 모든 곳에서 늘 웃고 반길 수 없다. 아기도 싫어할 만하고 꺼릴 수 있다. 어버이로서 이런 아기를 달래려고 ‘우쭈쭈’ 하면서 높여 준다. 그런데 아기가 아니면서 남보다 높거나 올라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고, 이른바 ‘주례사비평’이나 ‘추대·찬양·칭송·칭찬’만 들으려고까지 한다. ‘우쭐거리’고 싶은 이들은 ‘우쭈쭈’를 받으면서 넋이 나가며 참빛을 잃고 잊는다. 우쭈쭈(우르르 까꿍) : 1. 울거나 골내거나 싫어하거나 지겨워하는 아기를 달래거나 북돋우면서 살살 높이거나 즐겁게 해주면서 내는 소리. 2. 달래거나 북돋우듯 살살 높이거나 즐겁게 해주는 말이나 몸짓. 잘 하지 않았어도 잘 했다고 높이거나 올리거나 값을 좋게 붙이는 말이나 몸짓. (← 과대, 과대평가, 과대포장, 과다, 칭찬, 칭송, 찬미, 찬송, 찬양, 격려, 격려사, 공치사功致辭, 치하致賀, 치사致詞, 극찬, 상찬賞讚, 회유懷柔, 유혹, 유혹, 유인, 유도誘導, 조장助長, 종용, 충동衝動, 선동, 고무鼓舞, 독려, 옹립, 지지支持, 추천推薦, 추대, 노미네이트, 지명指名, 천거, 사주使嗾, 덕담,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