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숲책 푸른책 읽기 23 《금낭화를 심으며》 송명규 따님 2014.10.20. 《금낭화를 심으며》(송명규, 따님, 2014)를 읽었습니다. 글님이 쓴 책이 있는 줄은 《후투티를 기다리며》(2010)를 읽어서 알았고, 이 책은 글님이 ‘따님’에서 우리말로 옮긴 《모래 군의 열두 달》(2000)을 읽었기에 알았습니다. 알도 레오폴드 님이 쓴 책도 ‘따님’에서 펴낸 《소비 사회의 극복》이나 《노아 씨의 정원》이나 《21세기의 파이》나 《자동차,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를 읽고서 ‘따님’ 책을 더 살피다가 만났습니다. 책 하나가 가지를 뻗고 잎을 늘리는 셈인데, 그만큼 숲책(생태환경책)을 내는 곳이 드물던 지난날 숲책을 옹글게 여민 첫길을 ‘따님’에서 차근차근 지폈다고 느낍니다. 펴냄터 이름 ‘따님’에서 알 수 있듯, ‘땅·딸’을 나란히 헤아리는 길입니다. 땅이며 딸(순이)이란 ‘따스함’이란 숨결을 품습니다. 그러면 아들(돌이)은 안 따스하느냐고 따질 만한데, 아들이라서 안 따뜻할 수는 없으나, 딸처럼 따스하지는 않은 숨결이기에, 아들·돌이·사내라는 자리는 딸·순이·가시내한테서 “사람으로서 따스하게 온누리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9 ㄱ.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무늬만 한글이도록 글을 쓰는 분이 늘어납니다. 보기글에는 한자말도 영어도 깃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보기글을 우리말씨라고는 여길 수 없습니다. “뒤섞인 가운데”는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뒤섞입니다. 영어 ‘-ing’ 꼴을 일본에서 ‘中’으로 옮기던 말씨를 ‘가운데’로 바꾼들 우리말씨이지 않아요. “뒤섞이고”라고만 적을 노릇입니다. 꽃이 피거나 풀이 날 적에 우리말씨로는 “꽃들이 핀다”나 “풀들이 난다”처럼 말하지 않습니다. 비가 올 적에 “빗방울들이 떨어진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들’은 아무 데나 안 붙입니다. 또한 “날고 있다”가 아닌 “난다”나 “날아간다”나 “날아오른다”로 적어야 우리말씨예요. 씨앗을 흙에 묻을 적에 “씨앗들을 흙들에 묻는다”고 하지 않아요. “씨앗을 흙에 묻는다”라 합니다. 옷에 먼지가 묻을 적에 “옷에 먼지들이 묻는다”가 아닌 “옷에 먼지가 묻는다”라 해야 우리말씨입니다. 낮과 밤이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 낮과 밤이 뒤섞이고 새가 난다 → 낮밤이 뒤섞이고 새가 날아간다 → 낮밤이 뒤섞인 채 새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23 으름질 갑질 서로 돕기보다는 위아래로 가르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함께 손을 나누어 즐겁게 어우러지기보다는 위아래로 자르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같이 어깨동무를 하며 웃기보다는 위아래로 쪼개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른바 ‘갑질(甲-)’을 한다고 말합니다. ‘갑·을·병·정’처럼 쓰는 외마디 한자는 지난날 삶터나 감투를 거머쥐던 이들이 쓰던 말씨입니다. 이제 삶터나 감투가 위아래 아닌 고른 어깨동무나 손잡기라고 한다면, 낡은 말씨를 털어내면 아름다우련만, 아직 글종이(계약서) 같은 데에 ‘갑·을’을 그냥 씁니다. 우리는 앞으로 이 얼거리를 바꿀 수 있을까요? 글자락에 굳이 ‘갑·을’을 써야 할까요? ‘가·나’를 쓰거나 ‘ㄱ·ㄴ’을 써 보면 어떨까요? 높낮이도 위아래도 없는 ‘가·나’요 ‘ㄱ·ㄴ’입니다. 수수한 닿소리를 즐겁게 쓸 줄 아는 마음이라면, 서로 따스하거나 넉넉한 몸짓으로 거듭날 만하리라 생각합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28. 장문의 글 요즈음 분들은 ‘긴글’은 잘 안 읽을까요? 손전화를 오래오래 쥔 채 하루를 누리다 보니 ‘짧은글’에만 익숙하고 말아, 조금이라도 ‘짧지 않다’ 싶으면 죄다 ‘길구나’ 하고 여기지는 않을까요. 이웃님이 저한테 글월을 띄울 적에 저도 맞글월을 띄웁니다. 때로는 다른 일을 하느라 깜빡 잊고서 글월을 놓치기도 합니다만, 바로 글월을 적든 뒤늦게 글월을 띄우든 마음을 기울여서 온힘을 다해 쓰려고 해요. 이러다 보면 이 수다 저 얘기가 넘치곤 하는데, 이런 제 맞글월을 받는 분들이 으레 이렇게 말합니다. 장문의 글을 답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말을 들을 적마다 적이 어지럽습니다. 어느 모로 보면 이 말씨가 요즈음 ‘벼슬말(관공서 용어)’이거나 ‘치레말씨(격식체)’인가 싶기도 합니다. 이렇게 써야 마치 다소곳하거나 얌전하거나 상냥하다고 여기시는구나 싶은데요, 이런 말씨는 하나도 안 다소곳하고 안 얌전하며 안 상냥합니다. 말이 안 되는 말씨일 뿐입니다. 이 말씨는 다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칼같다 똑부러진 사람을 보면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어쩜 이렇게 의젓할까요. 어쩌면 이다지도 헌걸차게 제 뜻을 밝히면서 둘레를 밝힐까요. 얼핏 칼같이 군다 싶으나 부드러운 사람이 있어요. 언뜻 좋아 보이나 악착스러운 사람이 있고요. 겉보기하고 속보기는 다릅니다. 꾸미는 사람일수록 겉으로만 잘나가는 듯하나 속으로는 모질거나 꼰대이곤 합니다. 사랑을 펴는 사람이라면 속으로 빛나는 숨결이 모든 매몰찬 기운을 다독이면서 우리 외눈을 가만히 녹이는구나 싶습니다. 예나 이제나 곧고 참한 사람을 뚱딴지처럼 얕보거나 따돌리려는 갑갑한 울타리가 높습니다. 올곧은 사람이 외곬인 일은 없어요. 곧바르지 않은 사람이야말로 외길이요, 쳇바퀴를 붙잡고 사슬로 가로막습니다. 아름답지 않은 터전에서는 거꾸로 보아야 슬기롭게 알아본다고 느낍니다. 이 앞바람은 맞바람일까요, 아니면 등바람일까요. 이 뒷바람은 매끄러이 밀어주는 결일까요, 거칠게 밀어대는 발톱일까요. 마음이 굳어 단단하게 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주저앉다 바람이 드나들 틈이 있다면 숨돌리지만, 바늘을 꽂을 사이마저 없다면 숨막히면서 고달픕니다. 햇볕이 들고 별빛이 드리울 곳이 있으면 기지개를 켜는데, 햇빛 한 줌마저 막는 데라면 그만 힘빠지면서 폭삭 주저앉을 만합니다. 사납게 구는 이를 보면 그야말로 막나가는구나 싶어요. 이웃한테도 함부로 굴지만, 사납이 스스로 마구잡이로 깎아내리기에 서로 흐무러져요. 바람을 함께 마시면 싱그러울 텐데요. 햇살을 같이 누리면 밝을 텐데요. 돌보는 손길을 잊기에 궂습니다. 보살피는 눈길을 잃기에 고약해요. 밤이 깊을수록 이슬은 한결 촉촉히 내려앉아 기운을 북돋웁니다. 힘이 들거나 빠질수록 더 고요히 숨을 가다듬고서 이슬빛으로 마주하기를 바라요. 차가운 손은 치우고, 매서운 눈은 걷어내기로 해요. 모진 마음을 털고 무시무시한 말은 씻어내기로 해요. 겨울이 지나면서 봄이 찾아옵니다. 봄이 지나가면서 여름이 반짝여요. 철마다 새롭게 피어나는 잎망울은 느른한 몸에 새록새록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20 글발림 “남한테 읽힐 뜻”이 아닌 “스스로 되읽을 뜻”으로 씁니다. 스스로 되읽으면서 아름답거나 사랑스럽다고 여길 만할 적에 비로소 이웃이며 동무이며 아이들한테 건넵니다. 둘레에서 “그만큼 손질하면 되지 않나요?” 하고 물어도 “제가 보기에는 아직 더 손질하고 보태어야 합니다” 하고 고개숙입니다. “남 보기에 부끄러운 글”이란 처음부터 남한테 보여주려고 치레한 글입니다. 스스로 삶을 적고 살림을 그리고 사랑을 노래한 글이라면 “남 보기에 부끄러울 턱”이 없습니다. ‘글발림’을 하는 분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아니, 배움터부터 아이들한테 글발림을 시킵니다. 해마다 나라에서 치르는 셈겨룸(시험)을 들여다보면, 도무지 무슨 소리인지 모를 글(지문)이 가득하더군요. 읽고서 생각하고 마음을 가다듬어서 뜻을 펴도록 이끄는 배움판이 아니라, 눈가림·눈속임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9 사랑이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이름으로 부르면 서로 즐거울까요? 한자말로는 ‘애인’이라 하고, 영어로 ‘허니·달링’ 같은 말을 쓰는 분이 무척 많으나, 저는 사랑하는 사람이나 사랑스러운 사람한테는 수수하게 ‘사랑이’라 합니다. 때로는 ‘사랑님’이라 하고, ‘사랑꽃’이나 ‘사랑별’처럼 말끝을 슬쩍 바꾸기도 해요. 서로 사랑하는 사이라면 ‘사랑순이·사랑돌이’일 테고, ‘사랑벗·사랑동무’라든지 ‘사랑짝·사랑짝지·사랑짝꿍’이기도 합니다. 마음이 흐르고 잇습니다. 따스하게 부는 바람이고, 포근하게 이는 물결입니다. 말 한 마디는 서로를 잇는 즐겁고 튼튼한 다리 같습니다. 겉을 꾸밀 적에는 사랑하고 멀어요. 속을 가꾸기에 사랑으로 피어납니다. 겉모습만 차릴 적에는 사랑이 아니에요. 속빛을 나누며 스스로 웃고 노래하기에 사랑이로구나 싶어요. 아이를 바라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사랑길 ― 서울 〈서촌 그 책방〉 사랑은 ‘사랑’이고, 책임은 ‘책임’이라는 대목을 제대로 갈라서 바라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숱하기에, “사랑이라는 이름을 붙인 허울로, 사랑이 아닌 굴레를 씌우”게 마련입니다. 사랑과 책임은 다릅니다. 둘이 같다면 “똑같은 말”을 쓰겠지요. ‘애완동물’하고 ‘반려동물’은 틀림없이 다르기에 이름을 갈라요. 예전 우리 살림(문화)은, “서울(도시)에서 살더라도 마당 있는 집”일 적에만 ‘곁짐승(반려동물)’을 돌보았습니다. 이제는 이 살림이 아주 사라져서 “마당은커녕 풀포기 없고 흙조차 못 밟는 ‘서울잿빛(도시 아파트 문명)’ 한복판”에서조차 곁짐승을 자꾸 기릅니다. “서울(도시)에서 곁짐승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오래글 ― 서울 〈글벗서점〉 무슨 책을 늘 그렇게 사대느냐고 묻는 이웃님이 많아서 “읽을 책을 삽니다.” 하고 짧게 끊습니다. “그러니까 뭐 하러 그렇게 사서 읽느냐고요?” “아이들한테 물려줄 책을 사서 읽습니다.” “기준은요?” “아름다운 책이건 안쓰러운 책이건, 우리가 삶을 갈무리해서 얹은 이야기꾸러미인 책을 손으로 만지면서, 앞으로 새롭게 지을 이야기하고 책에 밑거름이 될 숨결을 헤아립니다.” 모든 책은 손길을 타면서 빛납니다. 아직 손길을 타지 않으면 빛나지 않습니다. 모든 책은 우리가 손으로 쓰다듬기에 이야기가 흐릅니다. 아직 손으로 쓰다듬지 않으면 아무런 이야기가 싹트지 않아요. 오늘날에는 ‘식물학자·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