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자주적 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하다 → 일을 스스로 풀다 자주적인 노력을 기울이다 → 내 나름대로 애쓰다 자주적 결정 → 혼길 / 혼넋 / 임자넋 자주적 외교 → 임자로 만남 / 스스로길 / 스스로서기 ‘자주적(自主的)’은 “남의 보호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자기 일을 스스로 처리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스스로·몸소가다·스스로가다’나 ‘스스로길·스스로서기·시키지 않다’나 ‘임자·임자넋·임자얼·혼넋·혼얼’로 손봅니다. ‘저절로길·제 발로·호젓하다·홀가분하다’나 ‘혼자서다·홀로서다’로 손볼 만하고, ‘기꺼이·기껍다·서슴없다·선뜻·스스럼없다’나 ‘기운차다·기운넘치다·힘차다·힘넘치다’로 손봅니다. ‘나름대로·그 나름대로·제 나름대로·내 나름대로’나 ‘냉큼·닁큼·착·착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종교적 종교적 관점 → 믿는 눈 / 믿음눈 / 믿음길 종교적 갈등 → 믿음 다툼 종교적인 행사 → 믿음자리 / 거룩한 자리 ‘종교적(宗敎的)’은 “종교에 딸리거나 종교와 관련되는”을 가리킨다고 해요. ‘-적’을 뗀 ‘종교’만 쓸 수 있되, ‘믿음·믿다’나 ‘믿음빛·믿음길’로 손볼 만합니다. ‘거룩하다·높이다·받들다·섬기다·올리다·우러르다’로 손보거나 ‘절·절집·작은절·큰절’이나 ‘하늘빛·하늘길’로 손보아도 됩니다. ‘길·빛’이나 ‘빛길·온빛’으로 손볼 수도 있어요. ㅅㄴㄹ 바꾸어 말하면 민족의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철학적 신조나 종교적 신앙을 존중하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눈빛이나 믿음빛을 따르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비공식적 비공식적 회담 → 뒷모임 / 살짝모임 / 속모임 비공식적 방문 → 슬쩍 왔다 / 조용히 왔다 / 슥 왔다 비공식적인 관계 → 몰래 사이 / 안 알려진 사이 비공식적으로 말하다 → 뒤에서 말하다 / 살그머니 말하다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 뒷길로 일을 풀었다 ‘비공식(非公式)’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사사로운 방식”을 가리키고, ‘비공식적(非公式的)’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사사로운”을 가리킨다는군요. ‘뒤·뒷길·뒷구멍·뒷구녁’이나 ‘뒷놈·뒷장사·뒷팔이·뒷주머니’나 ‘몰래·몰래쓰다·몰래질·몰래짓·몰래일’로 손볼 만합니다. ‘검은구멍·까만구멍·깜구멍’이나 ‘검은길·까만길·깜길’로 손볼 수 있고, ‘그냥·그냥그냥·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규칙적 규칙적 변화 → 꾸준히 바뀜 / 차근차근 바뀜 규칙적인 생활 → 가지런한 삶 / 반듯한 삶 / 바지런한 삶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 꾸준히 움직이기 규칙적인 식사 → 제때에 밥먹기 / 제때 먹기 벨 소리가 규칙적으로 울리다 → 딸랑 소리가 꾸준히 울리다 규칙적인 무늬 → 고른 무늬 / 나란한 무늬 규칙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늘 돌봐야 한다 / 날마다 살펴야 한다 ‘규칙적(規則的)’은 “일정한 질서가 있거나 규칙을 따르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 뜻처럼 “규칙을 따르는”이나 “규칙을 지키는”을 나타낼 텐데, ‘가지런·나란히·고르다’나 ‘바지런·부지런·반듯하다·번듯하다’나 ‘꾸준히·꼬박꼬박·꾸역꾸역·자꾸·밤낮’으로 손봅니다. ‘잇달다·잇다·이어가다’나 ‘줄곧·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낙천적 낙천적 생활 태도 → 밝게 사는 몸짓 / 밝은 살림새 낙천적 사고 → 환한 생각 / 즐거운 마음 낙천적 기질을 지녔다 → 해밝은 마음이다 / 맑다 / 즐겁다 세상을 낙천적으로 보다 → 온누리를 밝게 보다 인생을 낙천적으로 살다 → 느긋이 살다 / 삶을 걱정없이 누리다 밝은 미래를 읊조린 낙천적인 노래 → 밝은 앞날을 읊조린 노래 ‘낙천적(樂天的)’은 “세상과 인생을 즐겁고 좋은 것으로 여기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러한 뜻은 ‘밝은·맑은’이라고 할 만해요. 때로는 ‘환한·훤한’이나 ‘해맑은·해밝은’이라 할 만하고, ‘웃는·좋은·흐뭇한·호젓한’이나 ‘즐거운·가벼운·가뿐한·홀가분한’이나 ‘걱정없는·근심없는·느긋한·넉넉한’이라 할 수 있어요. 때로는 ‘어이없는·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사적 사적 경험 → 내 경험 / 내가 겪은 일 / 몸소 겪은 일 사적 원한 → 내 앙갚음 / 나한테 맺힌 아픔 사적인 대화 → 내 이야기 / 딴 이야기 사적인 일에 → 내 일에 / 딴 사람 일에 / 집안일에 사적으로 만나는 → 따로 만나는 / 살며시 만나는 사적으로 조용히 → 조용히 / 따로 조용히 ‘사적(私的)’은 “개인에 관계된”을 가리키고, ‘개인(個人)’은 “국가나 사회, 단체 등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낱낱인 사람이란 “한 사람”입니다. 이리하여 “한 사람”으로 손볼 만하고, 이제는 ‘한사람’을 따로 한 낱말로 쓸 만하지 싶습니다. 흐름을 살펴 ‘나·내·저·제’로 손보거나, ‘혼자·홀로’나 ‘따로’로 손볼 만합니다. ‘몇몇’이나 “몇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반복적 반복적인 손목 사용으로 → 손목을 쉬지 않고 쓰며 반복적 화재로 인해 → 잇달아 불이 나서 / 불이 끊임없이 나서 반복적으로 꾸는 꿈 → 되풀이해서 꾸는 꿈 / 자꾸자꾸 꾸는 꿈 짧고 반복적인 문구 → 짧고 되풀이 나오는 말 ‘반복적’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반복(反復)’은 “같은 일을 되풀이함”을 뜻해요. ‘반복·반복적’은 ‘되풀이·돌다·꼬박꼬박·맴돌다’로 손질하면 됩니다. 때로는 ‘자꾸·꾸준히·내내·내처·내리’나 ‘거듭·거푸·또·다시·더·끊임없이’로 손질하고, ‘잇다·이어가다·잇달아’나 ‘늘·노상·언제나·나날이·두고두고’로 손볼 만합니다. ‘그냥·그대로·이대로·저대로’나 ‘줄곧·줄기차다·줄줄이’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끝없이·가없이’로 손보아도 돼요. ㅅ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개인적 개인적 의견 → 내 생각 개인적 경험 → 내가 겪은 일 개인적 차원에서 해결하다 → 스스로 풀다 / 혼자 알아서 풀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 내 탓으로 / 집안일로 / 내 일로 개인적인 체험 → 내 삶 / 내 하루 개인적으로 연락하지 않는다 → 따로 알리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 따로 좋아하는 사람 개인적인 감정으로 처리하면 안 된다 → 내 마음대로 하면 안 된다 / 제멋대로 하면 안 된다 저는 개인적으로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 저는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 저로서는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개인(個人)’은 “국가나 사회, 단체 등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을 뜻한다고 하며, ‘개인적(個人的)’은 “개인에 속하거나 관계되는”을 뜻한다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특징적 특징적 요소 → 빛깔 / 빛 / 남다른 대목 / 도드라진 대목 특징적 차이 → 눈에 띄는 다름 / 도드라지게 다른 대목 특징적 사항들 → 눈에 띄는 이야기들 / 남다른 대목들 우리의 정서를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 우리 마음을 잘 보여주는 / 우리 마음을 남달리 보여주는 / 우리 느낌을 제대로 보여주는 / 우리 느낌을 환하게 보여주는 ‘특징적(特徵的)’은 “다른 것에 비하여 특별히 눈에 뜨이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돋보이다·도드라지다·다르다·남다르다’나 ‘티나다·튀다·별쭝스럽다·딴판·눈에 띄다’로 손질합니다. ‘축·씨·가락·결·느낌·모습’이나 ‘빛·빛결·빛깔있다·숨·숨결·숨길’이나 ‘생김새’로 손질할 만하고, ‘제가락·제멋·제모습·제빛·제결·제얼굴’로 손질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맹목적 맹목적 사랑 → 눈먼 사랑 무기력한 패배주의나 맹목적 배타주의의 성향 → 힘없는 패배주의나 눈먼 배타주의 성향 ‘맹목적(盲目的)’은 “주관이나 원칙이 없이 덮어놓고 행동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눈멀다·귀먹다·먼눈’이나 ‘알못·모르다·아직·우물개구리’나 ‘넋나가다·넋빠지다·넋잃다’나 ‘넋뜨다·넋비다·넋가다·넋뜨기·넋빈이·넋간이’로 손질합니다. ‘얼나가다·얼빠지다·얼잃다’나 ‘얼간이·얼뜨기·얼빈이’나 ‘꼴값하다·덜떨어지다·비좁다·뿌리얕다’로 손질할 만하고, ‘바보·바보스럽다·바보짓·바보꼴·멍청이·멍텅구리’나 ‘돌머리·똥오줌 못 가리다·뚱딴지·머리가 돌다’나 ‘마구·마구마구·마구잡이·막하다·앞뒤 안 가리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맹하다·맹추·생각없다·아무렇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