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23 먹깨비 저는 어릴 적에 무엇이든 참 못 먹는 아이였습니다. 스무 살까지 변변하게 안 먹으면서 살았는데, 싸움터(군대)에 끌려갈 적에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나는 김치뿐 아니라 못 먹는 밥이 잔뜩 있는데, 그곳(싸움터)에서는 주는 대로 안 먹으면 얻어터지잖아? 얻어터지면서 먹을 바엔 입에 무엇이 들어가는지 생각하지 말고 그냥 얼른 쑤셔넣고 끝내자.” 참말로 스물여섯 달 동안 맛이고 뭐고 안 가렸습니다. 밥판에 뭐가 있는지 안 쳐다보았습니다. 썩었는지 쉰내가 나는지 안 따졌어요. 배에서 다 삭여 주기를 바랐습니다. 마음에 새긴 말 때문인지 싸움터에서 밥 때문에 얻어맞거나 시달린 일이 없습니다. 싸움터에서 풀려난 뒤에라야 마음을 풀고서 몸한테 속삭였어요. “고마워. 몸이 이렇게 버티어 주어 살아남았구나. 앞으로는 몸이 거스르는 밥은 손사래칠게.” 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하늘지기 보는 대로 이름을 붙이고, 느끼는 대로 이름을 달아요. 한자를 아는 이들은 우리말 ‘기둥’을 ‘주상(柱狀)’으로 적더군요. 깎아지른 듯한 기둥이라면 우리말로 ‘깎은기둥’일 텐데, 한자말로는 ‘주상절리’입니다. 이웃나라 사람이 쓴 글 가운데 ‘빙점’이 있어 오래도록 그러려니 생각했으나, 아이들이 “이 책이름은 무슨 뜻이야?” 하고 묻는 말에, “그러게. 책이름을 우리말로 안 옮기고 일본말을 그냥 두었구나.” 하고 깨닫고는 ‘얼음눈’하고 ‘어는눈’이라고 알려주었습니다. 가만가만 보면 글이름뿐 아니라 풀꽃나무 이름도 잿빛집(아파트) 이름도 비슷비슷한 결이에요. 저마다 좋다고 여기거나 멋있다고 보는 쪽으로 기울어요. 수수하고 쉬운 말이 오히려 커다란 줄 모른달까요. 투박하면서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말이 빛나는 으뜸꽃 같은 말인 줄 몰라요. 하늘을 살피고 날씨를 읽으려 하기에 하늘지기요 날씨지기입니다. 별빛을 살피고 별흐름을 헤아리는 일을 하니 별지기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값받이 나라마다 밥살림이 달라 밥짓기를 가리키는 말이 다릅니다. 밥을 하는 길도 다르고, 밥에 넣는 살림도 다르지요. 우리나라에서 누리는 ‘국’하고 ‘찌개’를 한자말이나 영어로 어떻게 옮길 만할까요? 거꾸로 한자말 ‘탕’이며 영어 ‘스튜·수프’는 어떻게 옮겨야 어울릴까요? 맞바꾸듯 쓸 수는 없을 테지만, 곰곰이 보면서 차근차근 다루면 알맞게 비길 만하지 싶어요. 때로는 수수하게 국이나 찌개이고, 때로는 조림이나 곰국이에요. 그리고 ‘맛국’처럼 새말을 지을 만합니다. 살림살이를 고스란히 나타내는 말입니다. 삶을 그대로 드러내는 이야기예요. 나라마다 펴는 살림길이 다르고, 겨레마다 펼치는 삶길이 다르기에, 이 다른 하루를 가만히 견주면서 새롭게 맞아들일 생각 한 줌을 천천히 내놓습니다. 값받이를 하듯 바꾸어도 될 테고, 서로 돌려서 헤아릴 만하며, 어깨동무하며 나아갈 앞길을 살피면서 여미어 볼 만합니다. 잘 모르겠다면 마음에 대고 물어보면 돼요. 길미가 아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22 시골사람 낱말책에 ‘서울사람·시골사람’이 없습니다. ‘시골내기·서울내기’란 낱말이 있으니 없을 만할까요? ‘-내기’를 붙인 말씨도 퍽 쓰지만, ‘-사람’을 붙인 말씨를 훨씬 자주 쓸 텐데요. 고장이름을 붙여 ‘창원사람·화순사람’이라든지, 나라이름을 붙여 ‘네팔사람·폴란드사람’처럼 수수하게 씁니다. 이때에는 굳이 띄어쓰기를 할 까닭이 없다고 느낍니다. 붙여쓰기일 적에 알아보기 나아요. 저는 인천에서 나고자랐기에 인천사람이기도 하지만, 곁님이랑 아이들하고 시골로 옮겨 꽤 오래 살아가기에 시골사람이기도 합니다. 인천에서 살 적에는 ‘골목사람’ 같은 이름을 짓기도 했습니다. 잿빛집(아파트) 아닌 골목마을에서 살았거든요. 앞으로는 숲사람으로 살아갈 길을 생각하는데, 오늘 지내는 터전이 시골이다 보니, 이 시골은 어떤 자리인가 하고 되새기곤 합니다. 서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21 쪼잔이 어릴 적에 저한테 자꾸 돈을 빌리려는 아이가 있었습니다. 이 아이는 돈을 빌려주면 갚는 일이 없는데, 안 빌려주면 괴롭히거나 때립니다. 저는 여덟 살부터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걸었습니다. 다른 아이는 모두 버스를 타지만, 저는 걸으면서 날마다 120원씩 모았어요. 그러니 이 아이는 제 길삯 120원을 빼앗으려는 셈입니다. 돈을 빼앗기다가 얻어맞다가 도무지 견디지 못하고 맞붙으며 더 얻어맞곤 했지만, 그래도 그 아이 팔뚝에서 피가 나도록 이로 깨물거나 종아리를 깨물었어요. 주먹힘이 안 되니 깨물기라도 해야 떨어집니다. “너 참 쪼잔하다. 어떻게 깨무냐?” 하는 이 아이한테 “돈을 빼앗고 때리는 너야말로 쪼잔하지! 힘없다고 괴롭히잖아!” 하고 읊고서 더 얻어맞았어요. 이러던 어느 날 이 아이네 집으로 갔습니다. 기찻길 곁 가난한 집입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0 ㄱ. 선한 인간성을 파괴하는 것은 선하다(善-) :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데가 있다 인간성(人間性) : 1. 인간의 본성 2. 사람의 됨됨이 파괴(破壞) : 1. 때려 부수거나 깨뜨려 헐어 버림 2. 조직, 질서, 관계 따위를 와해하거나 무너뜨림 반성적(反省的) : 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보는 것 사고(思考) : 1. 생각하고 궁리함 2. [심리] 심상이나 지식을 사용하는 마음의 작용. 이에 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직관적 사고, 분석적 사고, 집중적 사고, 확산적 사고 따위가 있다 3. [철학] = 사유(思惟) 상실(喪失) : 1. 어떤 사람과 관계가 끊어지거나 헤어지게 됨 2. 어떤 것이 아주 없어지거나 사라짐 획일적(劃一的) : 1. 모두가 한결같아서 다름이 없는 2. 모두가 가지런하게 고른 전체주의(全體主義) : [사회 일반] 개인의 모든 활동은 민족·국가와 같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하여서만 존재한다는 이념 아래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상.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독일의 나치즘이 대표적이다 지적(指摘) : 1. 꼭 집어서 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숲책 푸른책 읽기 23 《금낭화를 심으며》 송명규 따님 2014.10.20. 《금낭화를 심으며》(송명규, 따님, 2014)를 읽었습니다. 글님이 쓴 책이 있는 줄은 《후투티를 기다리며》(2010)를 읽어서 알았고, 이 책은 글님이 ‘따님’에서 우리말로 옮긴 《모래 군의 열두 달》(2000)을 읽었기에 알았습니다. 알도 레오폴드 님이 쓴 책도 ‘따님’에서 펴낸 《소비 사회의 극복》이나 《노아 씨의 정원》이나 《21세기의 파이》나 《자동차,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를 읽고서 ‘따님’ 책을 더 살피다가 만났습니다. 책 하나가 가지를 뻗고 잎을 늘리는 셈인데, 그만큼 숲책(생태환경책)을 내는 곳이 드물던 지난날 숲책을 옹글게 여민 첫길을 ‘따님’에서 차근차근 지폈다고 느낍니다. 펴냄터 이름 ‘따님’에서 알 수 있듯, ‘땅·딸’을 나란히 헤아리는 길입니다. 땅이며 딸(순이)이란 ‘따스함’이란 숨결을 품습니다. 그러면 아들(돌이)은 안 따스하느냐고 따질 만한데, 아들이라서 안 따뜻할 수는 없으나, 딸처럼 따스하지는 않은 숨결이기에, 아들·돌이·사내라는 자리는 딸·순이·가시내한테서 “사람으로서 따스하게 온누리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9 ㄱ.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무늬만 한글이도록 글을 쓰는 분이 늘어납니다. 보기글에는 한자말도 영어도 깃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보기글을 우리말씨라고는 여길 수 없습니다. “뒤섞인 가운데”는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뒤섞입니다. 영어 ‘-ing’ 꼴을 일본에서 ‘中’으로 옮기던 말씨를 ‘가운데’로 바꾼들 우리말씨이지 않아요. “뒤섞이고”라고만 적을 노릇입니다. 꽃이 피거나 풀이 날 적에 우리말씨로는 “꽃들이 핀다”나 “풀들이 난다”처럼 말하지 않습니다. 비가 올 적에 “빗방울들이 떨어진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들’은 아무 데나 안 붙입니다. 또한 “날고 있다”가 아닌 “난다”나 “날아간다”나 “날아오른다”로 적어야 우리말씨예요. 씨앗을 흙에 묻을 적에 “씨앗들을 흙들에 묻는다”고 하지 않아요. “씨앗을 흙에 묻는다”라 합니다. 옷에 먼지가 묻을 적에 “옷에 먼지들이 묻는다”가 아닌 “옷에 먼지가 묻는다”라 해야 우리말씨입니다. 낮과 밤이 뒤섞인 가운데 새들이 날고 있다 → 낮과 밤이 뒤섞이고 새가 난다 → 낮밤이 뒤섞이고 새가 날아간다 → 낮밤이 뒤섞인 채 새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23 으름질 갑질 서로 돕기보다는 위아래로 가르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함께 손을 나누어 즐겁게 어우러지기보다는 위아래로 자르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같이 어깨동무를 하며 웃기보다는 위아래로 쪼개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른바 ‘갑질(甲-)’을 한다고 말합니다. ‘갑·을·병·정’처럼 쓰는 외마디 한자는 지난날 삶터나 감투를 거머쥐던 이들이 쓰던 말씨입니다. 이제 삶터나 감투가 위아래 아닌 고른 어깨동무나 손잡기라고 한다면, 낡은 말씨를 털어내면 아름다우련만, 아직 글종이(계약서) 같은 데에 ‘갑·을’을 그냥 씁니다. 우리는 앞으로 이 얼거리를 바꿀 수 있을까요? 글자락에 굳이 ‘갑·을’을 써야 할까요? ‘가·나’를 쓰거나 ‘ㄱ·ㄴ’을 써 보면 어떨까요? 높낮이도 위아래도 없는 ‘가·나’요 ‘ㄱ·ㄴ’입니다. 수수한 닿소리를 즐겁게 쓸 줄 아는 마음이라면, 서로 따스하거나 넉넉한 몸짓으로 거듭날 만하리라 생각합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28. 장문의 글 요즈음 분들은 ‘긴글’은 잘 안 읽을까요? 손전화를 오래오래 쥔 채 하루를 누리다 보니 ‘짧은글’에만 익숙하고 말아, 조금이라도 ‘짧지 않다’ 싶으면 죄다 ‘길구나’ 하고 여기지는 않을까요. 이웃님이 저한테 글월을 띄울 적에 저도 맞글월을 띄웁니다. 때로는 다른 일을 하느라 깜빡 잊고서 글월을 놓치기도 합니다만, 바로 글월을 적든 뒤늦게 글월을 띄우든 마음을 기울여서 온힘을 다해 쓰려고 해요. 이러다 보면 이 수다 저 얘기가 넘치곤 하는데, 이런 제 맞글월을 받는 분들이 으레 이렇게 말합니다. 장문의 글을 답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말을 들을 적마다 적이 어지럽습니다. 어느 모로 보면 이 말씨가 요즈음 ‘벼슬말(관공서 용어)’이거나 ‘치레말씨(격식체)’인가 싶기도 합니다. 이렇게 써야 마치 다소곳하거나 얌전하거나 상냥하다고 여기시는구나 싶은데요, 이런 말씨는 하나도 안 다소곳하고 안 얌전하며 안 상냥합니다. 말이 안 되는 말씨일 뿐입니다. 이 말씨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