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48] 말밤 씨앗을 주웠다. 껍질만 다르고 빛깔하고 생김이 밤과 닮았다. 까맣고 두꺼운 껍질에서 씨앗이 나온다. 못에도 딱딱하고 가시가 돋은 껍질에 씨앗이 있었다. 어린 날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배가 고파 못에 기웃거린다. 오빠골에는 못이 셋이나 있다. 못이 크기대로 줄줄이 있다. 우리는 가운데 못에서 잘 논다. 길 바로 옆에 있어 물에는 부레옥잠 닮은 풀이 물낯에 퍼져 넓게 덮는다. 작대기를 하나 꺾어 풀을 끌어올리다가 뱀을 본다. 작대기를 물에 탕 치며 뱀을 쫓는다. 풀을 다시 당겨서 푸른 열매를 딴다. 깨물면 알이 덜 여물어서 물이 찍 뻗는다. 가뭄이 들거나 논물을 댄 뒤에는 못에 물이 준다. 물이 빠진 자리에는 진흙이 드러난다. 진흙이 말라 쩍쩍 갈라진 자리를 밟고 말밤(마름)을 캔다. 진흙에서 나오는 말밥은 물 낯에서 건진 풀빛하고 다른 흙빛이다. 아주 딱딱하고 뾰족한 가시가 두 쪽으로 나고 세모지다. 깨물면 이가 부러질 듯 야물다. 하얀 가루가 나온다. 쌀가루 맛이 나는 가루가 쫀득쫀득하다. 어머니 아버지도 일하다가 호미로 말밤을 캐서 삶아 주었다. 못에서 나는 밤도 타박타박하다. 말밤 씨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발걸음 09] 모깃불 여름이 되면 마당에서 잤다. 안방에서 뜨락을 밟고 두 계단 내려오면 마루를 붙여놓았다. 어머니가 밥을 할 적에 아버지는 마당에 불을 피운다. 볏단에 불을 지피고 풀을 덮었다. 연기가 많이 난다. 매캐한 연기가 마당을 휘돌고 바람에 떠밀려 다닌다. 우리는 마루에 앉아 저녁을 먹고 아버지 몽침이를 갖다 드리고 눕는다. 어머니는 거꾸로 눕고 동생하고 자려면 갈치잠을 잔다. 나한테 밀려나면 동생도 마당에서 잔다. 아버지하고 오빠는 마당에 멍석을 깔고 더 아무것도 깔지 않고 잘 덮지도 않고 잔다. 나도 멍석에 눕는다. 꺼끌꺼끌해도 넓은 멍석에 누우면 하늘에 눈길이 빼앗긴다. 눈썹달이 조금씩 살을 찌우며 보름달이 되었다가 다시 눈썹달로 사라지는 달을 구경한다. 캄캄한 밤하늘에 별은 얼마나 반짝이는지 밤늦도록 별을 헤아리고 별을 찾는다. 올록볼록 카시오페아 국자꼴 북두칠성 북극성 작은곰자리 큰곰자리를 잘 찾았다. 아홉 살에서 열세 살 적에 본 밤하늘과 여름밤은 어린 날 하나뿐인 책이다. 별을 헤아리면서 잠이 든다. 새벽이슬을 맞으면 방으로 옮기는데 찬기운에 새벽에 깨서 혼자 방으로 건너가기가 싫었다. 네 시가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노래에서 길을 찾다]15-알아요 오늘 들려 드릴 노래는 '알아요'입니다. 이 노래는 4345해(2012년)에 케이-스미스(K-smith), 조영수, 안영민 세 분이 함께 쓴 노랫말에 조영수 님이 가락을 붙였으며 양파, 이보람, 소연 세 분이 함께 불렀답니다. 노랫말을 살펴보면 아픈 사랑을 노래하고 있는데 '미안', '상처' 빼고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알아요 날 사랑하는지 다 알아요 얼마나 아플지"가 되풀이 되는 것을 보니 왜 노래이름이 '알아요'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얼마나 아플지 다 알지만 내 마음 속에 그 사람이 머물 곳이 없다는 것을 봐도 그렇고 서로 다른 곳을 보고 있는 사랑이 참 못됬다고 하다가도 내리는 비에 눈물은 감춰도 마음은 감출 수 없다는 것을 보니 아픈 사랑이 느껴집니다. 한 사람만 바라보게 하는 사랑은 바보같고 잡히지 않는 바람같다는 말이 슬픔을 더해 주는 것 같습니다. 사랑 노래가 참 많지만 이렇게 아프고 슬픈 사랑이 더 많은 것 같은데 그 까닭은 뭘까요? 여러분은 왜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기쁨이 넘치는 예쁜 사랑 노래도 찾아봐고 싶습니다. 아래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 살리기]1-65 두발걸이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두발걸이'입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양쪽에 모두 관계를 가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지만 보기월은 없습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한꺼번에 두 쪽과 모두 관계를 맺음'이라고 폴이를 하고 "그가 자기에게 두발걸이로 청혼을 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녀는 견딜 수 없는 모욕을 당한 것 같았다."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두 풀이를 견주어 볼 때 저는 앞의 풀이가 더 나은 풀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풀이에 나온 '관계를 맺다'는 '맺다'라는 말의 뜻 가운데 '관계나 인연 따위를 이루거나 만들다'는 뜻이 있기 때문에 '맺음'이라고 써도 되지 싶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나날살이에서 흔히 쓰는 '양다리'와 '양다리 걸친다'는 말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풀이를 다듬어 보았습니다. 두발걸이: 한목(한꺼번에) 두 쪽과 모두 맺음을 빗대어 이르는 말. 흔히 쓰는 '양다리' 또는 '양다리 걸치다'를 갈음해 쓸 수 있는 말. 그런 일이 없으면 좋겠지만 앞으로 '양다리'라는 말을 써야 할 때 '두발걸이'를 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아이답게 그리고 : 제주 〈그리고 서점〉 애월 어린이를 앞에 두고서 제주에 여럿 있는 ‘폭포’란 무엇일까 하고 물어봅니다. “쏟아지는 물이요!” “‘쏟아지는 물’을 어떻게 줄여 볼 만할까?” “음, ‘쏟물’?” “네, ‘쏟물’이겠지요. 말은 이렇게 줄여요. 그런데 ‘쏟물’은 소리내기 좀 어렵지 않나요?” “네.” “우리말은 소리내기 어렵지 않아요. 옛날부터 쓰는 말은 모두 누구나 쉽게 알아보고 알아채고 소리내어 쓰도록 지었어요. 그러면 이쯤에서 생각해 봐야지요. ‘물’은 어떻게 엮은 낱말인가요?” “물이라면 ‘무 + ㄹ’?” “네. 그러면 ‘쏟물’은?” “어, 그러면 ‘쏠물’?” “맞아요. 오랜 옛날부터 우리가 스스로 가리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6 심심한 사과의 말씀 ‘심심하다’라는 낱말을 놓고 아이들은 “아이 심심해.” 하고 말합니다. 하는 일이 없어서 재미가 없다는 뜻입니다. ‘심심하다’라는 낱말을 두고 살림하는 어른들은 “국이 심심하네.” 하고 말합니다. 국물 간을 좀 싱겁게 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한자말 ‘甚深’이나 ‘深深’을 쓰는 글쟁이 어른이 있습니다. 이 한자말은 “심심한 감사”나 “심심한 사과”나 “심심한 조의”나 “심심한 경의”처럼 쓴다고 하는데, 우리말이 아닌 한자를 널리 받아들여서 쓰는 일본 말씨입니다. 오늘날에는 영어도 널리 쓰니까 일본스런 한자말쯤이야 그리 안 대수로울 만합니다만, “심심한 사과의 말씀”처럼 말하는 어른을 아이가 바라본다면 무엇을 느낄 만할까요? “심심한 감사의 말씀”처럼 말하는 글쟁이를 여느 살림꾼이 마주한다면 무엇을 생각할 만할까요? 아마 아이는 뭔 ‘능금(사과)’이 어떻게 ‘재미없다’고 말하는가 싶어 고개를 갸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발걸음 8] 마늘 캐기 유월 보름 무렵에는 비가 자주 내린다. 비를 안 맞히려고 마늘을 당겨서 캤다. 비 얘기만 뜨면 온 마을이 바쁘다. 수레를 타고 재 너머 마늘밭에 갔다. 모두 호미로 마늘을 하나씩 캤다. 소가 들어갈 길을 트면 아버지는 쟁기로 마늘을 깊이 갈았다. 마늘 심을 적처럼 줄지어 뒤로 물러 서다가 소가 지나가면 쓰러진 마늘을 줍는다. 마늘 뿌리에 진흙이 붙었으면 마늘을 마주치면서 흙을 털어낸 뒤 나란히 넌다. 마늘을 다 주우면 어머니 아버지는 마늘을 묶고 우리는 곁에서 쉰씩 헤아려 놓는다. 어머니가 하는 대로 따라서 짚으로 묶어 보지만 헐렁하다. 짚을 빙빙 돌려서 매듭짓는 일이 서툴다. 내가 묶은 마늘을 들면 마늘이 쑥쑥 빠진다. 어머니가 묶은 마늘을 우리는 두 손에 둘씩 거머쥐고 수레로 옮기면 아버지는 차곡차곡 높이 쌓는다. 마늘을 다 묶은 뒤 빈 논을 다니면서 떨어진 마늘을 줍는다. 우리 논은 이웃 마을에 있어 재를 넘는데 비렁길이라 울퉁불퉁하고 마른 먼지가 펄펄 났다. 오빠하고 아버지는 마늘을 집으로 나른다. 아버지가 가게에 올라가서 장대에 하나씩 건다. 밑에서 오빠가 하나씩 올려 주고 동생과 나도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발걸음 7] 엿 어린 날 두메 마을에 장사꾼이 들어왔다. 자전거를 타고 얼음과자를 팔러 오고, 당면이나 미역도 판다. 옷보따리를 이고 할머니 장사꾼도 온다. 당면을 사면 할머니가 점을 거저 봐준다. 당면 장사꾼이 돌아가면 엿장수가 들어온다. 가위질 소리가 착착 쇠소리 내며 박자를 맞추고 ‘울릉도 호박엿 사시오, 깨진 그릇도 갖고 오고, 오그라든 냄비도 좋고, 떨어진 고무신도 받고, 마늘도 갖고 오이소.’ 엿장수 아저씨가 빨간 확성기로 길게 노래를 하듯 말한다. 확성기 소리를 들으면 장골 이골 목골에서 놀던 아이들이 우르르 뛰어나왔다. 나는 수레에 붙어서서 가위질을 구경했다. 엿을 끊으려고 끌쇠로 어림잡고 가위로 탁탁 치며 엿을 한 줄씩 떼어낸다. 그리고 하얀 가루에 묻힌다. 나는 침을 꿀꺽 삼키고 동생하고 눈을 마주치고는 둘이서 집으로 뛰어간다. 마늘 걸어둔 가게 밑에 할아버지 몰래 기어들어가서 가장 굵은 마늘을 다섯씩 골라 뺐다. 몸이 힘든 할아버지가 우리가 마늘을 빼가자 눈을 부릅뜨고 소리를 지른다. 둘은 등 뒤에 마늘을 숨기고 할아버지 지팡이에 안 맞으려고 몸을 옆으로 비껴 할아버지 방 앞을 지나 대문으로 빠져나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47] 마늘씨 한가위가 지나면 마늘씨를 쪼갠다. 여름에 캐서 가게 장대에 걸어두었다가 가을에 벗긴다. 마늘 꼬투리를 하나하나 딴다. 대가 바싹 말라서 비틀면 마늘대가 똑 부러진다. 안 떨어지면 가위로 자른다. 마늘 한 톨을 잡고 결대로 반을 쪼갠다. 그리고 하나하나 뗀다. 떼어낸 마늘에는 이미 뿌리가 가지런하게 자란다. 쪼갠 마늘을 크기대로 모은다. 허실은 허실대로 따로 담는다. 심을 적에는 굵은 씨앗부터 심고 씨앗이 모자라면 작은 씨앗을 심는다. 아주 작은 씨앗은 생채기가 있기도 해서 우리가 먹는다. 굵기대로 심는 까닭은 마늘을 캘 적에 굵기가 비슷해서 따로 고르지 않아도 된다. 굵은 씨앗과 작은 씨앗을 섞어 심으면 굵은 씨앗 곁에 자라는 작은 씨앗은 잘 크지 못한다. 캘 적에 작은 마늘이 끼면 따로 골라야 한다. 마늘을 걸어 둔 가게 밑에서 마늘씨를 며칠 밤낮으로 까느라 어머니 아버지 손이 까지고 갈라진다. 몇 톨 쪼개지 않아도 마늘물이 닿으면 따갑다. 반창고로 엄지손가락을 감고 또 깠다. 나는 손 아프다고 안 까면 되지만 어머니 아버지는 손이 부르트도록 깠다. 아버지가 논 손질 끝나면 소로 고랑을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46] 마늘 아버지는 마늘을 아주 잘 묶었다. 들쑥날쑥 않고 마늘 뿌리를 반반하게 하고 쉰씩 둘을 묶으며 한 접을 손질한다. 마늘을 묶어 놓으면 나팔꼴로 펼쳐진다. 오일장에 내다 팔 적에는 깔끔하게 손질했다. 우리 마을은 마늘로 널리 알려졌다. 의성 마늘이다. 가음마을이나 읍내는 땅도 넓고 좋은데도 우리 마을 안전푸이 마늘이 으뜸이다. 약장사 아저씨가 서울에 가서 마늘을 팔아 돈을 많이 번 뒤로 전푸이 마늘은 입소문이 퍼진다. 아랫마을은 전푸이, 우리 마을은 안전푸이라 했다. 이웃 마을에 마늘이 안 되어도 우리 마을에는 마늘이 잘 자랐다. 그래서 오래 잘사는 마을로도 알려졌다. 우리 마을 땅이 골짜기인데도 읍내 넓은 땅을 몇 마지기를 살 수 있고 가음마을 땅도 우리 마을보다 쌌다. 못도 없고 물이 적어 땅이 아무리 좋아도 마늘은 우리 마을보다 못하다. 우리 마을 어른들은 “꽁지 없는 소.”라고 부른다. 소는 아니지만, 사람은 꽁지가 없으니 소처럼 일한다는 뜻이다. 마늘이 잘 되는 까닭은 땅이 기름지다. 똥오줌이며 거름을 넣고 풀이나 속새를 듬뿍 넣었다. 부지런히 논밭에 거름을 뿌리지 못하면 논이 기름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