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16. 어정쩡한 겹말을 털고 말꽃으로 2017년 10월에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이라는 우리말꽃(국어사전)을 한 자락 써냈습니다. 이 우리말꽃이자 ‘글쓰기 길잡이책’은 모두 1004가지 보기를 다룹니다. 어느 이웃님은 사람들이 어정쩡하거나 엉뚱하게 쓰는 겹말이 이렇게 많으냐며 놀랍니다. 그런데 저도 놀랐습니다. 느낌을 살리거나 힘주어 밝히려는 뜻이 아닌 자리에, 어정쩡하거나 엉뚱하게 말을 겹쳐서 쓰는 버릇이 대단히 널리 퍼졌을 뿐 아니라 숱하게 많은 줄 하나하나 깨달으면서 저부터 제가 쓰는 글을 새롭게 가다듬자고 생각했어요. 《겹말 사전》을 써낸 뒤에도 겹말 보기는 꾸준히 모읍니다. 그야말로 끝도 없이 나오는데요, ‘시시때때로’나 ‘삼시세끼’나 ‘한도 끝도 없이’나 ‘누군가가’나 ‘무언가가’나 ‘가끔씩’이나 ‘이따금씩’은 매우 귀엽다고 할 만한 가벼운 겹말이라 할 만합니다. 이런 겹말은 살짝 손질하면 쉬 고칠 만하고, 가볍게 알려주면서 고개를 끄덕이겠지요. 다음에 드는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날 #잔치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네 돌 토박이말날 잔치 알림] 오는 무지개달 열사흘(4월 13일)은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에서 만든 ‘토박이말날’이 네 돌을 맞는 날입니다. ‘토박이말날’은 우리 겨레의 삶과 얼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토박이말이 갈수록 설자리를 잃어가는 것을 안타까워서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키는 일에 힘과 슬기를 모으자는 뜻으로 만들었습니다. 4월 13일을 토박이말날로 삼은 것은 주시경 스승님의 ‘말의 소리’라는 책을 펴낸 날과 이어집니다. ‘말의 소리’는 우리말의 소리를 짜임새 있게 밝힌 책이면서 덧붙임(부록)을 빼고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로 되어 있어서 ‘토박이말을 한글로 적기’를 바람직한 말글살이라고 여기는 토박이말바라기의 뜻과 같기 때문입니다. 네 해 앞 토박이말날을 만들어 널리 알렸을 때는 대통령 뽑기(선거)를 앞두고 있었는데 나라의 일꾼인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그 무엇보다 먼저 우리 겨레의 삶과 얼이 깃든 토박이말을 챙기겠다는 다짐(공약)을 해 달라는 밝힘글(성명서)도 함께…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내가 사랑하는 아이] 30. 제주도 한 시에 일을 마치는 날이면 시골로 갔다. 옆마을 윗마을로 달리는 차가 많아 밀린다. 마을 언저리에서 오른샛길로 빠져서 다시 오른쪽 골목으로 꺾은 다음 왼쪽 고샅길 언덕집이다. 윗마을에서 탈춤을 보고 옛집을 그대로 이어온 마을을 한 바퀴 돌거나, 강을 낀 마을에 백일홍이 피면 옆마을 배움집에도 사람들이 북적거린다. 두 마을이 시골집을 가운데 두지만 나는 잘 가지 못한다. 쉬는 날은 첫째 아이를 우리 집에 데리고 나오거나 시골에서 하룻밤 묵는다. 우리가 딸을 보러 다니다가 이제 딸이 네 살이 되어 우리 집에 데리고 나왔다. 낮에는 어린이집에서 놀고 저녁에는 우리 둘 가운데 일찍 마치는 사람이 아이를 데리고 온다. 소꿉놀이를 하거나 인형을 갖고 놀다가 틈나면 엄마 아빠 꽃잔치(결혼) 때 찍은 사진을 꺼내 보았다. 하루는 사진을 보다가 엉엉 운다. “왜 울어?” “나만 두고 엄마 아빠만 갔잖아!” “그래서 울었구나! 그런데 네가 태어나지 않았을 적에 갔어. 엄마 아빠 둘이서 다녀온 다음에 우리 딸이 엄마를 찾아왔지.” 엄마 아빠가 꽃빔을 입고 찍은 사진을 보여주었다. 겨례옷으로 갈아입고 족두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물날 이레말 6 알량한 말 바로잡기 기질 氣質 낙천적인 기질 → 밝은 마음씨 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작가 → 멋스러이 타고난 글님 이 신문은 보수적 기질이 강하다 → 이 새뜸은 무척 낡았다 반항아적인 기질이 나타난다 → 대드는 마음보가 나타난다 직업에서부터 장이의 기질이 있었다 → 일부터 장이답다 / 일부터 장이 같다 ‘기질(氣質)’은 “1. 기력과 체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기성(氣性) 2. 정주학파(程朱學派)의 학설에서 본연의 성(性)에 대하여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 3. [심리]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나 특정한 유형의 정서적 반응을 보여 주는 개인의 성격적 소질”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마음·마음씨·마음결’이나 ‘결·숨결·숨빛·느낌’이나 ‘넋·빛·빛살’로 손질합니다. ‘몸·몸빛’이나 ‘끓다·흐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불날 이레말 6 '-적' 없애야 말 된다 : 저돌적 그 저돌적 괴력은 → 그 밀어대는 힘은 저돌적인 추진력을 지니고 있었다 → 밀어붙인다 / 굳세다 ‘저돌적(猪突的)’은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내닫거나 덤비는. 또는 그런 것”을 가리킨다는데 ‘그냥·그저·앞뒤 안 가리다·생각없다’나 ‘함부로·마구·마구잡이·막나가다’나 ‘내달리다·달리다·뛰다·치달리다·달려들다’나 ‘무턱대고·답치기·덤비다·덤벼들다·뛰어들다’로 고쳐씁니다. ‘몰다·몰아대다·몰아붓다·몰붓다’나 ‘밀다·밀어대다·밀어붙이다’나 ‘세다·거세다·드세다·굳세다·억세다’로 고쳐쓰고, ‘터무니없다·턱없다’나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얼척없다’로 고쳐쓰지요. ㅅㄴㄹ 나는 저돌적으로 들판을 종횡으로 발을 구르며 달리고 → 나는 들판을 이리저리 드세게 발을 구르며 달리고 → 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종노릇 여기에서 보면 앞인데, 저기에서 보면 뒤입니다. 빙그르르 돌아가는 결을 살피면 앞뒤나 위아래가 따로 없어요. 더 있기에 높지 않고, 덜 있기에 낮지 않아요. 손에 쥔 크기를 따져서 굴레를 씌운다든지 높낮이를 가르려 한다면 틀이 섭니다. 자리에 따라 사람을 가르다 보면 어느새 종굴레로 갇혀요. 크기에 맞춰 사람을 나누면 어느덧 종수렁에 빠집니다. 아이는 아이요 어른은 어른입니다. 어느 쪽이 높지 않아요. 어른이 아이를 낳으나, 아이가 자랐기에 어른입니다. 우리는 어떤 숨결로 피어난 사람일까요? 우리 곁에는 누가 함께 살아갈까요? 이쪽만 보지 말고 저쪽도 봐요. 한쪽만 생각하지 말고 모든 곳을 두루 보기로 해요. 한켠에 빠지기에 한통속이 되고 맙니다. 때로는 기댈 수 있고, 때때로 돌보거나 북돋운다면, 서로 듬직하면서 좋은사이가 될 테지요. 우리한테는 우리 쪽이지만, 저곳에서는 저쪽이에요. 나랑 네가 다르기에 옆사람이면서, 가까이에서 지키는 곁지기가 됩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느루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말 살리기]1-37 느루 아침저녁으로는 썰렁하고 낮에는 덥다 싶은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 고뿔에 걸리기 쉬운 만큼 옷을 잘 챙겨 입고 다녀야겠습니다. 다가오는 토박이말날을 앞두고 갖춤을 하고 있는데 제가 생각했떤 것보다 할 일이 많아져 자꾸 미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제 뒤낮에는 생각지도 않고 있었는데 반갑고 고마운 기별을 받고 혼자 울컥하기도 했습니다. 무슨 일인지는 토박이말날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느루'입니다. 말집(사전)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한꺼번에 몰아치지 않고 오래도록'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한꺼번에 몰아치지 않고 길게 늘여서'로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이 말을 쓴 보기월로 "하루라도 느루 쓰는 것이 옳고, 그래서 세 끼 먹던 것을 아침과 저녁 두 끼로 줄이었다."가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사람들이 많이 쓰는 말이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버릇처럼 쓰는 보기가 여럿 있는 것을 보면 많이 썼던 말이고 앞으로도 자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14 백 가지 친구 이야기 동무하며 걷는 길 《백 가지 친구 이야기》 이와타 켄자부로 글·그림 이언숙 옮김 호미 2002.5.25. 《백 가지 친구 이야기》(이와타 켄자부로/이언숙 옮김, 호미, 2002)가 갓 나오던 무렵, 저는 서울에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쓰고 엮는 일을 했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을 꾸리는 분(출판사 사장님)은 멋스러운 책이 나왔다면서 잔뜩 장만하셨고 둘레에 하나씩 건네셨어요. “그래, 너도 좀 봐라. 순 글씨가 가득한 책만 읽지 말고, 이런 그림도 읽고 시도 읽으면서 마음 좀 다스려 봐.” 하고 한마디 보태셨어요. “사장님, 저, 시집도 많이 읽는걸요?” “에그, 그런 시 말고, 이렇게 여백을 남기면서 노래하는 글을 읽으라고!” “그럼 시에 빈자리(여백)가 있지, 빈자리가 없는 시가 어디 있어요?” “됐다. 그냥 읽어라.” 그때 그 어른은 왜 제가 《백 가지 친구 이야기》 같은 책을 안 좋아하거나 못 알아보리라 여겼을까요? 우리말꽃이라는 책은 그야말로 글이 빼곡하고 두툼합니다. 이런 책을 지어야 하는 일을 한대서 글책만 읽을 까닭이 없습니다. 2002년 무렵에 저한테 아이가 없었어도 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숲노래 말빛 말 좀 생각합시다 7 빵 만들기 밥은 ‘짓’습니다. 또는 밥은 ‘합’니다. 그래서 ‘밥짓기·밥하기’ 같은 말을 씁니다. 밥은 ‘만들’지 않습니다. 옷이나 집도 ‘짓는다’고 합니다. 옷이나 집은 ‘만들’지 않아요. 그런데 요즈음 “주먹밥을 만든다”라든지 “짜장면을 만든다”라든지 “쌀로 만드는 음식”이라든지 “맛있는 밥을 만들자” 같은 말씨가 엉뚱하게 자꾸 퍼집니다. 주먹밥을 할 적에는 “주먹밥을 뭉친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이미 지은 밥을 뭉쳐서 주먹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짜장국수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짜장국수는 ‘볶는다’나 ‘끓인다’고 말합니다. 또는 “짜장국수를 한다”고 합니다. “쌀로 하는 밥”이나 “쌀로 짓는 밥”이라 해야 올바르고, “맛있는 밥을 하자”나 “맛있는 밥을 짓자”라 해야 알맞아요. 하늬녘(서양)에서는 예부터 ‘빵’을 먹습니다. 한겨레는 빵을 먹은 지 얼마 안 됩니다. 빵을 놓고는 어떻게 말해야 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하루’는 전남 고흥에서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책숲(도서관)을 꾸리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말꽃을 짓는 길에 곁에 두는 책숲에서 짓는 하루 이야기인 ‘책숲하루 = 도서관 일기’입니다.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4.8. 일상적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그제부터 실랑이를 하던 ‘예정·기질·격투’란 한자말을 놓고서 하나씩 실마리를 풀다가 오늘 아침에 이르러 ‘반출·엄하다·문화공간’을 지나 ‘인권침해·석불’에다가 ‘일상적’이란 일본 말씨까지 닿습니다. 하나를 풀자니 더 풀 낱말이 줄줄이 찾아들어요. 이럭저럭 마무리를 보겠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쉬운 말이 평화》는 겉그림을 마무리지었습니다. 펴냄터(출판사)에서 마지막 꾸러미를 보내 주셨고, 참말 마지막으로 다시 읽었습니다. 곧 새책으로 태어나겠지요. 아이들은 오늘도 무럭무럭 크고, 어버이는 오늘도 씩씩하게 살림을 짓습니다. 서로 오가는 말을 새로 읽고, 아침에 피어나는 햇볕을 온몸으로 받습니다. 저녁에는 아이들하고 〈천국의 아이들〉을 다시 보았습니다. 두 아이 모두 예전에 본 줄 까맣게 잊었더군요. 본 지 좀 오래되었나 싶습니다. 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