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노래 우리말꽃 숲에서 짓는 글살림 32. 실컷 고흥읍에 볼일을 보러 가서 걷습니다. 세거리 한켠에 있는 밥집에 적힌 글월이 문득 보입니다. “무한리필(1인).” 우리 집 어린이는 이 글월을 못 알아봅니다. 적히기로는 틀림없이 한글이로되 ‘우리말’로 느끼지 못합니다. 우리 집 어린이하고 “무한리필 고깃집”에 간 적이 없어서 이 말을 모를 수 있어요. 그러나 그곳에 간 적이 있든 없든 ‘무한리필’이라는 글월은 어른들이 썩 잘 지어서 쓰는 말씨가 아니라고 느낍니다. 어설프거나 서툴거나 엉성하거나 어리숙하거나 얕거나 모자란 채 쓴 말씨라고 느껴요. 또는 깊은 마음이나 사랑이 없는 채 그냥그냥 쓰는 말씨라고도 할 만합니다. 실컷 먹으렴 마음껏 먹자 얼마든지 먹어 배불리 먹으렴 조금만 생각해도 ‘무한리필’이란 말씨가 퍼지기 앞서 우리가 어떤 말을 썼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고깃집에서든 어디에서든 알맞을 뿐 아니라 아름답거나 즐겁거나 사랑스러운 마음을 나눌 만한 말씨를 헤아릴 수 있어요. 먹고 싶은 대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오늘말 오늘말. 깔끔채 우리는 왜 ‘때밀이’라는 이름을 ‘낮은말’이나 ‘나쁜말’로 여길까요? 때를 밀기에 꾸밈없이 붙인 이름인 ‘때밀이’입니다. 언제나 모든 말은 잘못이 없어요. 말을 다루는 사람 스스로 마음이 밑바닥을 치거나 뒤틀릴 뿐입니다. 때를 밀 적에는 몸을 말끔하게 할 테니 ‘말끔이’요, 더러운 데를 씻으니 ‘씻김님’이자, 깔끔하게 이바지하고 반짝이는 몸으로 돌보니 ‘깔끔님’에 ‘반짝님’이에요. ‘세신샵’처럼 한자말하고 영어를 붙여야 멋스러운 이름이지 않습니다. ‘깔끔채’요 ‘말끔채’이며 ‘씻김채’인걸요. 우리가 선 곳을 돌아보기로 해요. 우리는 어떤 집에서 어느 대목을 눈여겨보면서 살림을 가꾸는가요. 우리 마음자리에는 어떤 빛이나 어둠이 갈마들면서 스스로 빛나거나 어두운가요. 스스로 앞뒤를 바라봅니다. 구석진 곳도 귀퉁이도 아닌 오롯이 어우러질 한마당을 헤아립니다. 섣달이기에 섣달노래를 부르고, 섣달이 아니어도 늘 섣달빛처럼 눈부시고 싶어 여름에 섣달노래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모둠이 지난 삶길을 더듬어 보자니, 저는 더부살이집에서는 안 지냈더군요. 덧살이가 싫어서 안 살지는 않았습니다. 더부살이를 하는 삯집은 혼살이를 하는 삯집보다 달삯이 높아서 엄두를 안 내었어요. 덧살이집에서는 손수 밥을 짓고 차리는 품이 없다지만, 저는 김치를 비롯해서 못 먹는 밥이 꽤 많습니다. 그저 스스로 밥살림을 헤아리는 조그마한 집이 달삯이 눅고 홀가분했어요. 모둠이로 지낸다면 혼자 용쓸 일이 적습니다. 모둠벗 손길을 받으면 짐을 나를 적에도 한결 수월하겠지요. 틀림없이 모둠살이는 뜻있고 알차며 넉넉해요. 혼살이는 스스로 일어서는 힘을 스스로 가다듬으면서 제 몸에 맞는 차림새를 바라보고 돌보는 바탕이라고 할 만합니다. 들머리에서 어느 길로 가면 새롭고 즐거우려나 하고 생각합니다. 처음을 잘 골라야 한다고들 하는데, 첫자락을 엉뚱하게 골랐으면 좀 멀어도 돌아가면 돼요. 돌고도는 길이 퍽 힘들까요? 돌고돌기에 삶을 새삼스레 바라보면서 꽤 재미나게 배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43] 자리 이레를 해 달 불 물 나무 쇠 흙으로 얘기하는 언니가 있다. 나는 이 언니한테서 늘 배운다. 언니는 배움끈도 높고 무엇보다 살림새가 다르다. 내가 그다지 눈을 돌리지 않았고 앞으로 돌리고 싶은 매무새를 진작 갖추었다. 멋을 부리지는 않으나 우린 밑바탕에 깔린 삶자리가 다르다. 언니하고 그리 멀지 않는 청도에 갔다. 외진 골목으로 올라가니 집이 두 채 있다. 언덕에서 내려다보니 온통 푸르다. 하늘빛도 곱고 하얀 구름이 가만히 멈춘 들녘에는 벼가 노랗게 물들고 밭에는 사과가 발갛게 익고 감이 주렁주렁 달렸다. 복숭아나무는 잎이 가득 푸르다. 저 건너에는 무얼 태우는지 연기가 하늘에 닿는다. 잔디가 깔린 마당에서 사람들이 밥을 먹거나 차를 마신다. 이쪽 채로 들어오니 자리가 꽉 찼다. 두 사람씩 또는 여섯 사람씩 창가에 앉았다. 파스타를 시킨다. 내가 사려고 하는데, 언니가 산다. 차림판을 보고 “이렇게 비싸요?” 했더니, “아직 안 먹어 봤어?” 한다. 언니한테는 애들하고 딱 한 번 사 먹었다고 했는데, 다른 사람들과 몇 번 먹기는 했다. 가끔 토마토 스파게티를 사서 집에서 먹기도 했다. 언니가 알려주는 ‘미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작은삶 42] 수국 피다 아침에 나도 모르게 벌떡 일어나 밖마루(베란다)에 갔다. 드르륵 열고 수국을 본다. 큰그릇에 옮기고 흙을 바꾸었다. 새싹이 올라오니 올해도 수국이 필 철이 다 지나갔다. 올해는 가지를 치고 야무지게 키우자고 생각한다. 우리 집에 진작 키우는 수국이 있기에, 얻어 온 수국을 나란히 심었다. 같이 놓으니 새로 싹이 올라온 수국은 잎이 탱글탱글한데, 옮겨심은 수국은 키는 크고 잎은 크지만 어쩐지 시들하다. 볼 적마다 물을 뿌렸다. 수국이 물을 좋아하니 자꾸 뿌려도 썪지는 않으리라 여겼다. 아침이고 저녁이고 시들해 보이면 뿌린다. 어쩌면 그동안 꽃을 피우지 않더니 늦게 온 수국을 기다렸을까. 줄기 마디가 낮아 그릇에 턱이 닿는데 저보다 큰 수국 뿌리를 만난 뒤로는 잎이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 어제 봤을 적에도 이만큼 컸던가. 밤새 컸나. 작은잎이 자꾸 나네. 가까이서 작은 알갱이를 보니, 꽃망울이다. 뒤쪽을 보니 꽃망울에 잎이 겹으로 났다. 잎끝에서 발갛게 물든다. 이가운데 꽃잎같은 큰잎 하나는 분홍빛이다. 아, 꽃이었다. 꽃이 피었다. “여보, 수국이 꽃이 피었어요.” 나는 소리를 질렀다. 수국은 흙에 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반 半 한 달 반 → 한 달 보름 두 배 반 → 두 곱 가운 한 시간 반 정도의 거리 → 한 시간하고 더 가는 길 일을 반쯤 하다 → 일을 가운치쯤 하다 종이를 반으로 접다 → 종이를 갈라서 접다 시작이 반이라는데 → 처음이 가운몫이라는데 반팔 → 가운팔 반자동 → 거의 절로 반죽음 → 거의 죽음 반나체 → 거의 벗음 반노예 → 거의 종 ‘반(半)’은 “1. 둘로 똑같이 나눈 것의 한 부분 2. 일이나 물건의 중간쯤 되는 부분 3. ‘절반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 4. ‘거의 비슷한’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라고 합니다. 이 말씨는 ‘거의·마치·얼마·그저’나 ‘-다시피·-처럼·-같이’나 ‘닮다·비슷하다·같다·똑같다·나란히’로 손볼 만하고, ‘가르다·나누다·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문제 問題 연습 문제 → 해볼거리 / 풀거리 문제가 쉽다 → 풀거리가 쉽다 / 일이 쉽다 / 묻는 말이 쉽다 문제를 풀다 → 풀다 / 풀거리를 하다 환경 오염 문제 → 더럽히는 말썽 입학 지원자의 감소로 존폐 문제가 거론되었다 → 오겠다는 사람이 줄어 두느냐 마느냐를 따진다 문제가 생기다 → 말썽이 생기다 / 사달이 생기다 / 일이 생기다 문제를 해결하다 → 길을 풀다 / 말썽을 풀다 / 일을 풀다 / 걱정을 풀다 문제에 부딪히다 → 고비에 부딪히다 / 걸림돌에 부딪히다 / 걸리다 여간 큰 문제가 아니었다 → 참 큰 일이 아니었다 / 좀 큰 말썽이 아니었다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 → 말썽을 일으키는 사람 / 일을 일으키는 사람 가치관에 관한 문제이다 → 생각이 다르다 / 생각이 다를 뿐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가정주부’가 아닙니다 말꽃삶 2 살림꽃 저는 집안일을 신나게 맡습니다. 어버이 품을 떠난 스무 살부터 모든 살림을 혼자 했습니다. 그때가 1995년이니 혼살림 자취가 제법 길다고 할 만합니다. 1995년부터 혼살림을 하는데, 이해 가을에 싸움터(군대)에 끌려가요. 사내란 몸이니 끌려갈밖에 없습니다. 요새는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1994년에 경기도 수원에 있는 병무청에서 ‘신체검사’를 받을 적에 여러 소리를 들었어요. “자네는 왜 의사 진단서를 안 떼어오나? ○○만 원만 들이면 진단서 하나 쉽게 떼는데, 진단서가 있으면 바로 면제인데, 왜 안 떼어오지? 내가 자네를 재검대상자로 분류할 테니까 떼오겠나?” 하고 묻더군요. 1994년 봄에 ‘장병 신체검사를 맡은 군의관’이 들려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그저 ‘군의관이 척 보아도 면제 대상자이면, 그냥 면제를 매기면 되는데, 왜 목돈을 들여서 진단서를 떼오라고 하는지’ 알 길이 없더군요. 이날 저녁에 집으로 돌아가니 우리 어머니 말씀이 “얘야, 거기서 그렇게 말했으면 어머니한테 말하지! 왜 재검을 안 받고 그냥 현역으로 가니! 그 돈이 얼마나 크다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11 ㄱ. 네 권의 사전을 가지고 비생산적 권(卷) : 1. 책을 세는 단위 사전(辭典) : 어떤 범위 안에서 쓰이는 낱말을 모아서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싣고 그 각각의 발음, 의미, 어원, 용법 따위를 해설한 책 ≒ 말광·사림·사서·어전 소통(疏通) : 1.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 2.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 가능(可能) :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음 점(點) : 5. 여러 속성 가운데 어느 부분이나 요소 불편(不便) : 1. 어떤 것을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거북하거나 괴로움 2. 몸이나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괴로움 3. 다른 사람과의 관계 따위가 편하지 않음 비생산적(非生産的) : 1. 생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또는 그런 것 2. 그것이 바탕이 되어 새로운 것이 전혀 생겨나지 않아 도움 될 것이 없는. 또는 그런 것 책을 셀 적에는 “네 권의 사전”이 아닌 “낱말책 넉 자락”이라 해야 올바른데, 보기글이라면 “네 가지 낱말책”이나 “낱말책 네 가지”라 해야 어울립니다. 이야기는 하면 됩니다. 이야기를 할 수 있으면 되고요. “낳지 못한다(비생산적)”고 한다면 “못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메뜨다 밉살스럽도록 굼뜨다 ㉥어릴적에는 그렇게 싹싹하고 재바르던 조카가 몸집이 엄청 불어난 뒤로는 일마다 메떠서 아재비가 뒤치다꺼리해야 할 판이라니! 둘하다 굼뜨고 미련하다 ㉥오름이는 허우대는 훤칠한데 사람이 둘하여 일을 맡기려면 속깨나 썩을지도 모릅니다. 아둔하다 슬기롭지 못하고 아주 느리거나 굼뜨다. ㉥똑같은 말을 몇 디위 해야 하나, 이 아둔한 사람아. 남 말을 그렇게도 못 알아들어? 미욱하다 사람 됨됨이나 하는 짓이 어리석고 미련하다 ㉥이런 미욱한 사람들! 하나를 보면 열을 알지, 이제 그 손가락을 다 끊는 지렁에 지지셔야죠. 둘되다 됨됨이가 상냥하지 못 하고 미련하고 무디다. ㉥이쁜이는 둘된 데가 있어 아직 짝이 없지만, 착한 구석이 있어 남 눈에 눈물 흘리게 할 사람은 아니야. 머줍다 (몸짓이) 느리고 굼뜨다. ㉥나는 일 솜씨가 머줍어 함께 일하는 이들한테 늘 서머하다. 웅숭깊다 1. 마음보가 넓고 크다 ㉥이곳을 마다하고 떠난 미르돌이었지만, 다시 돌아오자 웅숭깊게 맞아 주었다. 2. 되바라지지 않고 깊숙하다 ㉥물아이 골짜기는 웅숭깊어 온갖 목숨붙이가 깃들어 살 만한 곳이다. 투박하다 튼튼하나 무디고 맵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