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71] 고추 고추꽃이 핀 자리에 고추가 자란다. 납작하던 노란 씨앗이 고추를 주렁주렁 달고 나왔다. 어린 날에 빨갛게 말린 고추를 가위로 배를 갈아 씨앗을 뺐다. 아버지는 물에 불려 수건에 싸서 싹을 틔웠다. 설이 다가올 무렵이면 싹을 붓는다. 사월이면 한 포기씩 옮겨 심었다가 다시 밭에 심는데, 고추가 자라도 고추 열매는 잘 열리지 않았다. 씨앗집에서 파는 씨앗은 어쩐지 고추가 잘 열렸다. 어머니는 우리보다 고추를 아기 다루듯 돌보았다. 그런데 씨앗에서 자란 고추를 그루갈이 했다. 수북하게 모여 자란 고추를 뽑아서 하나씩 다시 심었다. 작은 그릇에 뿌릴 적에는 뿌리가 꽉 차도록 키웠다. 밭에 옮겨 심고 때를 맞추어 마름앓이에 걸리지 않게 약을 치면 큼직하게 자랐다. 우리는 여름이면 고추밭 골을 한 줄씩 맡았다. 엎드리기도 하고 쪼그리고 앉아서 빨간 고추를 땄다. 나무를 잡고 고추를 따야 하는데 한 손으로 따면 고추가 부러졌다. 어머니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부러진 고추를 고추나무 사이에 숨겼다. 따기 싫으면 풋고추를 따서 색명이라고 속이기도 했다. 비료 자루를 하나 채우고서야 어머니는 머리에 이고 아버지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70] 벼바심 어린 모가 여름갈 비바람을 견디고 가을해에 알알이 여물면 벼를 벤다. 요즘은 큼직하고 반듯한 논에 콤바인이 들어갈 길만 낫으로 가돌림 하면 기계가 베고 바심을 하지만, 내가 어릴 적에는 낫으로 했다. 낫을 한 자루씩 들고 줄을 지어 한둘씩 잡고 힘껏 당겼다. 논바닥에 널어놓은 벼를 두 손에 잡힐 만큼 묶어서 수레로 나르고 앞마당에 무더기로 쌓았다. 아랫방 앞에 탈곡기를 놓고 어머니 아버지는 발로 굴리면서 볏단 하나씩 잡고 이리저리 돌리고 펼쳐 돌리며 쓱쓱 문대면 알이 떨어진다. 우리는 두 쪽에 서서 볏단을 하나씩 건네주고 떨어지면 문 앞에 쌓아 둔 벼를 오빠나 아버지가 옮긴다. 벼를 턴 만큼 어머니 아버지 뒤에는 짚이 가득 쌓였다. 아버지가 틀을 잡아 주면 우리는 짚을 마늘가게 앞으로 옮겼다. 오빠하고 나도 탈곡기를 발로 밟아 바심하면 밟는 힘이 여러 볏집이 둘둘 감기고 손이 딸려갔다. 아주 아슬했다. 둥근 머릿빗에 머리칼이 가득 감기듯 기계에 감긴 짚을 하나하나 뜯어냈다. 모터가 들어오고 전기로 돌리다가 다시 경운기가 들어오고는 탈곡기를 경운기 피댓줄(벨트)이 벗겨지지 않도록 똑바로 끼
[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69] 모심기 마늘을 캐고 난 뒤에 아버지가 논을 삶는다. 논에 물을 대고 갈았다. 진흙 논을 맨발로 밟고 소로 갈고 경운기로 갈았다. 볍씨를 뿌려 놓은 논에는 물이 늘 찼고 볍씨가 한 뼘쯤 자라면 모판에서 모를 잡아뽑아 한 줌씩 짚으로 묶어서 삶은 논에 군데군데 던진다. 지게에 담아 나르기도 하고 우리는 두 손에 거머쥐고 맨발로 비틀거리며 논둑에 들어가서 던진다. 아버지하고 어머니가 줄을 잡고 맞추면 던져 놓은 모를 한 줌 빼서 한 손에 들고 서너 뿌리를 떼어내 줄 따라 물에 꾹 눌러 심는다. 다음 줄이 바뀌면 한 걸음 뒤로 물러난다. 앞서 밟은 자리가 깊어 모를 심으면 물에 다 잠기거나, 떠서 물에 둥둥 뜬다. 웅덩이에 흙을 모으고 모를 심는다. 발목과 종아리가 따끔하면 거머리가 붙었다. 검고 미끄러운 거머리가 피를 빤다. 나는 거머리만 보면 소리를 먼저 질렀다. 떼는 일도 징그러웠다. 손으로 빼려 해도 잘 안 빠졌다. 오빠는 거머리가 다리에 붙어도 아무렇지 않게 떼는데 나는 거머리만 붙으면 물논에 발을 동동 구르며 놀라서 뛰쳐나왔다. 장화를 신으면 거머리가 달라붙지 않는데 내가 신을 장화도 없으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마실’은 나라 곳곳에서 알뜰살뜰 책살림을 가꾸는 마을책집(동네책방·독립서점)을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여러 고장 여러 마을책집을 알리는(소개하는) 뜻도 있으나, 이보다는 우리가 저마다 틈을 내어 사뿐히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책도 나란히 손에 쥐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하면서 단출하게 꾸리려고 합니다. 마을책집 이름을 누리판(포털) 찾기칸에 넣으면 ‘찾아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마실 ― 시흥 〈백투더북샵〉 어릴 적에 누린 놀이 가운데 하나는 길그림 읽기입니다. 예전에는 길그림을 얻기 몹시 힘들었어요. 높녘(북녘)에서 샛잡이(간첩)가 찾아온다는 핑계로 ‘나라길그림’이나 ‘고장길그림’을 아무한테나(?) 안 팔았습니다. 어린이일 적에는 ‘사회과부도’를 펴다가 손수 마을길그림을 그린 적 있어요. 둘레에서 제 길그림을 보며 놀라셨지요. “네가 길그림을 그려 주면 못 찾아가는 일이 없겠어!” 길그림을 그리기는 쉽습니다. 첫째, 모든 길을 걷되, 즐겁게 다니며 하나하나 그대로 보면 됩니다. 둘째, 어느 집이나 길이든 더 좋거나 부러 나쁘게 옮길 까닭 없이 그곳을 고스란히 느껴서 옮기면 됩니다. 열 살 무렵 마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불날 이레말 8 정상적 정상적 상황 → 여느 흐름 / 바른길 정상적 운행 → 그대로 가다 / 제대로 가다 정상적 상태로 돌아가다 → 제자리로 돌아가다 ‘정상적(正常的)’은 “상태가 특별한 변동이나 탈이 없이 제대로인”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바르다·올바르다·곧바르다·똑바르다’나 ‘제대로·제자리·제때·제·제값·제구실’이나 ‘반듯하다·옳다·곧다·올곧다’로 손봅니다. ‘맞다·걸맞다·들어맞다·알맞다’나 ‘그대로·멀쩡하다’나 ‘여느·수수하다·너르다·흔하다’로 손보아도 되고, ‘치우침없다·또박또박·또렷하다·똑똑하다’나 ‘냉큼·바로·늦지 않다·안 늦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ㅅㄴㄹ “그가 돌았다고 생각하니?” “천만에!” 미리카가 소리 질렀다. “그는 내가 알고 있는 한 가장 정상적인 사람이야.” → “그가 돌았다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8 좋은 생각 영어로는 “굿 모닝!”이라 말하며 서로 절을 합니다. 영어를 고스란히 옮겨 “좋은 아침”이라 말하는 분이 있으나 어설픕니다. 이른바 옮김말씨(번역어투)예요. 아침을 맞이할 적에 우리말씨로 제대로 한다면 “아침입니다!”나 “아침이야!”예요. “아침입니다. 반갑습니다!”나 “아침이야. 반가워!”처럼 ‘반갑다’를 덧붙일 수 있어요. 우리말씨로는 따로 아침 낮 밤을 가리지 않으니 “반가워!”나 “반갑습니다!”라고만 해도 어울려요. 옮김말씨인 “좋은 생각”이 있어요. 책이름으로도 있지요. “참 ‘좋은 생각’이야.”처럼 쓰기도 해요. 이때에 고개를 갸우뚱해 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예부터 “‘생각’ 참 ‘좋네’.”나 “참 잘 ‘생각’했어.’”라 했습니다. ‘좋은’을 앞에 못 넣지는 않습니다. “‘좋은’ 생각”을 아예 안 쓸 까닭도 없습니다. 다만 ‘좋은’을 지나치게 아무 곳에나 쓰는 줄은 느끼고 헤아려야지 싶습니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요즘 배움책에서 살려 쓸 토박이말]4-어버이 1학년 국어 교과서 첫째 마당에 ‘선생님’ 다음에 나오는 말이 ‘아버지’, ‘어머니’입니다. 이 말을 가르치고 배울 때 ‘아버지’를 뜻하는 다른 말로 ‘아비’, 어머니의 뜻하는 ‘어미’라는 말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면서 따로 부를 때는 아버지, 어머니라고 하는데, 함께 부를 때는 ‘부모님’이라고 하지 ‘어버이’라고 잘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어버이’도 함께 가르치고 배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것도 어찌 보면 말버릇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버이날’이라고 하지 ‘부모님날’이라고 하지 않죠? 가락글(시)에 나오는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는 괜찮다고 여기면서 나날살이(일상생활)에서는 “어버이 살아 계실 때 잘 모셔라.”라 보다는 “부모님 살아 계실 때 잘 모셔라.”라가 입에 잘 붙는 느낌이죠. 자주 쓰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겠습니다. ‘어버이’라는 말을 하고 보니 요즘 배곳(학교)에서 많이 쓰는 ‘학부모’, ‘학부형’이라는 말을 좀 다듬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배달겨레소리 바람 바람 글님 ]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쇠붙이테 쇠붙이공 쇠막대기 오늘은 4285해(1952년) 펴낸 ‘과학공부 5-2’의 67쪽부터 68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앞서 보여드린 66쪽 마지막 월이 67쪽 첫째 줄까지 이어집니다. “선로를 이어 놓은 자리에는 조금씩 틈이 있다.”인데 여기서 ‘선로’를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선로’는 ‘줄 선(線)’, ‘길 로(路)’로 된 한자말로 뜻대로 풀이하면 ‘줄길’이 됩니다. 하지만 ‘쇠로 만든 길’이니 ‘쇳길’이라고 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요즘 ‘레일(rail)’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데 이런 것부터 하나씩 토박이말로 바꾸는 일에 마음을 써야겠습니다. 또 다른 책이나 풀이에서는 ‘간격’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틈’이라는 쉬운 말을 써 주어서 반가웠습니다. 그리고 여덟째 줄에 나온 ‘쇠붙이테’와 열째 줄에 나온 ‘쇠붙이공’, 열셋째 줄과 열넷째 줄에 걸쳐 있는 ‘쇠막대기’도 쉬운 토박이말이라 좋았습니다. ‘쇠붙이테’는 쇠붙이로 만든 테니까 굳이 어려운 한자말을 쓰고자 했다면 ‘철고(鐵箍)’라고 할 수 있었을 것입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 2 [일본말] 무데뽀·무대뽀·무대포むてっぽう 무데뽀(←muteppo[無鐵砲/無手法]) : 일의 앞뒤를 잘 헤아려 깊이 생각하는 신중함이 없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 むてっぽう : 분별없는 사람 무대포의 목소리가 들렸다 → 멋대로인 목소리가 들렸다 / 밀어붙이는 목소리가 들렸다 무대포 정신으로 대표되는 → 밀어붙이는 넋으로 / 바보스런 마음인 일본말 ‘무데뽀(무대뽀·무대포むてっぽう無鐵砲)’인데, 일본말인 줄 알든 모르든 뒤죽박죽으로 씁니다. 이 일본말은 우리말로 여러모로 알맞게 풀어낼 만해요. ‘덤비다·덮어놓고·달려들다·들이대다·들이밀다·내달리다·치닫다’나 ‘닥치다·답치기·되는대로’라든지 ‘마구·마구잡이·우격다짐·눈멀다·밀어붙이다·밀다’로 풀어냅니다. ‘생각없다·시름없다·허투루’나 ‘멋대로·맘대로·제멋대로·제맘대로’로 풀어내어도 되고, ‘갈팡질팡·길잃다·끓다·똥오줌 못 가리다’나 ‘함부로·아무렇게나·엉망·엉터리·묻지 마’나 ‘어지럽다·오락가락·흔전만전’으로 풀어내어도 어울려요. 때로는 ‘우습다·우스꽝스럽다·웃기다’나 ‘어리석다·어리숙하다’나 ‘바보·젬것·젬치’로 풀어낼 자리가 있습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차꼬 깊이 배우거나 많이 알아야 일할 만하다고 여긴다면 사슬터입니다. 일이란, 스스로 즐겁게 노래하며 놀 줄 아는 사람이 해요. 힘으로 하는 일이 아닙니다. 짓누르거나 내리누르듯 시킬 수 없는 일입니다. 시킬 적에는 ‘시킴질’이요, 이때에는 ‘심부름’입니다. 재갈을 물거나 고삐를 달거나 멍에를 쓰거나 차꼬를 찬 몸으로는 아무 일을 못 해요. 총칼을 앞세운 나라가 시키는 대로 따를 뿐이에요. 찧거나 쪼는 우두머리나 힘꾼 등쌀에 밀려 억지로 심부름을 합니다. 남이 시키기에 할 적에는 스스로 숨결을 갉아먹습니다. 스스로 일어나서 움직이는 일일 적에는 모든 울타리나 담벼락을 허물고서 종수렁을 씻어냅니다. 아이는 아직 어려 일보다 심부름을 한다지만, 아이는 어른을 거들려는 맑은 눈망울로 기꺼이 심부름을 맡을 뿐이에요. 아이들은 재미나게 소꿉을 하면서 재잘재잘 노래합니다. 어른이란 몸은 소꿉놀이로 키운 살림빛을 일머리로 가다듬는 슬기로운 숨빛입니다. 심부름이란 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