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4 농땡이·땡땡이 ‘농땡이’가 일본말이고, ‘땡땡이’까지 일본말인 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우리말로는 ‘노닥거리다·놀다’하고 ‘빼먹다·게으르다’인 줄 헤아릴 줄 아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일본말이기에 안 써야 하지 않습니다. 일본말이기에 샅샅이 털어내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쯤 살필 수 있어야 합니다. 왜 구태여 일본말을 끌어들여서 우리 마음이나 뜻이나 생각을 나타내려고 하는가를 살펴보기로 해요. 왜 굳이 영어나 한자말을 내세워서 우리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하는가를 되새기면 좋겠어요. ‘농땡이’는 ‘油を賣る(あぶらをうる)’라는 일본말에서 왔어요. ‘땡땡이’는 ‘でんでん’이라는 일본말에서 왔고요. 그런데 우리 낱말책을 보면 이런 말밑을 밝히지 못합니다. ‘농땡이’랑 ‘땡땡이’ 모두 마치 우리말이기라도 되는듯이 다루지요. 글꽃(문학)이나 삶꽃(인문학)을 하는 분도 이 일본말을 그냥 쓰고, 어린이책을 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에서 짓는 글살림”은 숲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길에 새롭게 맞아들여 누리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숲에서 짓는 글살림 20. 글을 쉽게 쓰면 멋없을까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뜻을 헤아릴 줄 안다면, 어떤 낱말로 생각을 담아서 이야기를 할 적에 즐거운가를 느낄 만하리라 봅니다. 멋부리고 싶다면 멋있는 말을 찾을 테고, 치레하고 싶다면 치레하는 말을 찾을 테지요. 수수하게 이야기를 하려는 뜻이라면 수수하게 쓸 말을 찾을 테며, 즐겁게 이야기하려는 뜻이라면 즐겁게 쓸 말을 찾을 테지요. 말에는 두 갈래가 있습니다. 하나는 쉬운 말입니다. 다른 하나는 어려운 말입니다. 다만, 쉽다고 좋은 말이 아니며, 어렵다고 나쁜 말이 아닙니다. 우리한테 낯익기에 쉬울 수 있고, 우리한테 낯설기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쟁기’를 모르면 ‘보습’도 모르고 ‘극젱이’도 모릅니다. 이러한 말을 모르면 ‘골’이라고 할 적에 어떤 골을 가리키는지 모르기 마련입니다. 흙말이나 시골말을 모르는 이한테는 쟁기도 보습도 극젱이도 어려운 말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일면적·이면적·양면적·다면적’은 어떠할까요? 이 말씨를 쉽다고 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물날 이레말 - 한자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식구 食口 딸린 식구가 많다 → 딸린 사람이 많다 / 딸린 입이 많다 철수네 식구가 → 철수네가 사무실 식구 → 일터 사람 우리 회사 식구가 되었으니 → 우리 일터와 하나가 되었으니 ‘식구(食口)’는 “1. 한 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 2. 한 조직에 속하여 함께 일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집·집안’이나 ‘한집·한집안·한지붕’이나 ‘온집·온집안·온지붕’으로 손볼 만하고, ‘-네·이웃·벗·하나·우리’나 ‘사람·집사람·집안사람’이나 ‘입’으로 손보아도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식구(食具)’를 “식사용 기구”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집안 식구 모두가, 커다랗게 외치는 소리를 듣게 되었습니다 → 집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나무날 이레말 3 디테일detail 디테일(detail) : [미술] 미술품의 전체에 대하여 한 부분을 이르는 말 detail : 1. (작고 덜 중요한) 세부 사항[세목] 2. (전반적인) 세부 사항들 3. 상세히 알리다[열거하다] ディテ-ル(detail) : 1. 디테일 2. 세목(細目), 상세 3. 부분(화) 우리 낱말책에도 실은 ‘디테일’이지만 ‘작다·작은곳·자잘하다’나 ‘구석·구석구석·귀퉁이’나 ‘테두리·바깥·하나하나’로 풀어내면 됩니다. ㅅㄴㄹ 중요한 부분의 질감과 디테일이 전부 드러나도록 테스트지를 넓게 만들어야 한다 → 돋보일 곳은 결이며 작은 데까지 다 드러나도록 보임종이를 넓게 두어야 한다 → 두드러질 빛결이며 구석구석까지 모두 드러나도록 해봄종이를 넓게 써야 한다 《필립 퍼키스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찬찬히 깊이 알고 싶으면 차근차근 갑니다. 찬찬히 가지 않고서야 깊숙하게 짚지 못해요. 곰곰이 바라보기에 비로소 알아요. 꼼꼼히 보지 않았으면 알맞게 갈 길하고 멀어요. 샅샅이 보면서도 살뜰하지 못하다면, 너무 낱낱이 보다가 그만 짜임새나 얼개가 아닌 겉만 따진 탓이지 싶어요. 골똘히 생각합니다. 앞뒤를 살핀 줄 알았는데 제대로 헤아리지 못했구나 싶어 다시금 가만히 생각합니다. 곧게 가야 할 길일 수 있고, 옳게 곬을 잡아야 할 수 있고, 훌륭하게 가리는 결이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꼬치꼬치 따지지는 말아요. 즐거이 따를 만한 뜻을 찾기로 해요. 말잔치가 아닌, 높은 목소리가 아닌, 뛰어난 재주도 좋은 솜씨도 아닌, 조곤조곤 나누는 수다처럼 즐거이 이룰 얼개하고 뼈대를 세우기로 해요. 빈틈없이 해도 나쁘지 않으나, 자분자분 이야기하면서 차분히 하면 한결 홀가분해요. 반듯하게 해도 안 나쁘지만, 알뜰히 주고받는 말 사이에 여러 소리를 담으면서 앎꽃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흉보다 아이들이 어리석은 여러 어른을 보다가 손가락질을 합니다. 바보스러운 어른을 나무랄 만합니다. 아이들 꾸중질을 가만히 듣고 나서 “너희 말이 모두 옳구나. 이제 꾸중은 넉넉히 했으니, 그 바보 어른은 그만 보기로 하고, 우리가 오늘 지을 즐겁고 사랑스러운 꿈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얘기하자. 우리가 지을 사랑꿈으로 모든 바보스러움을 녹일 수 있어.” 하고 들려줍니다. 이러다가 저도 얄딱구리한 누구를 지청구합니다. 얄궂은 짓을 일삼는 누구를 흉보는 저를 보는 곁님이 “여보, 그대도 똑같지 않아?” 하고 나무랍니다. 가만 보면 그렇지요. 까는 사람이나 깔보는 사람이나 똑같습니다. 아이들을 타이르기 앞서 저부터 다독여야겠어요. 우리가 기운을 잃거나 고단하다면 우리 마음을 다른 곳에 쓰느라 스스로 흐무러진 탓이지 싶어요. 참다운 나를 마주하기보다 둘레에 자꾸 마음을 빼앗기니까 녹초가 되어 주저앉겠지요. 바보짓을 일으키는 이들을 보다가 어쩐지 주눅들고 풀죽고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책숲하루’는 전남 고흥에서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책숲(도서관)을 꾸리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말꽃을 짓는 길에 곁에 두는 책숲에서 짓는 하루 이야기인 ‘책숲하루 = 도서관 일기’입니다.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13. 엑기스 서너 해쯤 앞서 “영어 손질 꾸러미(영어 순화 사전)”를 갈무리하면 좋겠다고 여쭌 분이 ‘엑기스’란 낱말을 놓고 한참 헤매고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속으로 ‘왜 힘들지?’ 하고 아리송했어요. 그분은 ‘엑기스’가 영어가 아닌 일본말인 줄 알기는 하지만 어떻게 풀거나 옮겨야 할는지 못 찾았다고 하셔요. 일본말이나 영어나 한자말이나 독일말, 또는 네덜란드말이나 포르투갈말이나 에스파냐말을 쓴대서 잘못이 아닙니다. 생각을 안 하는 채 쓰기에 말썽이 됩니다. ‘엑기스’ 같은 얄딱구리한 말씨가 이 땅에 깃들기 앞서도 ‘엑기스란 말로 가리킬 살림’은 이 땅에도 어엿하게 있습니다. 그러니 예전에 살림하던 사람들이 어떻게 가리켰을까 하고 생각하면 돼요. 또는 시골에서 살림하는 사람들 말씨를 헤아리면 되고, 집에서 수수하게 살림지기 노릇을 하던 할머니나 어머니 말씨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3 준비 땅 요즈음은 ‘요이 땅(ようい どん)’ 같은 일본말을 우리나라에서 함부로 쓰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웬만한 사람들은 ‘준비(準備) 땅’으로 고쳐서 쓰니까요. 그렇지만, ‘준비 땅’이라는 말마디도 우리말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일본말 ‘ようい(用意)’를 다른 한자말 ‘준비(準備)’로 바꾸기만 했을 뿐이니까요. 일본사람은 총소리를 ‘땅’으로 적습니다. 우리나라는 총소리를 ‘탕’으로 적어요. 일본에서는 너른터·큰마당에서 겨루거나 달리려 하는 자리에서 으레 총을 쏘며 알린다고 합니다. 이때에 퍼진 말씨라고 하는 “요이 땅(준비 땅)”인데요, 막상 달리기를 지켜보면, 몸짓을 셋으로 나눕니다. 이 몸짓을 우리는 예부터 “준비이이, 땅!”이라 하지 않고, “하나, 둘, 셋!”이라 했습니다. 달리기를 하는 자리에서 셈을 셋 세면서 함께 첫발을 뗀다면, 우리말로는 수수하게 “하나 둘 셋”이라 하면 됩니다. 몸짓 그대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푸른책 읽기 15 어항은 물고기한테 사슬터 《호기심 많은 꼬마 물고기》 엘사 베스코브 김상열 옮김 시공주니어 2007.11.10. 《호기심 많은 꼬마 물고기》(엘사 베스코브/김상열 옮김, 시공주니어, 2007)는 스웨덴에서 1874년에 태어나 1953년에 숨을 거둔 엘사 베스코브 님이 빚은 그림책입니다. 우리말로 나온 이분 그림책 가운데 《펠레의 새 옷》이 있는데, 아이가 ‘새 옷’ 한 벌을 얻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 손길을 타야 하는가를 다룰 뿐 아니라, 아이가 둘레 어른들 일손을 거들기도 하고 스스로 씩씩하게 여러 가지 일을 해내면서 비로소 옷 한 벌을 얻는 살림길을 들려줍니다. 《호기심 많은 꼬마 물고기》에는 ‘꼬마 물고기’하고 ‘꼬마 아이’가 나옵니다. 꼬마 물고기는 물 바깥이 여러모로 궁금해서 ‘사람’을 꼭 만나고 싶다는 꿈을 키웁니다. 꼬마 아이는 물 안쪽이 여러모로 궁금해서 ‘물고기’를 낚시로 꼭 낚고 싶다는 꿈을 키워요. “그 커다란 개구리가 누군데요?” 꼬마 날쌘이가 물었어요. “‘사람’이라고 하지.” 가자미 아줌마가 대답했어요. “사람을 한번 보고 싶어요!” 날쌘이가 말했어요. “이 녀석, 큰일 날 소릴 하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증 症 가려움증 → 가려움 갑갑증 → 갑갑함 건조증 → 메마름 궁금증 → 궁금함 / 궁금앓이 답답증 → 답답함 / 답답앓이 조급증 → 서두름 / 조바심 ‘-증(症)’은 “1. ‘증상’ 또는 ‘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마음’, ‘느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앓이·아픔’이나 ‘결리다·곪다·곯다·괴롭다·망가지다·뻐근하다’나 ‘쑤시다·쓰라리다·쓰다·쓰리다·아리다·저리다’나 ‘마음·맘’으로 풀어냅니다. ‘짓·질·하다·이다·흐르다’나 ‘보이다·드러나다·나타나다·되다·모습’으로 풀어내어도 되고요. ㅅㄴㄹ 만약 당신이 제 대식증만 없애 줄 수 있다면 저는 만사가 오케이지요 → 그대가 제 막먹기를 없애 줄 수 있다면 저는 모든 일이 다 좋지요 → 그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