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 별의별 별의별 고생을 다 하다 → 온갖 고생을 다 하다 별의별 생각이 다 들어 → 온갖 생각이 다 들어 별의별 이야기 → 온갖 이야기 / 갖가지 이야기 별의별 사람 → 온갖 사람 / 갖가지 사람 별의별 일 → 온갖 일 / 갖은 일 / 이런 일 저런 일 별의별 물건 → 온갖 물건 / 갖은 물건 ‘별의별(別-別)’은 “보통과 다른 갖가지의. ≒ 별별”을 뜻한다고 합니다. ‘별별(別別)’은 “= 별의별”이라고 해요. ‘갖가지·갖은’로 손질하면 되고, ‘여러’나 ‘온갖’으로 손질합니다. ‘숱한’이나 ‘이래저래·이모저모·이것저것·이런저런’으로 손질할 만하고, ‘다르다·남다르다·또다르다’로 손질하며, ‘유난하다·새롭다·새삼스럽다’나 ‘딴판·모나다’로 손질해도 됩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 생략 省略 이하 생략 → 밑은 줄임 / 다음은 줄임 문장 성분의 생략 → 글월 줄이기 생략된 표현 → 줄인 말씨 / 줄인 말 생략된 내용 → 줄인 줄거리 / 지운 줄거리 의례적인 인사말은 생략되었다 → 겉말은 뺐다 / 겉치레말은 안 했다 생략하기로 하자 → 줄이기로 하자 / 안 하기로 하자 / 넘어가기로 하자 지나치게 생략하는 것도 → 지나치게 줄여도 / 지나치게 빼도 긴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 긴 말은 줄이겠습니다 ‘생략(省略)’은 “전체에서 일부를 줄이거나 뺌”을 뜻하고, “≒ 약(略)·약생(略省)”처럼 비슷한말을 싣습니다. 그런데 ‘약’도 ‘약생’도 “= 생략(省略)”으로 풀이해요. ‘약·약생’은 굳이 안 써도 될 만한 한자말이요, 낱말책에서도 덜어야지 싶습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 생활의 생활의 방식이 다르다 → 사는 길이 다르다 / 살림새가 다르다 생활의 터전 → 사는 터전 / 삶터 생활의 여유가 있다 → 살림이 넉넉하다 / 삶이 느긋하다 ‘생활(生活)’은 “1.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감 2. 생계나 살림을 꾸려 나감 3.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으로 활동함 4. 어떤 행위를 하며 살아감”을 가리킨다지요. ‘생활 + -의’ 얼거리는 ‘-의’를 털고서 ‘삶·살다·살림·살이’로 손볼 만합니다. 때로는 ‘지내다·있다’나 ‘하루’로 손봅니다. ㅅㄴㄹ 남쪽의 미나마따 어민들의 소박한 생활의 일단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에서였다 → 마녘 미나마따 뱃사람이 수수하게 사는 모습을 살짝 보여줄 수 있으리라 생각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제도 制度 결혼 제도 → 맺음길 민주주의 제도 → 들꽃길 / 들꽃마당 제도를 개혁하다 → 틀을 고치다 / 판을 바꾸다 ‘제도(制度)’는 “관습이나 도덕, 법률 따위의 규범이나 사회 구조의 체계 ≒ 제”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길·기둥’이나 ‘얼개·얼거리’나 ‘틀·틀거리’나 ‘짜임·짜임새·짜인결’이나 ‘뼈대·마당·판’으로 손볼 만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제도’를 열한 가지 더 싣는데, ‘제도(製圖)’는 ‘그리다·담다·밑그림·바탕그림’으로, ‘제도(諸島)’는 ‘뭇섬·여러섬·섬밭’으로 손보면 되고, 다른 한자말은 모조리 털어냅니다. ㅅㄴㄹ 제도(帝都) : 황제가 있는 나라의 서울 = 황성 제도(帝道) : 인의(仁義)로 나라를 다스리는 제왕의 정도(正道) 제도(帝圖)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합리적 합리적 과정 → 올바른 길 / 알맞은 흐름 / 바른길 / 곧은길 합리적 경영 → 바르게 꾸리기 / 올바르게 꾸리기 합리적인 선택 → 올바로 고름 / 알맞게 뽑음 일을 합리적으로 진행하였다 → 일을 알맞게 잘 하였다 합리적 사고 → 알맞은 생각 / 옳은 생각 / 슬기로운 생각 ‘합리적(合理的)’은 “이론이나 이치에 합당한”을 뜻한다고 합니다. ‘합당(合當)하다’는 “꼭 알맞다”를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 ‘합리/합리적 = 합당한 = 알맞은’인 셈입니다. 우리말로 ‘알맞다’를 쓰면 되고, ‘낫다·좋다’나 ‘가볍다’를 쓰면 되며, ‘슬기롭다·마땅하다’나 ‘옳다·바르다·똑바르다·올바르다’나 ‘그대로·찬찬히·가만히·차근차근·꾸밈없이’을 쓸 만합니다. 때로는 ‘알뜰하다·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ㄱ 겹말 손질 : 하다·선언, 삶·생활, 와닿다·거리감 ‘나는 생활인이다’라고 마음속으로 선언하는 것은 비교적 거리감이 없었다 → ‘나는 살림꾼이다’라고 할 때에는 제법 와닿았다 → ‘나는 살아간다’라고 할 때에는 꽤 와닿았다 생활(生活) : 1.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감 2. 생계나 살림을 꾸려 나감 3.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으로 활동함 4. 어떤 행위를 하며 살아감. 또는 그런 상태 선언(宣言) : 1. 널리 펴서 말함 2. 국가나 집단이 자기의 방침, 의견, 주장 따위를 외부에 정식으로 표명함 3. 어떤 회의의 진행에 한계를 두기 위하여 말 거리감(距離感) : 1. 어떤 대상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있다고 느끼는 느낌 2.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간격이 있다는 느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쇠날 이레말 - 사자성어 11 온도차이 둘 사이에 자꾸 온도차이가 발생한다 → 둘 사이가 자꾸 갈린다 온도차이를 실감할 뿐이다 → 안 맞는 줄 느낄 뿐이다 / 틈을 깨달을 뿐이다 서로 온도차이가 확연하다 → 서로 뚜렷하게 다르다 온도차이 : x 온도차(溫度差) : x 온도(溫度) : [물리] 따뜻함과 차가움의 정도.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수치. 물리적으로는 열평형을 특징짓고 열이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양이며, 미시적으로는 계(系)를 구성하는 입자가 가지는 에너지의 분포를 정하고 그 평균값의 표준이 되는 양이다 차이(差異) :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 날씨나 철이 다른 모습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마음이 다른 결을 가리키기도 하는 ‘틈·틈새·사이’요 ‘구멍’입니다. ‘멀다·벌어지다·동떨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영향 影響 부정적 영향 → 나쁜물 / 나쁜바람 영향을 받다 → 끼치다 / 가다 / 흔들다 / 휩쓸리다 지대한 영향을 끼치다 → 크게 끼치다 / 크게 퍼지다 / 크게 스미다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아이는 어버이한테서 배운다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 몸에 나쁘게 물든다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 바람골 탓에 비가 내릴 듯하다 행동 양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장면이 하나 있다 → 몸짓을 크게 바꾼 일이 하나 있다 ‘영향(影響)’은 “어떤 사물의 효과나 작용이 다른 것에 미치는 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다·미치다’나 ‘맞다·받다·맞아들이다·받아들이다·배우다·바꾸다·바뀌다’나 ‘물·물결·물들다·흔하다’로 손보고, ‘힘·심·손·손아귀·손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애드버토리얼advertorial 애드버토리얼 : x advertorial : (신문·잡지 속) 기사 형태의 광고 アドバトリアル(advertorial) : 1. 애드버토리얼 2. 기사 형식을 취한 광고. *advertisement(광고) + editorial(편집의) 새뜸(신문)에 글을 쓰는 이들은 일본에서 영어를 따서 쓰듯 ‘애드버토리얼’을 쓰는구나 싶습니다만, 이 영어도 한자말 ‘광고기사’나 ‘홍보문·홍보기사’도 ‘장삿글’이나 ‘파는글’로 풀어낼 만합니다. ㅅㄴㄹ 그는 자기가 쓴 기사를 ‘애드버토리얼’이라고 불렀습니다 → 그는 스스로 쓴 글을 ‘파는글’이라고 했습니다 → 그는 스스로 ‘장삿글’을 썼다고 했습니다 《자주 부끄럽고 가끔 행복했습니다》(김성호, 포르체, 2023) 76쪽 바이라인by-line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 개방적 개방적인 사람 → 트인 사람 개방적인 사고방식 → 열린 생각 개방적으로 보이다 → 허물없어 보이다 개방적 성격이다 → 스스럼없다 / 거리낌없다 개방적으로 운영한다 → 가두지 않는다 / 묶지 않는다 ‘개방적(開放的)’은 “태도나 생각 따위가 거리낌 없고 열려 있는 것”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두지 않다·묶지 않다·가볍다’나 ‘거리낌없다·스스럼없다·허물없다’로 고쳐쓸 만하고, ‘활짝·훨훨·날개·나래·날갯짓·날다’로 고쳐씁니다. ‘열다·트다·풀다·끄르다’나 ‘터지다·벌어지다’로 고쳐써도 되고, ‘드티다·마음껏·마음대로·실컷’으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ㅅㄴㄹ 에이, 관두자. 이런 개방적인 가족 흉내내는 거, 우리같이 스마트한 집엔 너무 창피하다구 → 에이, 관